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개 숙인 토요타…’품질 경영’으로 쌓은 신뢰, 부정행위로 몰락

IT조선
|
2024.06.04 오전 06:19
|

고개 숙인 토요타…’품질 경영’으로 쌓은 신뢰, 부정행위로 몰락

일본 토요타자동차가 품질 인증과 관련한 부정행위가 있었다는 사실이 드러나며 ‘품질 경영’으로 쌓은 신뢰가 깨질 위기에 놓였다. 

 토요타 아키오(豊田章男) 토요타자동차 회장이 3일 기자회견장에서 고개를 숙였다. / 토요타자동차
 토요타 아키오(豊田章男) 토요타자동차 회장이 3일 기자회견장에서 고개를 숙였다. / 토요타자동차

일본경제신문과 NHK 방송에 따르면 일본 국토교통성이 토요타자동차와 마쓰다, 야마하발동기, 혼다, 스즈키 등 5개 사의 자동차 성능 실험에서 부정행위가 있었다는 사실을 보고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토요타자동차가 보행자 보호 시험과 관련한 허위 자료를 제출한 사실이 드러났다. 부정행위가 적발된 모델은 ▲코롤라 필더 ▲코롤라 악시오 ▲야리스 크로스 등 3개 모델이다. 이에 국토교통성은 해당 모델의 출고 중단을 지시했고, 관련 법률에 따라 아이치현에 있는 본사 현장 검사에 나설 예정이다.

마쓰다 역시 비슷한 처지다. 현재 생산 중인 자동차 2종을 비롯해 과거 판매했던 모델 3종 등 총 5종에 부정행위가 적발됐고, 야마하 발동기는 제작 중인 1종과 단종 모델 2종 등 3개 모델에 문제가 있던 것으로 드러났다. 국토교통성은 마쓰다와 야마하발동기가 생산·판매 중인 3개 모델의 출고 정지를 명령했다.

혼다의 경우 과거 22개 차종, 스즈키는 과거 차종 1개에서 각각 부정행위가 있었다. 국토교통성 관계자는 “부정행위는 소비자의 신뢰를 훼손하며 자동차 인증제도의 근간을 흔드는 행위로 매우 유감이다”며 부정행위에 대해 강력하게 비판했다.

국토교통성은 토요타의 자회사인 다이하쓰 공업이 자동차·엔진을 대량 생산할 때 필요한 ‘형식 지정’ 취득 과정에서 대규모 부정행위가 있었다는 사실이 공개된 후 완성차·부품 업체 85곳에 지난 10년간 비슷한 문제가 있었는지 조사하라고 지시했다. 지난달 말 업체 68곳의 조사를 마쳤고 토요타를 포함한 나머지 17곳은 현재 조사가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경제신문은 “일본 정부는 일본을 대표하는 자동차 업체에서 부정행위가 드러난 사실에 현장 검사가 필요하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일본 도로운송차량법에 따르면 안전 기준에 부합하지 않거나 부정 수단에 의해 형식 지정을 받을 경우 이를 취소할 수 있는 조항이 있다. 또 지정이 취소될 경우에는 재취득까지 생산이 불가능하다.

한편, 토요타 자회사인 다이하쓰 공업은 지난해에도 안전성 시험 과정에서 부정행위가 반복됐던 사실이 드러나 뭇매를 맞기도 했다. 당시 다이하쓰 공업은 64개 차종 모두에서 무려 174건의 부정행위가 발견돼 전차종의 출고를 정지했다. 또 토요타 자동직기에서도 자동차용 엔진 인증 과정에서 부정행위를 저지른 사실이 드러났다. 

허인학 기자 ih.heo@chosunbiz.com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Leave a Comment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