韓 국가경쟁력 28→20위 ‘역대 최고’…기업 효율성 10계단↑

세종//아시아투데이 이정연 기자 = 한국이 스위스 국제경영개발대학원(IMD) 국가경쟁력 평가에서 67개국 중 20위를 차지해 역대 최고 순위를 기록했다. 18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IMD는 이 같은 내용의 ‘2024년 국가경쟁력 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IMD 국가경쟁력 순위는 경제 성과·정부 효율성·기업 효율성·인프라 등 4개 분야의 20개 부문을 평가해 순위를 매긴다. 이번 발표에선 지난 1997년 평가대상에 포함된 이래 최고 순위를 기록했다. 국민소득 3만달러 & 인구 5000만 이상 국가를 뜻하는 30-50클럽 중에선 미국에 이어 2위에 올랐다. 분야별로는 기업효율성(33→23위)과 인프라(16→11위) 순위가 대폭 상승해 역대 최고를 기록한 반면 경제성과(14→16위)와 정부효율성(38→39위) 순위는 소폭 하락했다. 먼저 기업효율성 분야는 10계단 상승하며 종합순위 상승을 견인했다. 생산성·효율성(41→33위), 노동시장(39→31위), 금융(36→29위), 경영관행(35..

한국, WEF 관광발전지수 세계 14위

아시아투데이 이장원 기자 = 한국의 여행·관광 경쟁력이 세계 14위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체육관광부는 27일 2023년 세계경제포럼(WEF) 관광발전지수 평가에서 한국이 119개 평가대상 국가 중 종합순위 14위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아시아 지역에서 일본(3위), 중국(8위), 싱가포르(13위)에 이어 4번째에 해당하는 순위다. 한국은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과 같은 종합 순위를 유지했지만, 분야별로 ‘관광의 지속가능성’ 순위가 기존 49위에서 16위로 급상승하는 변화도 있었다. 관광 자원(15위), 환경 조성(20위) 분야에서도 높은 순위를 기록했다. 부문별로는 육상·항만 운송 기반(인프라)이 11위에서 7위로, 문화자원이 11위에서 10위로 상승했다. 정보통신기술(ICT) 준비 수준은 2위였다. 비레저 자원 부문도 11위를 기록했다. 세계경제포럼은 2007년부터 격년으로 관광경쟁력지수를 발표한다. 2021년 관광의 지속가능성 분야 평가 등을 확대해 관광발전지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