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주 먹통됐던 KDX-Ⅱ 구축함, 전투체계 바꾼다

조선비즈
|
2024.06.14 오전 06:45
|

자주 먹통됐던 KDX-Ⅱ 구축함, 전투체계 바꾼다

한국형 구축함 사업(KDX·Korean Destroyer eXperimental) Ⅱ로 건조된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의 성능개량 사업이 진행된다. KDX-Ⅱ의 전투체계인 한국형구축함 지휘체계(KDCOM)는 영국과 프랑스 합작사(BAeSEMA)의 기술이 적용됐으나 노후화로 시스템이 자주 멈춰 정상적인 작전 수행이 어렵다는 지적을 받았다.

KDX-Ⅱ 구축함은 2001년부터 총 6척이 건조돼 2008년까지 차례대로 취역했다. 전투함으로는 중장거리 대공미사일을 처음 장착했고 스텔스 설계가 적용됐다. 대우조선해양(현 한화오션), HD현대중공업이 각각 3척씩 건조했고 한 척당 건조 가격은 약 3900억원이다.

14일 방산업계에 따르면 방위사업청은 KDX-Ⅱ 전투체계 개발사업 업체 선정 입찰 공고를 냈다. 해당 사업은 2033년 12월까지 예정돼 있으며, 1971억3300만원의 예산이 책정됐다. 업계에서는 KDX-Ⅰ(광개토대왕급 구축함) 전투체계를 개선한 한화시스템이 이번 사업에도 참여할 것으로 본다. 방위사업청은 순차적으로 예인선배열음탐기, 유도탄조사기도 교체할 예정이다.

KDX-Ⅱ 초도함 충무공이순신(DDH 975). / 한화오션 제공
KDX-Ⅱ 초도함 충무공이순신(DDH 975). / 한화오션 제공

군함의 두뇌와 비슷한 전투체계는 함정에 탑재된 레이더, 소나 등 센서로 위협체를 탐지·분석하고, 함포 등 무장체계에 명령해 위협체를 제거한다. 방사청은 19일 사업설명회를 열고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 전투체계의 제안요청서를 공개할 예정이다.

KDX-Ⅱ의 전투체계는 노후화로 셧다운이 잦다. KDX-Ⅱ 구축함은 총 6척인데, 2018년 조사 당시 평균 셧다운 건수는 1.4일당 1회로, 2013년(5.2일당 1회) 대비 3.8배 증가했다. 4번함 왕건과 6번함 최영은 각각 0.8일당 1회, 0.85일당 1회 셧다운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투체계가 셧다운되면 다시 복구하는데 보통 10~30분이 걸린다. 해군은 작전 중 셧다운이 되지 않도록 심야 또는 작전 영향이 적은 시간에 전투체계를 재가동하고 있다. 전투체계가 셧다운되면 KDX-Ⅱ의 주력 함대공 무기인 SM-2 미사일을 쓸 수 없어 대공전 능력이 크게 떨어진다.

KDX-Ⅱ 초도함 충무공이순신이 SM-2 미사일을 발사하고 있다. / 해군 제공
KDX-Ⅱ 초도함 충무공이순신이 SM-2 미사일을 발사하고 있다. / 해군 제공

업계에서는 한화시스템이 이번 개발사업에 참여할 것으로 본다. 한화시스템은 KDX-Ⅰ3척의 전투체계 성능개량 사업을 성공적으로 완수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한화시스템은 2016년(당시 한화탈레스)에 이 사업을 500억원에 수주해 2021년 완료했다.

방산업계 관계자는 “충무공이순신급 성능 개량은 광개토대왕급에 적용된 것이 그대로 도입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MW-08 레이더. / 탈레스 제공
MW-08 레이더. / 탈레스 제공

이번 KDX-Ⅱ 전투체계 개량에서는 저성능 논란이 있는 네덜란드 시그널사(社)의 해상감지 레이더 MW-08의 교체 가능성도 점쳐진다. 이 레이더는 해외에선 주로 크기가 작은 초계함에 장착되는데, 우리나라는 기함(旗艦)급인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에 장착돼 논란이 됐다. 탐지 능력이 떨어져 북한 위협에 대응이 쉽지 않다는 지적이 나왔다.

대안으로는 LIG넥스원의 SPS-540K가 꼽힌다. 이 회사의 다른 레이더인 SPS-550K도 고려됐으나 부피와 무게, SM-2 통합 등 비용 문제로 배제됐다. SPS-540K는 신형 참수리, 정조대왕급 이지스 구축함에 장착된 레이더로 MW-08과 무게는 비슷하지만 탐지 거리와 추적 능력이 두 배에 달한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Leave a Comment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