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대 이길주·황재연 교수, ‘한우물파기’ 기초연구 과제 선정

아주경제
|
2024.05.28 오후 02:45
|

부산대 이길주·황재연 교수, ‘한우물파기’ 기초연구 과제 선정

한우물파기 기초연구는 지난해 첫 시행된 프로그램으로 우수한 젊은 연구자가 장기간 한 분야에서 도전적인 연구를 지속해 세계적인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사진부산대
사진 왼쪽부터 이길주 교수 황재연교수, ‘한우물파기 기초연구’는 지난해 첫 시행된 프로그램으로, 우수한 젊은 연구자가 장기간 한 분야에서 도전적인 연구를 지속해 세계적인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사진=부산대]

부산대학교는 전기전자공학부 이길주 교수와 분자생물학과 황재연 교수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주관하는 ‘2024년 한우물파기 기초연구 과제’에 선정됐다고 28일 밝혔다. 

두 교수는 향후 10년간 각각 18억7800만원의 연구비를 지원받게 된다.

‘한우물파기 기초연구’는 지난해 첫 시행된 프로그램으로, 우수한 젊은 연구자가 장기간 한 분야에서 도전적인 연구를 지속해 세계적인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지원 대상은 박사학위 취득 후 15년 이내의 대학 이공 분야 연구자이며, 연구 기간은 총 10년(5+5)이다. 올해에는 전국 이공계 전 분야에서 총 30개 과제가 선정됐다.

이번에 선정된 이길주 교수는 ‘단일 렌즈 및 곡면 이미지 센서 기반의 고밀도 픽셀과 신경 시냅스 특성을 모방한 완전 생체 모방 인공신경망 이미징 시스템 개발’ 과제를 수행한다. 이 과제는 기존의 이미징 시스템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형태의 광학계와 영상처리 방법 및 하드웨어를 제시하며, 로봇 혁명의 새로운 비전 시스템 구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길주 교수는 “현대 카메라 시스템은 이미 높은 수준에 도달했지만, 다가오는 로봇 혁명에서는 드론, 자율주행, 휴머노이드 로봇 등 더 복잡한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서는 적은 전력 소모, 우수한 이미징, 빠른 연산 속도, 컴팩트한 하드웨어 등이 필요하다. 이번 과제에서는 생물의 눈에서 영감을 받아 더 작고 효율적인 이미징 시스템을 개발함으로써 미래 기술을 선도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황재연 교수는 ‘화학 신호의 물리적 변환에 의한 포유류 정자의 과활성화 운동 조절’ 과제를 통해 정자의 운동성 조절에 관한 근원적 이해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 과제는 정자 꼬리의 내부 구조 규명과 화학 신호 인지에 의한 정자 꼬리의 물리적 기능 조절 이해를 통해 지난 반세기의 과학적 난제인 정자 운동성 조절의 분자 기전 규명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황재연 교수는 “현재 한국 사회는 불임과 난임, 계획 임신의 실패 등 생식 문제에 직면해 있습니다. 우리 연구팀은 이번 과제를 통해 세포생물학, 유전학, 생화학, 분자생물학 지식을 통합적으로 적용해 남성 생식에 대한 기초 지식을 확보하고, 대한민국의 국제 기초 과학 경쟁력 강화, 글로벌 학술 네트워크 형성, 지역 과학 인재 양성 등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부산대는 이 두 교수의 연구가 과학기술력 향상과 더불어 지역 및 국가의 과학 경쟁력 강화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Leave a Comment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