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사고 싶어도 못 사!” 불과 12년 만에 벌어진 상황, 국내 준중형 세단의 미래는?

리포테라
|
2024.06.12 오후 06:48
|

“이제 사고 싶어도 못 사!” 불과 12년 만에 벌어진 상황, 국내 준중형 세단의 미래는?

기아 대표 준중형 세단 ‘K3’ 단종 예고
오는 7월을 끝으로 생산 중단할 계획
노후화와 판매 부진으로 모하비도 단종
준중형 세단
K3 (출처-기아)

기아가 브랜드를 대표하는 준중형 세단 K3를 단종한다.

최근 업계 소식에 따르면, 기아는 오는 7월 준중형 세단 K3의 생산을 중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지난 2012년 포르테 후속으로 첫 출시된 K3는 계속된 판매 부진과 모델의 노후화로 이 같은 결정을 내린것으로 알려졌으며, 수요가 높은 하이브리드 SUV와 픽업 트럭 같은 더 인기 있는 차량에 집중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된다.

기아 K3, 현대차 아반떼 판매량의 3분의 1에도 못 미치는 판매량으로 결국 단종 수순 밟게 돼…

준중형 세단 (2)
K3 (출처-기아)

기아 K3의 올해 4월까지 누적 판매량은 5,530대에 그쳤다. 이는 경쟁 모델인 현대차 아반떼의 판매량의 3분의 1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치다.

K3는 1,825만 원부터 시작하는 뛰어난 가성비를 자랑했으나, 신형 플랫폼과 최신 사양이 대거 탑재된 아반떼에 비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상품성이 판매 부진의 원인으로 지목된다.

K3의 단종은 단순히 한 모델의 종료를 넘어, 국내 소형 세단 시장 전체에 큰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이번 단종으로 국내에서 판매되는 국산 준중형 세단은 현대차 아반떼만 남게 된다.

준중형 세단 (3)
K3 (출처-기아)

이는 과거 쉐보레 크루즈, 르노코리아 SM3 등 다양한 준중형 세단 모델이 존재했던 시절과는 크게 대조되는 상황으로 이러한 변화는 소형차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줄어들고, 대신 SUV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음을 반영한 모습이다.

기아는 K3 단종 이후 주력 모델인 쏘렌토의 생산에 집중할 예정이다. 쏘렌토는 올해 국산차 누적 판매량 1위를 기록하며 큰 인기를 얻고 있다.

특히, 하이브리드 모델은 출고에 수개월이 소요될 만큼 높은 수요를 보이고 있다. 이처럼 SUV 시장의 성장세는 뚜렷하며, 기아는 이를 전략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준중형 세단 (4)
K3 (출처-기아)

또한, 기아는 K3와 함께 모하비 모델의 단종도 예고했다. 모하비 역시 모델 노후화와 판매 실적 저조로 인해 단종 수순을 밟게 된다.

대신, 중단된 K3와 모하비의 생산 라인은 기아의 새로운 픽업트럭 ‘타스만‘의 생산 라인으로 전환될 예정이다. 타스만은 내년 초 국내를 포함해 호주, 아중동 시장 등 글로벌 시장에 순차적으로 출시될 계획이다.

이번 기아의 K3 단종 결정은 소형 세단 시장의 축소와 SUV 시장의 확장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이는 자동차 업계의 큰 변화 중 하나로, 앞으로의 시장 동향과 소비자 선호도에 따라 더 많은 변화가 일어날 가능성이 크다. 기아는 이러한 변화에 발맞춰 새로운 전략을 모색하고 있으며, 향후 어떤 행보를 보일지 주목된다.

준중형 세단 (5)
K3 (출처-기아)

한편, 소형 세단의 입지가 점차 줄어드는 가운데, 기아 K3 단종은 국내 자동차 시장의 새로운 흐름을 예고하는 중요한 사건으로 기록될 것으로 보이며, 앞으로 SUV와 픽업트럭 등 다양한 모델을 통해 소비자들의 요구에 부응하는 기아의 행보가 기대되고 있다.

실시간 인기기사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Leave a Comment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