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투자증권, 신용대출 90일 금리 4.8% 이벤트 진행

한화투자증권은 다음 달까지 ‘신용대출금리 90일 연 4.8%’ 이벤트를 실시한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이벤트는 생애 최초 비대면 종합계좌를 개설한 신규고객과 지난해 9월부터 신용대출 거래 및 잔고가 없는 휴면고객이 대상이다. 한화투자증권은 이벤트 신청을 완료한 고객을 대상으로 이벤트 기간 내 신용 또는 대출 약정을 체결한 날부터 90일간 연 4.8% 금리를 제공한다. 적용 대상 상품은 신용융자와 국내·해외주식, 펀드, 채권 관련 담보대출이다. 단, 매도담보대출상품 적용 제외된다. 임주혁 한화투자증권 리테일본부 임주혁 상무는 “지

트루윈, 161억 원 투자유치 완료해 최대주주 변경…“AI 반도체·열화상센서 기술 결합”

트루윈이 161억 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완료하고, 최대주주가 변경됐다. 트루윈은 유상증자금을 활용해 열화상센서와 인공지능(AI) 반도체 기술을 결합하고, 양자센싱 기술에 투자하는 등 새로운 성장동력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공시에 따르면, 이번 유상증자에 참여한 에이아이코어비즈 주식회사는 718만1088주(지분율 12.60%)를 보유해 트루윈의 새로운 최대주주가 됐다. 유상증자 목적은 타법인 증권취득이다. 트루윈은 최근 임시주주총회를 통해 반도체 관련 분야의 사업목적 추가 및 관련 전문가를 경영진 영입하는 등 사업 확장을 위한 행보

[환율전망] “달러 약세 속 위험선호 둔화 영향…1310원 후반 등락 전망”

원·달러 환율이 1310원선 후반에서 등락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민경원 우리은행 연구원은 11일 “엔화 강세에 묶인 달러 약세에도 위험선호 둔화, 지난 주 급락에 따른 기술적 조정 등 영향에 하락 출발 후 반등 예상한다”고 내다봤다. 민 연구원은 원·달러 환율 등락 범위를 1314~1321원으로 전망했다. 민 연구원은 “원화는 파월 의장 발언 이후 위안화, 싱가포르 달러 등 주요 비교군 통화보다 더 큰 폭으로 상승했다”며 “포지션을 스퀘어로 가져가던 역외에서 대규모 원·달러 숏플레이로 포지션을 구축한 것이 원인이라고 판단한다”

“삼성전자 메모리 반도체 흑자 구간 진입…AI칩 생태계 강점”

KB증권은 11일 삼성전자에 대해 메모리 반도체의 영업이익에서 흑자전환이 예상된다며 목표주가를 9만5000원으로 유지했다. 투자의견도 전과 같은 매수를 제시했다. 박주영 KB증권 연구원은 “1분기 D램과 낸드플래시 등 메모리 반도체의 영업이익이 2022년 3분기 이후 6개 분기 만에 흑자전환하고 8단 5세대 고대역폭메모리(HBM3E) 출하가 올 3분기부터 시작될 것으로 보여 HBM 경쟁력 우려가 완화된다”며 “파운드리 사업은 하반기부터 선단공정 가동률 상승으로 흑자전환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올해 메모리 반도체 영업이익은 지난해

해외 부동산펀드 어쩌다가…만기 또 연장

해외 오피스에 투자했던 공모펀드들이 잇달아 만기를 연장하고 있다. 10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하나대체투자자산운용의 ‘하나대체투자나사1호’는 지난달 29일 수익자총회를 열어 펀드 만기를 5년 연장하는 안을 가결했다. 올해 3월이던 만기를 수익자총회를 통해 2029년으로 연장한 것이다. 이지스자산운용의 ‘이지스글로벌229호’ 역시 지난달 말 독일 현지 대주단과 대출 유보계약(스탠드스틸)을 3개월 연장했다. 이 펀드가 지난해 11월 30일 체결한 대출 유보계약의 만기는 2월 28일까지였다. 그러나 현지 대주단과의 협의를 통해 만기일을

“코스피 횡보할 때 美·日 증시는 급등”…국내 증시 이탈 보폭 커진 개미

국내 증시에서 개인 자금 이탈 현상이 심화하고 있다. 최근 미국·일본 증시 강세로 금과 가상화폐 등이 최고점을 기록하는 등 높은 수익률을 나타내면서 투자 수요가 늘어난 데 반해 국내 증시는 제자리걸음을 반복하고 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1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2월부터 이달 8일까지 개인은 코스피 시장에서 8조7543억 원 순매도했다. 개인은 1월까지만 해도 코스피 주식 2조8611억 원을 순매수한 바 있다. 반면 개인의 해외 주식 투자는 늘었다. 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올해 2월 해외주식 순매수액은 15억7779만 달러(약 2조8

부동산 토큰증권 플랫폼 ‘소유’, 8호 부동산 완판

부동산 토큰증권 플랫폼 ‘소유’를 운영하는 루센트블록은 8호 부동산 ‘신도림 핀포인트타워 2호’가 완판됐다고 8일 밝혔다. 공모 총액은 21억3000만 원이다. 루센트블록은 “업계 최다 부동산 토큰증권(ST) 공모 완판 기록”이라고 밝혔다. 소유 8호는 7호에 이어 소유가 ‘섹션오피스’라는 떠오르는 트렌드를 반영해 선정한 자산이다. 7호는 2시간 45분 만에 조기 완판하는 흥행을 거뒀다. 연 6%의 배당금을 지급하며, 공모 참여자 중 추첨을 통해 회의실 이용권, 한 달 무료 주차권 등의 혜택도 제공한다. 허세영 루센트블록 대표는

