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가치 3조’ 美 버드 몰락했는데… 韓 공유 킥보드 ‘빅2’ 흑자낸 비결은

조선비즈
|
2024.06.16 오전 06:15
|

‘기업가치 3조’ 美 버드 몰락했는데… 韓 공유 킥보드 ‘빅2’ 흑자낸 비결은

한때 기업가치가 3조원을 웃돌았던 미국 공유 모빌리티 업체 버드가 작년 말 파산보호를 신청했다. 코로나19 이후 매출 감소, 이용자 사고 관련 소송비 등이 원인으로 꼽힌다. 반면 비즈니스 모델이 유사한 토종 기업들은 기기 관리 비용 감축과 사업 다각화로 견고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쿠(GCOO)./지쿠 제공
지쿠(GCOO)./지쿠 제공

16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공유 플랫폼 지쿠(GCOO)를 운영하는 지바이크의 지난해 매출은 550억원으로 전년(522억원) 대비 6% 증가했다. 퍼스널 모빌리티(PM) 매출이 523억원을 차지했다. 지바이크는 2022년 매출이 전년 대비 55% 성장한 바 있다. 지바이크는 작년 말 투자 혹한기 속에서 19억원 규모의 신규 투자를 유치했다.

지바이크의 지난해 영업이익은 41억원으로, 전년(82억원) 대비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 지바이크 관계자는 “해외로 시장을 확장하면서 서비스 구축 비용이 많이 투입됐다”고 설명했다. 작년 7월 미국 테네시주 멤피스를 시작으로 해외 진출을 시작한 지바이크는 지난 2월 베트남에서도 서비스를 시작했다.

고객도 꾸준히 늘고 있다. 데이터 플랫폼 기업 아이지에이웍스의 모바일인덱스 데이터에 따르면 지쿠의 지난달 월간활성이용자(MAU)는 67만명으로 1년 전(47만명)보다 43% 증가했다. 지쿠의 MAU는 서울시가 운영하는 공공 자전거 따릉이(58만명)보다도 많은 수준이다.

’스윙’ 운영사 더스윙의 지난해 매출은 538억원으로 전년(456억원) 대비 17%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구체적으로는 PM(킥보드, 자전거, 오토바이) 서비스 부문 매출이 371억원이다. 지난해 더스윙의 영업이익은 49억원으로, 전년(17억) 대비 3배 가까이 늘어났다.

더스윙은 지난해 사업 시작과 동시에 매출 100억원을 돌파한 오토바이 리스·렌탈 비즈니스 ‘스윙 바이크(SWING BIKE)’가 매출과 이익에 기여했다고 설명했다. 스윙은 최근 구독 자전거 서비스 스왑(SWAP)을 출시하는 등 사업 다각화에 힘쓰고 있다.

국내 기업들의 선전은 한때 기업가치가 3조원을 돌파했던 미국 공유 전기 스쿠터업체 버드와 대조적이다. 공유 모빌리티 선구자로 통하던 버드는 지난 2022년 스팩 상장을 통한 자금 조달 등으로 반전을 꾀했지만, 상장 후 주가가 폭락했고 결국 상장 폐지됐다. 작년 말에는 파산보호 신청을 했다.

국내 기업들의 흑자 요인으로는 모빌리티 기기 구매 비용을 줄이는 방법으로 수익성을 확보한 게 꼽힌다. 지바이크와 더스윙의 킥보드 사용기한은 5년으로, 해외 주요 퍼스널모빌리티 기업의 5배 수준이다. 기기 관리를 외부 업체에 맡기지 않고 빅데이터를 활용해 직접 관리하면서 파손되는 모빌리티 기기 수를 줄였다.

국내 기업들의 성장세는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마켓리서치퓨처는 세계 PM 시장 규모가 2023년 162억달러(약 22조원)에서 오는 2032년 273억달러(약 37조원)까지 커질 것으로 예상했다. 지바이크는 빠르면 올해 말 기업공개(IPO)를 추진할 예정이다.

다만, 다른 국내 공유 모빌리티 업체들의 사정은 좋지 못하다. 지난해 감사보고서를 공개한 피유엠피의 경우 매출이 2022년 117억원에서 지난해 148억원으로 뛰었지만, 영업손실은 11억원에서 33억원으로 늘어났다.

김필수 PM산업협회 회장(대림대 미래자동차공학부 교수)은 “각 나라마다 공유 모빌리티 관련 법이나 시장 분위기가 다른데, 버드는 글로벌 기업이다 보니 현지화 전략을 구사하지 못했다”면서 “국내 업체들은 비용 효율화를 이루고 시장 상황에 맞게 사업을 다각화하면서 흑자에 성공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Leave a Comment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