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급여 의료에 보험금 ‘줄줄’…5대 손보사 실손보험 적자 급증

IT조선
|
2024.06.18 오전 06:39
|

비급여 의료에 보험금 ‘줄줄’…5대 손보사 실손보험 적자 급증

대형 손해보험사들이 2021년 이후 출시한 실손의료보험에서 큰 손실을 보고 있다. 비급여 항목 지급액이 지난해보다 크게 증가한 데 따른 것이다.  

대형 손보사 5곳의 4세대 실손보험 손해율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 조선DB

18일 보험업권에 따르면 삼성화재·현대해상·KB손해보험·DB손해보험·메리츠화재 5개 손해보험사의 1분기 실손보험 손해율은 128.0%다. 전년 동기(126.3%) 대비 1.7%포인트 상승했다. 손해율이 100%가 넘는다는 것은 보험사들이 해당 상품에서 적자를 내고 있다는 뜻이다.

특히 4세대 실손보험 손해율이 급등했다. 지난해 1분기 118.4%에서 올해 1분기 134.0%로 15.6%포인트나 치솟았다. 4세대 실손 손해율은 2021년 62.0%, 2022년 88.8%, 2023년 115.5%, 올해 1·4분기 134.0%로 지속해서 오르고 있다. 올해 4세대 손해율이 1세대·2세대 손해율을 넘을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4세대 실손보험은 2021년 7월 출시한 상품이다. 과잉 진료를 억제하고 가입자 간 형평성을 도모하기 위해 보험료 할인·할증제를 적용한 상품인데, 이전 세대 상품보다 저렴한 대신 진료비 자기부담비율이 높다.

나머지 실손보험 손해율은 전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1세대(지난해 124.9→올해 1분기 123.5%), 2세대(117.0→120.5%), 3세대(159.1→155.5%)로 나타났다.

현재 실손보험의 손해율 급등 주범으로는 ▲도수치료 ▲체외충격파 ▲증식치료 ▲비급여 주사료 등 비급여 항목이 꼽힌다. 비급여 의료는 의료기관이 가격을 임의로 설정하고 진료 횟수, 양 등을 남용할 수 있어 일부 의료기관과 소비자의 과잉의료가 지속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대형 손보사 5곳의 올해 1∼5월 실손보험금 지급액은 총 3조8443억원이다. 전년 동기 대비 11.2% 늘었다. 이중 비급여 지급액은 2조2058억원으로 11.3%, 급여 지급액은 1조6385억원으로 11.0% 증가했다. 특히 도수·체외충격파·증식치료 등 영향으로 정형외과 지급액 8645억원 중 비급여 지급액은 6089억원으로 70.4%에 달했다.

전대현 기자 jdh@chosunbiz.com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Leave a Comment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