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캐즘 극복하려면 보조금 늘리고 충전료 할인해야”…부정적 인식 개선도 시급

전자신문
|
2024.06.11 오후 04:00
|

“전기차 캐즘 극복하려면 보조금 늘리고 충전료 할인해야”…부정적 인식 개선도 시급

강남훈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 협회장

전기차 산업 경쟁력 유지를 위해 보조금을 늘리고 충전료를 할인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와 함께 전기차의 안전성, 충전 불편성 등에 대한 전기차 비사용자에 대한 인식 개선 필요성도 거론됐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가 11일 ‘전기차 수요 확대를 위한 소비자 인식개선 방안’을 주제로 개최한 친환경차분과 전문위원회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전기차 캐즘(수요 둔화) 극복 방안을 제시했다.

강남훈 KAMA 회장은 “전기차 수요 부진이 지속될 경우, 전기차 투자를 확대하고 있는 우리나라 자동차 산업 생태계의 전동화 전환 동력이 상실될 우려가 있다”며 “향후 2~3년간 한시적으로 전기차 보조금을 2022년 보조금 수준(승용 600만원, 화물 1400만원)으로 3년간 유지하고, 충전 요금 할인 특례를 부활시키는 등 소비자가 체감할 수 있는 획기적 인센티브 정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김성태 전기차사용자협회 회장도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전기차 비보유자의 구매 고려 요인 중 보조금 등 금전적 혜택이 가장 큰 요인으로 확인됐다며 보조금 정책이 전기차 보급 확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밝혔다.

참석자들은 전기차 화재 안전성 우려, 충전 불편과 같은 부정적 인식 등 전기차에 대한 일반 국민의 오해와 편견을 바로잡는 인식개선 활동이 시급하다고 공감했다.

김 회장은 전기차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기반으로 한 소비자 인식개선 활용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전기차사용자협회가 지난해 11월 총 529명(전기차 보유자 128명·비보유자 401명)을 대상으로 ‘전기차 경험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만족’ 또는 ‘매우 만족’이 90.6%(보유자)로 드러났다.

비보유자가 전기차를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이유는 ‘화재·급발진 등 부정적 정보’가 54.5%로 가장 많았고, ‘충전인프라 부족'(48.3%), ‘장거리 운행 애로'(34.1%)가 뒤를 이었다.

이날 정연제 서울과학기술대 교수는 총소유비용 분석을 통한 내연기관 대비 전기차의 경제성 분석 결과를 공유했다.

정 교수는 “2021년 기준 전기차의 총운영비용이 내연기관차대비 약 650만원 우위인 것을 확인했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매년 보조금이 지속적으로 감소했고, 충전요금 할인특례 일몰(2022년 7월) 등으로 전기차의 경제성 우위 효과가 약화되고 있다는 게 정 교수의 분석이다.

김지웅 기자 jw0316@etnews.com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Leave a Comment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