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74일 만에 시총 4위로 후진한 LG그룹… 현대차그룹 3위 탈환

조선비즈
|
2024.06.17 오후 04:55
|

874일 만에 시총 4위로 후진한 LG그룹… 현대차그룹 3위 탈환

LG그룹이 대기업집단 시가총액 4위로 밀렸다. LG에너지솔루션이 유가증권시장에 입성하면서 시가총액 2위에 올라서고 874일 만이다. 현대차그룹은 시가총액 3위 자리를 되찾았다.

1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종가 기준 삼성그룹(상장사 17개)이 시가총액 650조원으로 1위다. 이어 SK그룹(상장사 20개) 238조원, 현대차그룹(상장사 12개) 158조원으로 시가총액 2위와 3위에 올랐다. LG그룹(상장사 11개) 시가총액은 155조원으로 4위로 미끄러졌다.

서울 여의도 LG에너지솔루션 본사. /뉴스1
서울 여의도 LG에너지솔루션 본사. /뉴스1

LG에너지솔루션 상장 전 시가총액 순위로 되돌아갔다. 2022년 1월 26일 시가총액 순위는 삼성그룹(618조원) → SK그룹(186조원) → 현대차그룹(118조원) → LG그룹(116조원) 순이었다. 하지만 이튿날 LG에너지솔루션이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하면서 LG그룹은 시가총액이 총 229조원으로 불어나면서 2위로 발돋움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상장 당일 공모가(30만원)보다 68.3% 높은 50만5000원에 거래를 마치면서 시가총액이 118조원에 달했다.

LG에너지솔루션 주가가 같은 해 11월 11일 종가 기준 역대 최고가인 62만4000원까지 치솟으면서 LG그룹 시가총액도 255조원까지 커졌다. 같은 날 기준 SK그룹과 현대차그룹 시가총액보다 각각 109조원, 145조원가량 많았다. 하지만 전기차 수요가 둔화하고 중국 기업의 공세가 거세지면서 LG에너지솔루션 주가는 올해 들어 30만원대로 추락했다. LG그룹 시가총액도 후퇴를 거듭했다.

LG그룹은 올해 초 시가총액 2위 자리를 SK그룹에 내줬다. 인공지능(AI) 핵심 반도체인 ‘고대역폭메모리(HBM)’를 미국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에 공급하는 SK하이닉스가 약진한 영향이 컸다. LG그룹은 이어 이날 3위 자리도 현대차그룹에 내줬다. 현대차와 기아 모두 수출 실적과 주주환원 기대감에 힘입어 올해 주가가 30% 넘게 올랐다.

LG그룹이 시가총액 순위를 다시 탈환하기도 쉽지 않다. LG전자가 생성형 AI 관련 데이터센터에 필요한 냉난방공조시스템(HVAC) 사업 기대감에 연중 수익률이 플러스(+)로 돌아섰고 LG생활건강 역시 화장품 사업이 살아나면서 주가가 오름세지만, LG그룹 내 두 회사의 시가총액 비중은 14.7%에 그친다.

여전히 LG에너지솔루션과 LG화학이 LG그룹 시가총액 3분의 2(66.9%)를 차지하는 데 실적 전망이 밝지 않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증권사들은 LG에너지솔루션과 LG화학의 올해 연결기준 연간 영업이익을 2조원가량 낮췄다. 같은 기간 목표주가도 10만원 넘게 하향 조정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Leave a Comment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