미래에셋운용 1년은행CD금리 ETF, 금리형 종목 수익률 1위

미래에셋자산운용은 ‘TIGER 1년은행양도성예금증서액티브(합성) 상장지수펀드(ETF)’가 최근 1개월간 원화 기반 금리형 ETF 중 수익률 1위를 기록했다고 8일 밝혔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TIGER 1년은행양도성예금증서액티브(합성) ETF는 상장일인 지난달 6일부터 이달 6일까지 수익률 3.67%를 기록했다. 해당 기간 국내 상장된 양도성예금증서(CD) 91일물, 한국무위험지표금리(KOFR) 등 원화 기반 금리형 ETF 수익률 중 가장 높다. TIGER 1년은행양도성예금증서액티브(합성)는 국내 최초 CD 1년물 금리를 추종하는

2월 회사채 수요 예측·발행 호조 지속…금리 상승에 채권 거래량은 감소

2월 장외채권 시장에서 회사채 수요 예측과 발행 호조가 이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금리 상승과 영업일 감소에 따라 거래액은 감소했다. 8일 금융투자협회가 발표한 ‘2024년 2월 장외채권시장 동향’에 따르면 2월 회사채 발행은 연초 효과 지속 등의 영향으로 전월 대비 2000억 원 증가한 14조9000억 원을 기록했다. 회사채 수요예측 금액도 총 105건 7조2500억 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1조6850억 원 줄었다. 수요예측 전체 참여금액은 43조6110억 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4조1580억 원 감소했고, 참여율은 601

마스턴투자운용, 부동산 펀드매니저 위해 ESG 특강 개최

마스턴투자운용이 부동산 펀드매니저를 위한 환경‧사회‧지배구조(ESG) 트렌드 강연을 진행했다고 8일 밝혔다. 마스턴투자운용은 ‘ESG 투자의 최근 동향과 부동산 펀드매니저가 할 일’이라는 제목으로 대체투자 펀드매니저들을 대상으로 한 ESG 특강을 개최했다. 강연이 열린 서울 서초구 강남대로 소재 마스턴투자운용 본사 대회의실에는 부대표 이상 경영진부터 부동산 투자 및 운용 현업 부서, ESG 유관 부서 임직원들이 고루 모이는 등 ESG에 대한 높은 관심을 나타냈다. 연사로는 ‘투자의 미래 ESG’의 저자인 민성훈 수원대학교 건축도시

[특징주] SK하이닉스, 미국 반도체 ‘훈풍’에 52주 신고가 경신

SK하이닉스가 52주 신고가를 재차 경신했다. 미국 증시에서 엔비디아 등이 강세를 보이면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풀이된다. 8일 오전 9시 28분 현재 SK하이닉스는 전 거래일 대비 4.24% 오른 17만1900원에 거래 중이다. 간밤 뉴욕증시에서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는 전장보다 52.60포인트(1.03%) 오른 5,157.36에 마감하며 지난 4일의 종가 기준 최고 기록을 다시 넘어섰다.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7일(현지시간) 연내 금리인하 개시 시점이 멀지 않았음을 시사하는 발언을 하면서

[오늘의 투자전략] 코스피 상승 출발 전망…미 증시 최고치 경신·위험자산 선호심리 확산

전문가들은 8일 코스피가 상승 출발할 것으로 예상했다.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미 증시와 위험자산 선호심리 확산이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김석환 미래에셋증권 연구원 = 미 증시는 반도체 강세에 힘입어 상승 마감. S&P500 지수는 엔비디아, 브로드컴 등 반도체 업종 주요 기업들의 강세 속에 역사적 신고가를 재차 경신.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역시 3% 넘게 상승하며 역사적 신고가를 기록. 이에 SMH, SOXX 등 반도체 주요 ETF 모두 강세 기록. 파월 의장과 크리스틴라가르드 ECB 총재는 디스인플레이션 진전에 대해 긍

[환율전망] “연준 6월 금리 인하 기대감 및 달러 약세 영향…1320원 초반 등락 전망”

원·달러 환율이 1320원선 초반에서 등락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민경원 우리은행 연구원은 8일 “연준 6월 인하 기대와 엔화 초강세가 촉발한 달러 약세를 쫓아 1320원 초반 지지선 테스트를 예상한다”고 내다봤다. 민 연구원은 원·달러 환율 등락 범위를 1320~1327원으로 전망했다. 민 연구원은 “파월 의장이 상원에서 금리인하를 확신하기까지 멀지 않았다는 발언을 하면서 시장에서는 6월 인하에 배팅했다”며 “엔화 초강세까지 더해지면서 오늘 원화를 비롯한 아시아 통화는 달러 약세를 쫓아 강세폭을 키울 것으로 기대한다”고 분석했

“최근 외인 순매수 영국계가 주도…밸류업 덕에 가치주 인기”

최근 밸류업 프로그램에 대한 기대감으로 영국계 자금이 국내 증시로 몰리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또 매수우위도 성장주에서 가치주로 변화했다는 의견이다. 한국투자증권은 8일 “최근 외국계 자금 순매수의 특징은 영국계 자금이 강하게 순매수를 하고 있다는 점”이라며 “지난해 상반기까지 미국계 자금이 주도한 것과 대조된다”고 말했다. 한국투자증권에 따르면 최근 외국인은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2월까지 4개월간 국내 주식을 19조3000억 원을 순매수했다. 이는 2022년 7월부터 지난해 6월까지 1년간 순매수한 금액(18조7000억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