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푸틴 “美-동맹국들 對北도발 반대…중러 군사협력 강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16일 ‘미국과 동맹국들’이 북한을 상대로 ‘군사적 도발 행동’을 하는 것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러시아 타스통신에 따르면 두 정상은 이날 베이징에서 정상회담을 마친 뒤 발표한 ‘중국과 러시아가 양국 수교 75주년에 즈음해 신시대 전면적 전략 협조 동반자 관계를 심화하는 것에 관한 공동성명’에 이런 내용을 담았다. 중국과 러시아는 공동성명에서 “양국은 북한과의 대결을 고조시켜 한반도 무력 분쟁과 긴장 고조를 낳을 수 있는 미국과 그 동맹국들에 의한 군사적 위협(milit

미국, 중국 옥죄기에 아시아 무역지도 바뀐다

대만, 4월 대미 수출 80% 급증 대중 수출은 감소 추세 지속 한국·일본도 미국 비중 날로 커져 아시아 기업들, 대중 투자 대신 동남아·미국에 투자 늘려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전기자동차에서부터 배터리까지 중국산 수입품에 대폭적인 관세 인상을 발표하는 등 전방위적 중국 옥죄기 조치에 나서면서 아시아 공급망 재편이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15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4월 기준 대만의 대(對)미국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80% 넘게 증가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특히 올해 들어 4월까지 미국으로 향하는 물동량은

미국 CPI 완화에 엔화 ‘반등’…“연준 금리인하에 베팅”

미국의 4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 둔화 여파로 엔화 가치가 반등했다. 16일(현지시간) 블룸버그는 미국 인플레이션이 완화되고 있다는 신호에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통화정책을 완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엔화 가치가 상승했다고 보도했다. 엔·달러 환율은 이날 153.60엔까지 떨어지고 나서 현재 154엔 선에서 움직이고 있다. 엔·달러 환율이 최근 몇 주 동안 급등해 34년 만에 처음으로 달러당 160엔을 넘어서는 등 엔화 가치가 약세를 보이자 당국이 두 차례나 개입했다는 의혹을 받은 것과 대조된다. 엔화는

바이든·트럼프 6월 맞장토론 성사…‘사상 최악’ 설전 재방송되나

‘36년 전통’ 9월 첫 토론보다 석달 앞당겨 2020년 말 끊기·막말 ‘졸전’ 되풀이될라 올해 11월 대통령 선거에서 리턴매치를 펼치게 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다음 달 말 첫 TV 토론회를 열기로 했다. 15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두 사람은 6월 말 조기 TV 토론에 나서기로 전격 합의했다. 바이든 대통령이 소셜미디어에서 토론회를 제안하고 트럼프 전 대통령이 즉각 응하겠다고 화답하면서 개최가 결정됐다. 미국 대선 후보 TV 토론회는 통상 각 당이 7~8월 전당 대회에서 대선 후

[상보] 피격 슬로바키아 총리, 응급수술 후 극적 회생…”생명 지장없어”

각료회의 후 이동 직전 발생해복부와 가슴 등 3발 이상 피격부총리 “생명 위험한 상황 아냐” 여러 발의 총을 맞고 응급수술을 받았던 로베르트 피초(59) 슬로바키아 총리가 극적으로 회생했다. 현지 정부는 부총리 명의의 성명을 통해 “목숨이 위험한 상황은 아니다”고 밝혔다. 15일(현지시간) BBC와 프랑스24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피초 총리는 이날 여러 발의 총을 맞고 위중한 상태로 병원에 옮겨져 응급수술을 받았다. CNN은 슬로바키아 정부 관계자 발언을 인용해 “피초 총리가 응급수술을 받았고 현재 생명에는 지장이 없다”고 보도했다

[오늘의 뉴욕증시 무버] ‘밈 주식’ 게임스톱, 19% 급락…델, AI 수혜에 11%대 강세

게임스톱, AMC 등 밈 주식 줄줄이 급락 델, AI 서버 매출 기대감에 목표가 상향 15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등락 폭이 컸던 종목은 게임스톱, 선파워, 델 등이다. 게임스톱은 전 거래일 대비 18.87% 급락한 39.55달러(약 5만4000원)에 마감했다. 대표 ‘밈(Meme·인터넷에서 입소문을 중심으로 투자가 이뤄지는 종목) 주식’인 게임스톱은 과거 ‘개미들의 반란’을 이끌었던 밈 주식 투자자 키스 길이 활동 재개를 예고하면서 최근 며칠간 대폭 올랐지만, 이날은 반락했다. 게임스톱과 함께 대표 밈 주식으로 불리는 AMC

[1보] 뉴욕증시, 상승…나스닥 1.4%↑

뉴욕증시는 15일(현지시간) 상승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349.89포인트(0.88%) 상승한 3만9908.00에 마감했다. S&P500지수는 61.47포인트(1.17%) 오른 5308.15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231.21포인트(1.4%) 상승한 1만6742.39에 거래를 마쳤다.

