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폐광지역 석탄 경석 활용 본격 추진 위한 후속조치 나선다

아주경제
|
2024.06.16 오전 11:15
|

강원도, 폐광지역 석탄 경석 활용 본격 추진 위한 후속조치 나선다

 

사진강원도
[사진=강원도]

강원특별자치도는 폐광지역 내 산재한 석탄 경석의 산업적 활용 및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 ‘폐광지역 석탄 경석의 활용 및 관리에 관한 조례’를 제정하고 본격적인 산업화를 추진한다고 16일 밝혔다.

석탄 경석은 열량이 모자라 판매되지 못하고 지역에 적체 되어 있는 광물로, 오늘날 경제적 가치가 재조명 받고 있었으나 그동안 이를 활용하기 위한 법적·제도적 장치가 미흡해 사업화에 걸림돌이 됐다.

도는 이러한 폐광지역의 애로사항을 해소하기 위해 석탄 경석을 활용할 수 있도록 환경부에 규제개선을 건의했고 재활용 유형에 광업 부산물을 추가하는 내용으로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이 개정(‘16년 7월 21일) 되었으나, 여전히 폐기물로 분류돼 자원으로 활용하지 못했다.

이와 연계해 도는 석탄 경석의 활용을 위해 관계부처(산자부, 환경부, 산림청 등)와의 지속적인 협의를 추진했으며 특히 대통령 주재 강원지역 민생토론회(3월 11일)에서 석탄 경석 관련 규제 개선에 대해 심도있게 논의하며 산업화의 물꼬를 트는 계기를 마련했다.

강원특별자치도와 태백시, 행정안전부와 환경부는 합리적인 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대안을 마련해 석탄 경석의 관리와 관련된 훈령 및 조례 작성, 폐기물 제외 이행 등을 주된 내용을 하는 업무협약을 체결(6월 13일)했다.

이에 도는 업무협약의 후속 조치로서 폐광지역 석탄 경석에 관한 조례를 제정하고, 폐광지역 내 석탄 경석을 안전하게 관리하면서 지역 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행정‧제도적인 지원을 강화할 예정이다.

정일섭 글로벌본부장은 “그간 폐광지역 내에서 활용처를 찾지 못하고 산재해 있던 석탄 경석이 이번 기회를 통해 새로운 산업의 원료로서 폐광지역 경제의 먹거리를 창출하게 됐다”라며 “폐기물 규제에서 벗어난 석탄 경석을 친환경적으로 관리하면서 산업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기업 유치에 노력하는 등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 2024년 긴급돌봄 지원사업 본격 추진

강원특별자치도사회서비스원에서는 돌봄 사각지대를 보완하고 복지서비스를 촘촘하게 연계하기 위해 2024년 긴급돌봄 지원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16일 밝혔다.

긴급돌봄 지원사업은 질병, 부상, 주돌봄자의 갑작스러운 부재로 인한 일시적 위기상황에 요양보호사 등 자격을 갖춘 돌봄인력이 30일, 72시간 한도로 대상자 가정에 방문해 신체돌봄, 가사 및 이동지원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사회서비스원은 긴급돌봄 지원사업의 본격 추진을 위해 직영시설인 서로돌봄센터(춘천, 원주) 2개소 및 제공기관 6개소를 선정하고 춘천, 원주, 강릉, 횡성 4개 지역에 돌봄 사각지대 발굴 및 긴급돌봄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긴급돌봄 서비스가 필요한 도민은 거주지 행정복지센터를 통해 신청이 가능하며 이후 현장방문, 대상자 선정을 거쳐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다.

이은영 도사회서비스원장은 “긴급돌봄 서비스를 통해 돌봄 사각지대 발굴 및 공백 해소와 중단없는 촘촘한 돌봄서비스 제공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Leave a Comment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