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나항공, 1분기 영업손실 312억 ‘적자전환’… “영업비용 증가”

매출 1조 6330억… 전년比 12.1% 증가 아시아나항공은 1분기 매출액 1조 6330억원, 영업손실 312억원, 당기순손실 1744억원을 기록했다고 16일 밝혔다. 매출은 국제 여객 수요를 바탕으로 여객노선 공급을 지속 확대해 2024년 1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2.1% 증가했다. 역대 1분기 중 최대 매출 기록이다. 반면 공급 및 수송량 증가 등에 따른 영업비용 증가와 환율상승의 영향으로 영업이익, 당기순이익은 적자를 기록했다. 아시아나항공은 전년대비 28.8%(572억원) 늘어난 감가상각비 2555억원을 주요 요인으로 꼽았다. 세부적으로 비효율기재의 반납 스케줄 변경에 따른 감가상각비 내용연수 단축으로 317억원이 증가했으며, 작년 4분기 신규 도입한 항공기 감가상각비용 67억원 등이 추가됐다고 설명했다. 아시아나항공은 “항공기 장기 운영 계획에 따른 기단 세대 교체 작업의 일환”이라며 “최근 3년간 높은 영업이익을 바탕으로 기재경쟁력 강화 추진에 나선 것”이라고 했다. 안전투자비용 또한 확대했다. 항공기 정비 등 외주수리비용은 1383억원으로 이는 신규 도입기 정비 기한 도래 및 노후 화물기 정비 증대 등의 영향으로, 전년대비 57.4%(505억원) 늘었다. 당기순손익 역시 지속적인 원-달러 환율 상승의 영향으로 외화환산손실 1261억원을 기록함에 따라 적자폭이 증가했다. 1분기 여객 사업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6.3% 증가한 1조 937억원을 기록했다. 아시아나항공은 일본 여행 수요 증가에 따라 일본노선 운항을 확대하였으며, 1~2월 동계 성수기에 동남아노선 증편 및 호주 멜버른 부정기 운항 등 공급을 증대했다. 1분기 화물 사업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2.4% 감소한 3524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여객기 운항이 본격적으로 확대됨에 따라 벨리 카고공급이 증가해 시장 경쟁이 심화된 영향으로 분석된다. 아시아나항공 관계자는 “올해 하반기부터 중국노선의 점진적인 회복이 예상돼 수익성 개선으로 이어질 것”이라며, “5년만의 신규채용도 실시하는 등 경영 정상화에 총력을 가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누나, 나야…” 매장서 옷 벗기고 성관계 요구, 거부하자 주먹 ‘퍽퍽퍽’ ‘어제 사랑을 과격하게 해서’…”남편과 상간녀가 홈캠에 잡혔습니다” 나경원 “밥도 못 먹겠다” 하소연한 이유는… 정지선 직전 바뀐 노란불…교차로 중간에 멈출 것 같아도 무조건 정지하라? [디케의 눈물 225] ‘음주 아니었다’며 ‘왜’ 그 선택을…김호중‧이광득의 ‘상식적’ 설명이 필요하다 [D:초점]

아시아나, 역대 1분기 중 최대 매출…영업손실은 감가상각비 영향

아시아투데이 안소연 기자 = 아시아나항공은 올 1분기 별도기준 매출이 지난해 동기 대비 12.1% 증가한 1조6330억원, 영업이익은 적자전환해 312억원을 기록했다고 16일 밝혔다. 매출은 역대 1분기 중 최대 기록이지만 영업손실을 냈다. 회사 측은 공급 및 수송량 증가 등에 따른 영업비용 증가와 환율상승의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전년대비 28.8% 늘어난 감가상각비 2555억원이 주요 요인이다. 비효율기재의 반납 스케줄 변경에 따른 감가상각비 내용연수 단축으로 317억원이 증가했으며, 지난해 4분기 신규 도입한 항공기 감가상각비용 67억원 등이 추가됐다는 설명이다. 아시아나항공 관계자는 “항공기 장기 운영 계획에 따른 기단 세대 교체 작업의 일환”이라며 “최근 3년간 높은 영업이익을 바탕으로 기재경쟁력 강화 추진에 나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안전투자비용 또한 확대했다. 항공기 정비 등 외주수리비용은 신규 도입기 정비 기한 도래 및 노후 화물기 정비 증대 등으로 전년대비..

ELS 배상 탓에…SC제일은행, 1분기 순익 전년比 68%줄어

아시아투데이 윤서영 기자 = SC제일은행은 올 1분기 당기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67.8%(857억원) 감소한 408억 원을 기록했다고 16일 밝혔다. 비이자이익의 성장, 철저한 비용 관리 및 대손충당금 전입액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홍콩 H지수 ELS(주가연게증권) 상품의 배상 추정액(1329억 원)을 일회성 영업외비용으로 인식한 데 따른 것이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1775억 원으로 전년동기(1714억 원)보다 61억 원(3.6%) 늘었다. 이자이익은 순이자마진(NIM)의 개선에도 불구하고 자산 규모의 감소로 전년동기대비 5.6% 감소했다. 비이자이익은 소매금융에서 자산관리(WM) 부문의 판매수수료 등이 증가한 반면 기업금융에서 시장 변동성 완화로 외환파생상품 수요가 감소한 영향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전년동기대비 0.7% 증가했다. 비용은 정기적 임금 인상으로 인건비가 증가했음에도 철저한 관리 및 절감 노력에 힘입어 전년동기(2306억 원)보다 24억 원(1.1%) 감소했다. 대..

