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병훈 SK하이닉스 부사장 “HBM, 신중한 투자 필요”

데일리임팩트
|
2024.06.04 오후 01:20
|

류병훈 SK하이닉스 부사장 “HBM, 신중한 투자 필요”

류병훈 SK하이닉스 부사장. /사진=SK하이닉스
류병훈 SK하이닉스 부사장. /사진=SK하이닉스

[데일리임팩트 황재희 기자] “인공지능(AI) 서비스가 고도화될수록 메모리 월이 한계로 지적됩니다. 이를 극복할 제품으로 HBM이 떠오르고 있죠.”

류병훈 SK하이닉스 미래전략 담당 부사장은 4일 뉴스룸 인터뷰를 통해 고대역폭메모리(HBM) 수요는 앞으로도 증가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메모리 월’은 다음에 처리해야 할 데이터가 메모리에서 도달하지 못해 프로세서가 대기하는 상황을 뜻한다.

류 부사장은 “단기적으로는 성장이 확실하지만 전방 산업이 탄탄히 자리 잡기 전까진 변동성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며 “AI 데이터센터 구축 속도까지 감안해 신중하게 투자를 늘려야 한다”고 밝혔다. 

반도체의 전방 산업은 보통 PC, 스마트폰 등 최종 소비자가 접하는 업종이다. 결국 HBM도 AI 메모리 반도체인만큼 최종 제품 수요에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단 얘기다. 

류 부사장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회사의 성장 방향을 고민하고 지원하는 조직인 미래전략팀을 이끌고 있다. 다양한 사내 부서와 협업해 정보를 폭넓게 수집하고 .시황, 트렌드, 경쟁 환경 등을 파악해 회사의 향후 전략에 반영하는 일이다. 

이같은 미션 달성을 위한 태도로 ‘원팀 스피릿(One Team Spirit)’을 강조한다. 경영 환경 전반을 이해하면서 수많은 기술 트렌드를 익히고 현장 목소리까지 반영해 사업 전략을 수립하려면 전사 구성원과의 협업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생각에서다.

류 부사장은 “연구개발(R&D) 조직에서 접한 업계 정보, 선행기술연구 조직에서 파악한 실리콘밸리 하드웨어 변화 등 데이터와 인사이트를 펼쳐 놓고 함께 논의해야 글로벌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며 “전사적 차원에서 트렌드를 읽을 수 있도록 원팀 스피릿을 추구해야 한다”고 밝혔다.

최근 협업 사례 중 하나로 류 부사장은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를 들었다. AI가 급부상하면서 HBM과 함께 AI 데이터센터에 탑재되는 고용량 기업용 SSD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데 이같은 정보를 사업 전략에 신속히 반영해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류 부사장이 가진 경쟁력은 장기간 IT와 반도체 산업 역량을 축적해온 결과다. 그는 SK텔레콤(2012년) 재직 당시 하이닉스 반도체 인수에 결정적 역할을 하기도 했다. 이 과정에서 반도체 전후방 산업 특성을 파악한 류 부사장은 이후 SK C&C, SK스퀘어 등 그룹사를 거치며 IT 산업 변화와 투자 동향도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었다.

류 부사장은 “단기적 목표는 어느 곳에 자원을 집중하고, 어떤 제품 라인업을 강화할지 생산·투자 관점에서 최적점을 찾는 것”이라며 “중장기적으로는 생성형 AI 처럼 시장 변화를 이끌 기술·사업·거시적 인자를 파악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장기적으로는 글로벌 운영 체계를 확립하고 싶다”며 “예컨대 실리콘밸리의 공급망 변화를 감지하면 이를 의사결정에 즉시 반영해 생산·투자를 일사천리로 조정하는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마지막으로 류 부사장은 “AI 시장 전체를 보면 전방 사업자들이 지출을 최소화하면서 효율을 높이려는 흐름이 있다. 여기서 고객 맞춤형 제품의 수요가 증가한다는 인사이트가 나온다”면서 “앞으로는 경쟁 환경을 고려한 합종연횡과 고객 밀착 서비스가 더욱 중요해질 것이라 보고 미래전략을 고민할 것”이라고 마무리지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Leave a Comment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