[1보] 국제유가, 상승…WTI 0.78%↑

국제유가는 15일(현지시간) 상승했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6월물 미국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전 거래일 대비 0.61달러(0.78%) 상승한 배럴당 78.63달러에 마감했다. 런던 ICE선물거래소에서 7월물 브렌트유는 0.37달러(0.5%) 오른 배럴당 82.75달러로 집계됐다.

슬로바키아 총리, 총격당해 병원 이송 “상태 위독”…용의자 현장서 체포

친러시아 성향의 슬로바키아 총리가 총격으로 병원으로 이송됐다. 15일(현지시간) AP 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이날 로베르트 피초 슬로바키아 총리가 수도 브라티슬라바 외곽의 마을에서 총격을 받고 쓰러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날 로베르트 피초 총리는 브라티슬라바 북동쪽으로 150㎞ 떨어진 핸들로바 지역에서 정부 회의를 주재하고 나오던 중 총격에 휘말렸다. 당시 해당 회의가 끝난 뒤 네 발의 총성이 들렸고 이 중 한발이 피초 총리의 복부를 관통했다. 피초 총리는 즉각 병원으로 이송됐으며 현재 위독한 상황으로 알려졌다. 용의자는 슬로바키

EU, 올해 유로존 물가상승률 2.5% 전망…0.2%p↓

유럽연합(EU)이 올해 유로존(유로화 사용 20개국) 소비자 물가상승률 전망치를 약 석 달 만에 하향 조정했다. 15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EU 집행위원회는 이날 발표한 ‘2024 춘계 경제전망’ 보고서에서 올해 유로존 물가상승률이 2.5%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앞서 2월 발표된 이전 전망치인 2.7%보다 0.2%포인트(p) 낮아졌다. 지난해 물가상승률 5.4%와 비교하면 절반 이상 상승 폭이 축소됐다. 또 내년에는 물가상승률이 2.1%까지 내려갈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유럽중앙은행(ECB) 목표치인 2%에 근접한 수준이다.

한일경제인회의 “양국 정부 새 파트너십 선언 기대…교류 강화”

한국과 일본 경제인들은 내년 한일 국교정상화 60주년을 맞는 만큼, 양국 정부가 새로운 파트너십을 선언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15일 오후 도쿄 오쿠라 호텔에서 열린 제56회 한일경제인회의를 마치면서 ‘미래로 이어지는 한일 파트너십’이라는 제목의 공동 성명을 채택했다. 이들은 공동성명에서 “양국 경제인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상호이익이 되는 분야를 찾아 미래로 이어지는 파트너십을 강화한다”고 밝혔다. 양국 정부를 향해선 “한일 국교정상화 60주년을 맞이해 양국 간 우호협력 관계를 더욱 발전시키기 위한 새로운 파트너십이 선언되

빚에 허덕이는 미국인들…1분기 가계부채 사상 최대·신용카드 연체율 13년래 최고

가계부채 17조6900억 달러, 전년 대비 3.8% 증가 부채 70% 이상, 주택이 차지 신용카드 연체 부담, 저소득층에 집중 미국인들이 빚에 허덕이고 있다. 미국 경제가 탄탄한 것과 달리 이들은 여전히 높은 인플레이션과 금리로 인해 부채 압박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저소득층이 카드빚을 내서 간신히 연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4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미국 뉴욕 연방준비은행(연은)은 가계부채·신용에 관한 분기별 보고서에서 1분기 가계부채가 17조6900억 달러(약 2경4147조 원)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오늘의 뉴욕증시 무버] 테슬라 ‘中 관세 폭탄‘에 강세…‘밈주식’ 게임스톱 60%↑

14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 등락 폭이 컸던 종목은 게임스톱, AMC, 테슬라, 리비안 등이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대표적인 밈주식으로 꼽히는 게임스톱이 60% 넘게 폭등했다. 전날에는 74.40% 급등했다. 극장체인 AMC도 이날 31.98% 뛰었고, 온라인 커뮤니티 기업 레딧과 증권거래앱 로빈후드 주가도 각각 7.13%, 6.69% 동반 상승했다. 이들 종목의 급등세는 과거 ‘개미들의 반란’을 이끌었던 밈 주식 투자자 키스 질(롤링 키티)이 전날 소셜미디어 X(엑스)를 통해 3년 만에 활동 재개를 시사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그는

[1보] 뉴욕증시, 상승 마감…다우 0.32%↑

뉴욕증시는 14일(현지시간) 상승 마감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26.60포인트(0.32%) 상승한 3만9558.11에 마감했다. S&P500지수는 25.26포인트(0.48%) 오른 5246.68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122.94포인트(0.75%) 뛴 1만6511.18에 거래를 마쳤다.

