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숙원’ 익산 난포교, 안전하게 다시 태어난다

아주경제
|
2024.06.13 오후 04:00
|

‘주민숙원’ 익산 난포교, 안전하게 다시 태어난다

익산시가 13일 용안면 용머리고을에서 국민권익위원회 금강유역환경청 전북특별자치도와 함께 현장 조정회의를 갖고 난포교 재가설 업무 조정 협의를 체결하고 있다사진익산시
익산시가 13일 용안면 용머리고을에서 국민권익위원회, 금강유역환경청, 전북특별자치도와 함께 현장 조정회의를 갖고 난포교 재가설 업무 조정 협의를 체결하고 있다.[사진=익산시]

전북 익산시민의 숙원사업인 ‘난포교 재가설’에 대한 해결책이 마련됐다.

시는 13일 용안면 용머리고을에서 국민권익위원회, 금강유역환경청, 전북특별자치도와 함께 현장 조정회의를 갖고 난포교 재가설 업무 조정 협의를 체결했다.

현장조정회의에는 김태규 국민권익위원회 부위원장을 비롯해 조희송 금강유역환경청장, 김광수 전북특별자치도 건설교통국장, 허전 익산시 부시장이 참석했다. 

이들은 주민들과 같이 난포교 현장을 방문하고 조정 협의를 체결했다.

난포교는 1980년 성당면과 용안면 경계에 있는 지방하천 산북천을 건너기 위해 만들어진 다리로, 지난 40여년 간 산북천을 사이에 둔 이웃을 이어주는 역할을 해왔다.

하지만 난포교는 하천 제방보다 낮게 위치해 큰 비가 내릴 때마다 월류 위험으로 인근 주민들이 불안함을 토로해왔다. 

실제 지난해 여름 기록적 폭우로 난포교가 범람할 위험에 처하면서 인근 13개 마을 600여 명에 대한 대피 명령이 발생하기도 했다.

주민들이 난포교 재가설을 요구한 데에는 교통 위험의 이유도 있었다.

용안생태습지와 금강을 가기 위해 난포교를 건너는 관광객이 해마다 늘고 있지만 한 번에 차 한 대가 지날 수 있는 좁은 폭 탓에 다리 위에서는 수시로 병목 현상이 발생했다. 게다가 급커브를 해야 건널 수 있는 도로 선형 때문에 안전사고에 대한 우려도 제기돼 왔다.

이에 주민들은 지난 2월 고충민원으로 국민권익위원회에 난포교 재가설 문제를 신청했다. 

권익위는 관련 기관의 의견을 듣고 해결 방안을 마련하고자 실지 조사를 시행, 업무 조정 협의를 진행했다.

이날 조정 결과에 따라 금강유역환경청이 난포교를 금강 공주권역 배수영향구간 정비사업에 포함해 재가설하기로 했다. 

또한 전북특별자치도와 익산시는 재가설 하는 난포교와 이어지는 지방도를 연결하는 도로 선형을 조정 정비할 계획이다.

허전 부시장은 “관계 기관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조속한 시일 내에 난포교 문제가 해결될 수 있도록 하겠다”며 “재가설이 완료될 때까지는 강우로 인한 범람 위험시 차수벽 설치로 관리하고 응급장비 등을 투입해 우기철 재해 예방에 철저히 대비토록 하겠다”고 말했다.
 

벼 병해충 방제 약제 지원에 8억원 투입
익산시청 전경사진익산시
익산시청 전경[사진=익산시]

전북 익산시는 8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벼 종합방제 약제 지원사업을 추진한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병해충 피해 최소화와 고품질 쌀의 안정적 생산을 위해 약제를 지원하고 적기 방제를 유도하기 위한 목적이다.

시는 벼 병해충 종합방제 약제 구입비를 ㏊당 5만원 상당의 교환권으로 지급한다. 

교환권은 문자로 발급되며 농업인이 희망하는 지역농협 또는 지역 농약사에서 사용할 수 있다.

벼 재배 농업인은 오는 19일까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신청하면 된다. 

지원 대상으로 선정되면 살균제와 살충제 각 30여 종 중 가격과 효과를 고려해 직접 선택할 수 있다.

살균제는 △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흰잎마름병 △세균벼알마름병 △깨씨무늬병 등 방제 약제가 대상이며, 살충제는 △멸구류 △나방류 △노린재류 등이다.

시는 사업을 통해 고령화된 농촌의 일손 부족 문제 해소를 돕고 병해충 확산 방지로 안정적인 농가소득 증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Leave a Comment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