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그룹, 세계 2위 리튬업체와 공급 계약…공급망 다변화 목표

서울경제
|
2024.06.18 오후 06:33
|

현대차그룹, 세계 2위 리튬업체와 공급 계약…공급망 다변화 목표

현대차그룹, 세계 2위 리튬업체와 공급 계약…공급망 다변화 목표
현대차그룹 양재 본사. 사진제공=현대차그룹

현대자동차그룹이 세계 2위 리튬 생산 업체인 칠레 SQM과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핵심 광물의 안정적인 확보를 위해 공급망을 다변화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17일(현지시간) 칠레 리튬 생산 업체인 SQM은 현대차·기아와 수산화리튬 장기 공급 게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수산화리튬은 NCA(니켈·코발트·알루미늄), NCM(니켈·코발트·망간) 등 삼원계 배터리에 주로 사용되는 핵심 광물이다. SQM은 자세한 공급량을 밝히진 않았다.

SQM은 현재 연간 4만 톤의 수산화리튬 생산 능력을 갖추고 있다. 2025년까지 연 생산량을 10만 톤까지 늘린다는 목표다. 추가로 생산하는 6만 톤은 배터리 용량 70~77kWh 기준 약 40만 대의 전기차를 생산할 수 있는 규모다.

이번 계약은 전기차 배터리 핵심 광물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칠레는 미국의 자유무역협정(FTA) 체결국으로 현대차그룹이 SQM에게서 리튬을 공급 받으면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요건을 충족할 수 있다.

실제 현대차그룹은 핵심 광물의 공급망 다변화를 꾀하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올해 초 중국 성신리튬·간펑리튬과 4년간의 수산화리튬 구매 계약을 체결했다. 지난해 8월에는 니켈 생산업체인 고려아연 지분 5%를 인수했다.

전기차 밸류체인을 수직계열화하기 위한 작업이란 분석도 있다. 무엇보다 배터리가 전기차 원가의 40%에 달하는 만큼 내재화할 경우 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기 때문이다. 현대차그룹은 지금까지 배터리 자체 생산에 대해 신중한 입장을 견지하면서도 기술개발은 연구개발(R&D) 본부 내 배터리개발센터에서 지속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대차그룹이 2026년까지 국내에 투자하겠다고 밝힌 68조 원 중 전동화와 배터리 기술에 투입되는 자금은 31조 1000억 원에 달한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Leave a Comment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