[1보] 국제유가, 하락…WTI 1.4%↓

국제유가는 14일(현지시간) 하락했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6월물 미국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전 거래일 대비 1.10달러(1.4%) 하락한 배럴당 78.02달러에 마감했다. 런던 ICE선물거래소에서 7월물 브렌트유는 0.98달러(1.2%) 떨어진 배럴당 82.38달러로 집계됐다.

美 4월 생산자물가 전월대비 0.5%↑…예상치 상회

미국의 4월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예상치를 상회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미 노동부는 4월 미국의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전월 대비 0.5% 상승했다고 이날 밝혔다. 이는 전월 대비 0.3% 상승을 예상한 다우존스 집계 전문가 전망치를 웃돈 수치다. PPI는 전년 동기 대비로는 2.2% 상승했다. 에너지와 식품 등을 제외한 근원 생산자물가도 전월 대비 0.4% 올라 역시 전문가 전망치(0.2%)를 웃돌았다. 전년 동기 대비로는 3.1% 상승했다.

‘라인사태’에 日 총무상 “지배적 자본관계 포함한 과제 있어”

마쓰모토 다케아키 일본 총무상이 ‘라인’ 운영사인 라인야후에 행정지도를 한 것과 관련해 “(네이버에 의한) 지배적 자본관계도 포함해 과제가 있다고 인식한다”고 밝혔다. 14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이날 마쓰모토 총무상은 각의(국무회의) 이후 기자회견에서 이같이 언급하며 “총무성 행정지도가 (정보 유출) 재발 방지와 적절한 보안 거버넌스를 위해 필요한 것”이라는 기존 입장을 되풀이했다. 행정지도 목적에 대해서는 “이용자의 개인 정보를 확실히 보호하는 체제를 확보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교도통신은 한국에서 조국혁신당 조국

중국, 美 전기차·배터리 관세 대폭 인상에 “WTO 규칙 위반”

미국 정부가 11월 대선을 앞두고 중국산 전기차와 전기차용 배터리, 반도체, 태양 전지, 철강, 알루미늄 등 제품에 대한 관세를 대폭 인상하기로 하자 중국은 미국이 세계무역기구(WTO) 규칙을 위반하고 있다고 반발했다. 14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왕원빈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미국 발표가 전해지기 직전 열린 정례 브리핑에서 “여러분에게 알려주고 싶은 것은 중국은 일관되게 WTO 규칙을 위반한 일방적 부가 관세에 반대해왔다는 점”이라고 말했다. 왕 대변인은 “(중국은) 모든 필요한 조처를 해 자신의 정당한 권익을 수호할 것”이라고 덧붙

美, 중국산 전기차 관세 25→100%·태양전지는 50%로 인상

11월 미국 대선을 앞두고 바이든 정부가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관세를 현재 25%에서 100%로 대폭 올린다. 철강·알루미늄 및 전기차용 리튬이온 배터리의 관세는 25%로 상향된다. 이에 대한 중국의 대응과 미·중 통상관계 영향에 귀추가 주목된다. 14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조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중국의 불공정 무역 관행 및 그에 따른 피해 대응을 위해 무역대표부(USTR)에 이 같은 내용의 관세 인상을 지시했다. 관세 인상 대상은 중국산 수입품 180억 달러(약 24조6510억 원) 규모다. 우선 미국 정부는 올해 중국산 전기차

[오늘의 뉴욕증시 무버] 테슬라, 상품 금리 인하에 2.03%↑…애플도 AI에 힘입어 강세

테슬라 신모델 Y 판매량 증가 기대감 인텔 훈풍에 반도체 회사 엔비디아도 상승 13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는 테슬라와 애플, 메타 등 기술주 중심의 등락이 컸다. 미국 전기차 기업 테슬라 주가는 2%를 웃돌며 상승 마감했다. 테슬라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2.03% 오른 171.89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모델 Y 구매자를 위한 금융상품 금리를 낮췄다는 소식이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해당 금리는 이전 6.49%에서 0.99%로 대폭 인하했다. 사실상 무이자 판매다. 테슬라는 전기차 시장이 둔화하고 중국 등 해외시장에서의 경쟁 심화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