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업일수 부족에도 5월 1~20일 수출 1.5%↑…반도체 45% 증가

세종//아시아투데이 이지훈 기자 = 5월 1~20일 수출이 조업일수 부족에도 반도체 호조에 힘입어 증가세를 이어갔다. 이에 월간 수출액도 8개월 연속 ‘플러스’를 기록할 가능성이 커졌다. 21일 관세청에 따르면 5월 1∼20일 수출액(통관 기준 잠정치)은 327억49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5% 증가했다. 조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액은 17.7% 증가했다. 이 기간 조업일수는 12.5일로 작년(14.5일)보다 2일 적었다. 월간 수출액은 작년 10월부터 지난달까지 7개월째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데 이달까지 8개월 연속 증가가 유력해 보인다. 품목별로 보면 반도체 수출이 45.5% 증가했다. 반도체 수출액은 월간 기준으로 작년 11월부터 지난달까지 두 자릿수가 넘는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석유제품(1.9%), 선박(155.8%), 컴퓨터 주변기기(24.8%) 등도 수출이 늘었다. 반면 승용차(-4.2%), 철강제품(-18.3%) 등은 감소했다. 국가별로는 중국(1…

2월 수출 524억달러, 전년보다 4.8%↑…5개월 연속 증가세

관세청 ‘2월 월간 수출입 현황’ 무역수지 43억달러 흑자…9개월 연속 ‘플러스’ 수입 13.1% ‘마이너스’…가스 48.6%로 가장 많이 줄어 지난달 수출이 지난해 같은 달보다 4.8% 증가해 524억달러를 기록했다. 무역수지도 43억달러 플러스로 9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나, 수입은 13.1% 줄어 481억달러로 집계됐다. 관세청은 ‘2월 월간 수출입 현황(확정치)’을 통해 2월 수출(4.8%)은 설 연휴로 인한 조업일수 감소(전년 대비 –1.5일)에도 불구하고, 5개월 연속 증가했다고 15일 밝혔다. 국가별 수출 금액은 중국(-2.4%)이 감소로 전환한 가운데, 미국은 7개월 연속 증가(9.1%)했다. 반도체 수출은 4개월 연속 증가, 승용차는 20개월 만에 감소로 전환했다. 구체적으로 수출 품목 중 반도체(전년 동월 대비 증감률 63.0%)·선박(27.4%)·무선통신기기(9.8%)·가전제품(13.5%) 등은 증가한 반면, 승용차(-8.2%)·석유제품(-4.0%) 등은 쪼그라들었다. 주요 수출대상국 중 미국(전년 동월 대비 증감률 9.1%)·베트남(4.9%)·일본(1.0%)·대만(8.1%) 등은 늘었고, 중국(-2.4%)·유럽연합(-8.4%)·중동(-13.1%)·호주(-12.8%) 등은 감소했다. 수입 품목에서 원유(전년 동월 대비 증감률 0.9%)·메모리 반도체(32.2%)·의류(3.3%) 등은 증가했고, 가스(-48.6%)·기계류(-10.9%)·승용차(-19.7%) 등은 줄었다. 소비재 수입은 6.6% 감소했다. 이 중 의류(3.3%)·가전제품(20.2%) 등은 증가했고, 승용차(-19.7%)·조제식품(-1.7%) 등은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원자재도 수입도 19.1% 줄어들었다. 원유(0.9%)·철광(31.1%) 등은 증가했지만, 가스(-48.6%)·석유제품(-15.1%)·석탄(-17.5%) 등은 감소했다. 자본재에 수입 역시 5.3% 마이너스를 보였다. 메모리 반도체(32.2%)·제조용 장비(10.9%) 등은 증가한 반면, 기계류(-10.9%)·무선통신기기(-30.5%)·컴퓨터 주변기기(-51.4%) 등은 모두 쪼그라들었다. 주요 수입대상국 중 대만(전년 동월 대비 증감률 15.4%)·베트남(3.6%) 등은 증가했으나, 중국(-14.7%)·중동(-13.6%)·미국(-6.9%)·유럽연합(-14.3%)·일본(-12.0%) 등에서 모두 마이너스를 나타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속보] 삼성물산, 배당·자사주 취득 주주제안 모두 부결 [속보] 장예찬 “20대 초중반 언행 너무 죄송스러…열번 백번 후회” “몸에 정액 좀 닿았다고 바로…” 고통받는 여자들 ‘쇼크’까지 [단독] 양문석, 과거 ‘노무현 비하’ 발언…환경운동 나선 盧에 “역겨움 느껴” [단독] 野공관위는 막말 무풍지대?…”대가리 뽀개자” 김우영 방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