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통화정책 차별화 따른 변동성 긴밀히 공조해 대응”

전자신문
|
2024.06.13 오전 09:48
|

정부 “통화정책 차별화 따른 변동성 긴밀히 공조해 대응”

최상목 부총리가 13일 카자흐스탄 아스타나에서 화상연결로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주재하고 있다.[기재부 제공]

연방준비제도(Fed)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7차례 연속 정책금리를 동결한 가운데 정부가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열고 통화정책 차별화에 따른 금융시장 변동성을 긴밀하게 모니터링하겠다고 밝혔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카자흐스탄 아스타나에서 화상연결을 통해 거시경제금융회의를 개최하고 FOMC의 결정에 따른 국내 금융시장 영향을 점검했다.

정부는 “글로벌 금융시장이 FOMC 결과를 다소 매파적으로 평가했으나 5월 소비자물가지수 둔화에 보다 주목해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다”고 분석했다.

FOMC는 성명서를 통해 물가 목표 달성에 대한 더 큰 확신이 생기기 전까지 금리 인하는 적절치 않다는 기존 입장을 유지했다. 연준 위원들은 금년 금리 인하폭 전망을 기존 75bp에서 25bp로 축소했다. 다만 파월 의장은 기자회견에서 금리인하 시점은 데이터 의존적이며 예상보다 빠르게 인플레이션이 둔화할 경우 반응할 준비가 돼 있다고 언급했다.

회의 참석자들은 연준의 금리인하 시기 및 폭에 대한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가운데 유럽·캐나다 중앙은행 금리 인하 등 통화정책 차별화에 따른 글로벌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만큼 관계기관과 긴밀히 공조하기로 했다.

최근 국내 금융시장에 대해서는 외국인 증권자금 순유입이 지속되는 가운데 자금시장에서 회사채 및 단기금리 안정세가 이어지는 등 양호한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이와 함께 대외 변동성 완화를 통한 금융시장 및 실물경제 안정을 위해 대외 안전판을 지속 확충해야 한다고 의견을 모았다.

자본시장 선진화를 위해 기업 밸류업을 위한 법인세·배당소득세 경감, 상속세 부담 완화 등 세제지원 방안을 마련하며, 공매도 제도개선 방안도 조만간 확정·발표한다.

7월 시행 예정인 외환시장 개장시간 연장, 외국인의 국내 증권투자 결제실패 방지 및 거래 편의 개선을 위해 현지 거래은행을 통해서도 원화 일시차입을 허용하기로 했다.

9월 세계국채지수 편입을 목표로 국채통합계좌 개통 등 제도적 기반을 완비하고, 법인식별번호 인정 범위 확대, 외국인 국채투자 비과세 절차 간소화 등 접근성을 제고하는 동시에 해외 투자자들과의 소통도 강화할 방침이다.

최다현 기자 da2109@etnews.com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Leave a Comment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