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이 미래다]〈124〉과기처 “인공지능 등 6대 산업 집중육성”

1987년 6월 25일. 과학기술처가 이날 국내 처음으로 인공지능(AI) 같은 미래기술을 중점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전두환 대통령이 주재한 1987년도 제1회 기술진흥확대회의에서다. 과학기술처는 확대회의에서 추격형 기술개발 방식에서 벗어나 창의적 미래기술 개발을 선도하 1987년 6월 25일. 과학기술처가 이날 국내 처음으로 인공지능(AI) 같은 미래기술을 중점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전두환 대통령이 주재한 1987년도 제1회 기술진흥확대회의에서다. 과학기술처는 확대회의에서 추격형 기술개발 방식에서 벗어나 창의적 미래기술 개발을 선도하

STEPI, 개원 37주년…“국가 R&D 사업, 구조 개혁·협력 체계 강화해야”

우수보고서 수상에 정일영 연구위원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이 개원 37주년을 맞아 올해 국가 연구개발(R&D) 사업에 있어 협력 체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9일 STEPI에 따르면 양승우 STEPI 부원장은 지난 8일 열린 기념식에서 “개원 37주년을 맞은 오늘 이 자리는 지난 1년 간의 노고에 대해 서로 격려하며 새로운 미래를 준비하는 시간”이라며 “급변하는 변혁의 칼날 앞에 서 있는 지금, STEPI는 2024년 중점 과제로 국가 R&D 사업의 구조 개혁과 국제 협력을 통한 경제 블록화 과정에서 경쟁과 협력 체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했다. 기념식에선 우수한 연구활동을 나타낸 직원에게 우수보고서와 공로상, STEPlan 등을 수여했다. 정일영 신산업전략연구단 연구위원에겐 우수보고서상을, 김지현 지속가능혁신정책연구단 연구위원과 김권일 혁신법제도연구단 부연구위원에겐 우수정책기여상을 수여했다. 또 김선우 중소·벤처기술혁신정책연구센터장과 박찬수 미래전략연구단 선임연구위원에겐 우수협동연구상을, 혁신법제도연구단 최해옥 연구위원과 신산업전략연구단 오윤환 단장에겐 우수논문상을 수여했다. 이 밖에도 인사관리팀 장상근 팀장과 미래전략연구단 박찬수 선임연구위원에겐 각각 최우수공로상과 우수공로상을 수여했다. 또 우수 직원에게 수여하는 올해의 STEPIan은 국가우주정책연구센터 안형준 정책연구2팀장 외 9명이 선정됐다. STEPI는 과학기술 활동 및 과학기술과 관련된 경제·사회 문제를 연구하고 분석해 국가 과학기술 정책 수립과 과학기술 발전에 이바지하고자 설립됐다. 1987년 과학기술처 산하 한국과학기술원(KAIST) 부설 과학기술정책연구평가센터(CSTP)로 시작해 1993년 5월 과학기술처 산하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부설 과학기술정책관리연구소로 개편됐다가 1999년 5월 과학기술정책연구원으로 발족됐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차기 대권’ 野 이재명 37.3% 조국 7.7%…與 한동훈 26.0% 오세훈 5.3% [데일리안 여론조사] ‘정당 지지율’ 국민의힘 36.9% 민주당 31.3%…국민 70% “여야 협치 못할 것” [데일리안 여론조사] 성폭행 저지른 정명석에 무릎꿇은 경찰…현직 경감 ‘주수호’였다 일곱째 낳아 1억 받은 고딩엄빠…후원금 전부 여기에 썼다 국민 과반 “채상병 특검법, 野 단독처리도 적절…尹 거부권 안돼” [데일리안 여론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