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서명 프로토콜 이더사인, 글로벌 확장 기대

전자신문
|
2024.05.27 오후 05:41
|

블록체인 서명 프로토콜 이더사인, 글로벌 확장 기대

이더사인은 웹3 진입을 위해 앱을 새로 구축했다. 사진=이더사인

최근 공공기관은 국민 생활 편의를 위해 블록체인 기술 도입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에 보안과 신뢰성을 이유로 온체인 서명, 증명 플랫폼의 필요성이 나타나고 있다.

온체인 방식은 기존 중앙집중화 구조에 가로막혔던 보안 문제나 확장성 문제의 해결책 중 하나로 떠오른다. 중앙화 구조는 한 번의 해킹으로 많은 정보가 유출될 위험이 있고, 업데이트 등 버전 관리에도 어려움을 겪기 때문이다.

EthSign(이더사인)은 싱가포르 웹3 스타트업으로 지난 2019년 회사를 설립, 2020년 이더리움 재단에서 개최한 해커톤 HackFS에서 첫선을 보였다. 회사 이름을 딴 이더사인은 소재 전자 계약 서명 디앱(dApp,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으로 웹2에서 서명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아울러 웹3 진입을 위해 앱을 새로 구축해 사용 사례를 확장하고 있다.

이더사인 유저의 모든 서명은 체인에 기록되고 이를 통해 법적 구속력을 확인, 변조할 수 없는 계약 서명을 만들어 분쟁 가능성을 줄인다. 또 비싼 서비스 구독료 없이 저렴한 트랜잭션 수수료(가스)만 있으면 사용할 수 있다.

현재 이더사인은 블록체인 프로젝트인 텔레그램 ‘톤’과 네이버 라인의 ‘핀시아’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유저는 암호화폐 지갑을 메신저에 연결해 이더사인을 통해 서명할 수 있다.

이더사인은 지난 1월 1일 서명 후 증명 서비스를 공개하고 현재 베타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다. 독자적인 옴니체인 증명 프로토콜 Sign Protocol(이하 사인 프로토콜)은 ‘Sign Everything’을 슬로건으로 내걸고 암호화 산업의 인증 및 검증 부문에서 주요 데이터 증명 수단으로 자리매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사인 프로토콜은 직관적이고 간단한 프로세스가 특징으로 유저는 스키마(증명 과정)를 코딩 없이 만들 수 있고 온체인 증명을 생성할 수 있다. 사인 프로토콜은 출시 후 지난 4월까지 130만 건 이상의 온체인 증명 데이터를 쌓았으며, 현재 베이스, 이더리움, 옵티미즘, 폴리곤 등 총 8개 메인넷, 12개의 테스트넷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작동된다.

블록체인 정보 웹사이트 Benft는 “사인 프로토콜의 상용화가 기대된다”며 “사인 프로토콜이 국내 공공기관과 협력할 수 있는 부분이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사인 프로토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사인 프로토콜 공식 웹사이트와 트위터, Benft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원지 기자 news21g@etnews.com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Leave a Comment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