미용의료, 1분기 실적 ‘수출’로 활짝

바이오 업계 전반적으로 업황이 침체지만 국내 보툴리눔 톡신 3사와 국내 미용의료기기 업계는 올해 1분기 호실적을 이어갔다. 해외 수출액이 큰 폭으로 증가한 덕분이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보툴리눔 톡신 3사인 휴젤, 대웅제약, 메디톡스는 올해 1분기 역대급 실적을 기록 바이오 업계 전반적으로 업황이 침체지만 국내 보툴리눔 톡신 3사와 국내 미용의료기기 업계는 올해 1분기 호실적을 이어갔다. 해외 수출액이 큰 폭으로 증가한 덕분이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보툴리눔 톡신 3사인 휴젤, 대웅제약, 메디톡스는 올해 1분기 역대급 실적을 기록

2월까지 자동차 수출 전년대비 7.5% 증가

아시아투데이 강태윤 기자 = 산업통상자원부는 올해 1∼2월 누계 기준 자동차 수출액이 114억 달러로 작년 동기 대비 7.5% 증가했다고 19일 밝혔다. 최근 수출단가는 증가 추세로써 작년 초(2만3000불) 대비 0.1만불 증가한 2만4000불로 집계되었다. 지난달 자동차 수출 금액은 설 연휴에 따른 수출 선적일 감소·미래차 전환을 위한 생산시설 정비 등으로 전년 대비 7.8% 감소한 52억 달러를 기록했다. 자동차 수출 물량은 전년 동월 대비 11% 감소한 19만8653대였다. 현대차는 아반떼·G80·베뉴·싼타페·GV70·아이오닉6 수출이 줄어 전년 동월 대비 13.9% 감소한 8만1204대였다. 기아는 모닝·쏘울·K5·스토닉·쏘렌토 수출이 줄어 19.2% 감소한 7만6654대였다. 한국지엠은 북미지역 트렉스 크로스오버 수출이 늘어 전년 동월 대비 19.6% 증가한 2만9905대였다. KG모빌리티는 토레스·티볼리·렉스턴 스포츠 수출이 늘어 57.7% 증가한 5704대였다. 르노..

부동산 경기 침체에 건설 수주 대폭 감소

아시아투데이 정아름 기자 = 부동산 경기 침체에 지난해 건설 수주가 전년대비 19%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수주 감소율은 수도권이 지방보다 컸다. 3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의 2023년 지역별 건설 수주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건설 수주는 전년 대비 19.1% 감소했다. 수도권 건설 수주는 86조8000억원으로 전년대비 21.6% 줄었다. 수도권 건설 수주는 2018년 71조3000억원, 2019년 86조4000억원, 2020년 92조원, 2021년 103조3000억원, 2022년 110조7000억원을 기록하다 4년만에 감소했다. 같은기간 지방 건설 수주는 88조4000억원으로 전년대비 16.4% 하락했다. 건설 수주가 감소한 이유는 토목 분야 수주 실적에서 건축 쪽 수주가 부진했기 때문이라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지난해 수도권 건축 수주는 전년대비 31.4% 감소한 63조2000억원을 기록, 최근 5년이래 최저치를 기록했다. 토목은 전년대비 약 5조원 증가한 23조60..

지난해 서울 부동산 경매, 전년比 2배 ‘쑥’

아시아투데이 정아름 기자 = 지난해 서울 부동산 경매건수가 전년대비 두 배 넘게 증가했다. 12일 법원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아파트·단독주택·빌라·토지·상가 등 부동산 경매건수는 1만8074건으로 전년(8786건)보다 106% 증가했다. 이 중 낙찰된

호텔롯데 지난해 영업손실 799억…면세부문 1395억 손실

롯데호텔 월드 전경(호텔롯데 제공) 호텔롯데는 지난해 연결 기준 영업손실이 799억원으로 전년(2611억원)보다 적자폭이 줄었다고 31일 공시했다. 매출은 6조4950억원으로 전년대비 41% 늘었다. 호텔 부문은 영업이익 65억원으로 전년 손실 1603억원에서 흑자전환

스텔란티스, 2년 연속 흑자 달성

스텔란티스가 2022년 한 해 동안 글로벌 시장에서 168억 유로의 순수익을 달성, 전년대비 26%의 이윤을 창출하며 2년 연속 흑자 달성이라는 괄목한 성과를 이뤘다고 발표했다. 스텔란티스는 2022년 실적을 발표하며,···

KCC 지난해 영업익 4676억…전년比 20.3% ↑(1보)

KCC 본사 전경(KCC제공) KCC는 지난해 경영실적을 잠정 집계한 결과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4676억원으로 전년대비 20.3% 증가했다고 14일 공시했다. 같은기간 매출액은 전년대비 15.3% 늘어난 6조7748억원으로 집계됐다. 당기순이익은 285억원으로 흑자 전

오늘의집, 500만원 이상 고액구매 소비자 62% 증가

지난해 라이프스타일 플랫폼 오늘의집에서 100만원 이상 지출 고객은 24%, 500만원 이상 지출 고객은 6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늘의집 운영사인 버킷플레이스는 1일 이 같은 내용의 2022년 고객 구매 패턴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버킷플레이스는 고객 구매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