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집 줄이는 유통가, 노조 리스크 반복될까 ‘전전긍긍’

데일리안
|
2024.06.18 오전 07:45
|

몸집 줄이는 유통가, 노조 리스크 반복될까 ‘전전긍긍’

편의점업계 첫 노조 설립에 프랜차이즈업계도 긴장

희망퇴직부터 사업 구조조정 등 노사 갈등 심화

정무위 야당 독식에 규제 강화 긴장감 높아져

서울 시내 대형마트에서 장을 보고 있다.ⓒ뉴시스

편의점업계에서 첫 노동조합이 설립된 가운데 유통업계의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체질 개선을 위해 희망퇴직을 비롯한 군살 빼기에 돌입한 상황에서 노조와의 갈등이 깊어질 수 있어서다.

특히 지난 4월 총선에서 야당의 영향력이 더 커지면서 각종 규제가 한층 강화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는 만큼 노조의 입김도 더욱 세질 수 있다는 불안감이 큰 상황이다.

18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민주노총 전국사무금융서비스노조 BGF리테일지부는 지난 12일 설립총회를 열고 지부장을 선출했다. 편의점업계에서 노조가 설립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아직 다른 편의점업체에서의 노조 설립 움직임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업계에서는 예의주시하는 분위기다. 앞서 수년간 노조와의 갈등으로 큰 손실이 발생했던 만큼 노조 리스크에 대한 불안감이 크다는 것이다.

과거 쿠팡과 CJ대한통운을 비롯해 하이트진로, SPC, 다이소 등에서 노조와의 갈등이 발생하면서 많게는 수백억 규모의 손해가 발생한 바 있다.

특히 올해는 주요 유통기업들이 희망퇴직 등 구조조정을 단행 중인 만큼 이에 대한 관심이 더 높을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창사 이래 첫 전사 희망퇴직에 나선 이마트를 비롯해 이마트에브리데이, 롯데온, 롯데면세점, 11번가 등이 희망퇴직을 진행했거나 진행 중인 상황이다. 대형마트부터 면세점, 이커머스까지 온‧오프라인 주요 유통기업들이 포함됐다.

또 홈플러스는 SSM사업인 홈플러스 익스프레스 매각에 나섰고, 신세계와 CJ는 물류 효율화를 위해 협업에 나서는 등 체질 개선을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어지고 있다.

유통업계 안팎의 상황이 빠르게 변화하면서 기업의 대응속도도 빨라지는 만큼 구성원들과의 갈등도 더욱 깊어질 수 있어서다.

이번에 처음 노조가 설립된 편의점의 경우 프랜차이즈 사업 형태를 띠고 있는 만큼 향후 외식 프랜차이즈로의 확산 가능성에도 이목이 쏠리고 있다.

지난 21대 국회에서 가맹점주단체에 교섭권을 부여하는 내용의 가맹사업법 개정안이 최종 국회 문턱을 넘지는 못했지만 야당의 주도로 22대 국회에서 재추진이 유력한 만큼 관심이 높을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프랜차이즈업계 한 관계자는 “주요 유통채널 중에서는 그나마 편의점이 노조 안전지대로 꼽혔는데 이제는 마지막 보루마저 사라진 셈”이라며 “구조조정 등의 문제로 회사와의 갈등이 커지게 되면 노조 설립에 대한 내부적인 요구가 커질 수 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한편 업계 일각에서는 올해는 국회 개원 시점과 불경기가 겹친 해이다 보니 기업에 대한 규제가 한층 강화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유통업계 한 관계자는 “보통 새로운 국회가 개원한 해에는 초선의원들을 중심으로 기업에 대한 증인 출석 요구가 늘기도 한다”면서 “경제가 어려울수록 노사 갈등이 심해지고 노조의 입김도 세질 수 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공정위를 담당하는 국회 정무위원회를 야당이 장악한 만큼 규제 관련법에 더 힘이 실릴 것이란 얘기가 많다”며 “내부적으로는 구조조정을 추진하고 외부에서는 국회 눈치를 봐야 하는 만큼 긴장감이 높아질 수 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분위기를 전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Leave a Comment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