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와 반대로 가네… IT용 OLED 전성기

데일리안
|
2024.05.21 오전 06:24
|

TV와 반대로 가네… IT용 OLED 전성기

시장 침체 지속되는 TV와 정반대 행보

모니터 뿐 아니라 태블릿 등 기기도 대세

아이패드 공급망서 中 배제, 국내 업체 반사 이익 기대

애플 신형 아이패드. ⓒ애플 애플 신형 아이패드. ⓒ애플

IT용 OLED(유기발광다이오드)가 폭발적인 성장세를 기록 중이다. 시장 침체가 지속되고 있는 TV와는 정반대의 행보다.

21일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글로벌 OLED 모니터의 1분기 출하량은 20만대로, 전년 동기 대비 121% 성장했다. 상반기에 새로운 OLED 모니터 모델이 출시되면서, 이같은 성장세는 2분기에도 이어질 것으로 분석된다. 상반기 총 판매량은 50만 대에 달할 것으로 예측된다.

모니터의 경우 TV처럼 단순 시청기기 역할도 하지만, 게이밍 등 실감나는 영상 시청에 대한 수요가 반영되는 특성이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최근 OTT(온라인동영상서비스) 시장 확대로 언제든 손쉽고 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이동형 시청기기가 더 인기를 끌게 된 영향도 크다.

게이밍은 물론 서브 TV용 모니터의 구매 기준에서 ‘해상도’가 중요해지면서 OLED 패널의 수요가 대폭 커지게 됐다. 글로벌 OLED 시장에서 70%가 넘는 압도적인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는 국내 기업들의 당분간 시장 전망이 긍정적으로 점쳐지는 배경이다.

삼성전자는 올해 1분기 OLED 모니터 시장에서 36% 점유율로 1위를 차지했다. 트렌드포스는 “LCD(액정표시장치) 모델 대비 20%가량 비싸지만, 비용 대비 성능 이점을 제공하는 49인치 모델의 판매 호조에 힘입은 결과”라고 분석했다.

LG전자는 19% 점유율로 3위에 올랐다. 기존 27, 45, 48인치 모델 판매 강세를 이어갔으며, 34, 39인치 모델을 출시하며 출하량 최고치를 경신했다. 뒤를 이어 풀 OLED 라인업을 갖춘 에이수스와 신형 모델을 다수 차지한 MSI가 각각 4,5위를 차지했다.

아울리 태블릿 OLED 패널 시장의 성장도 눈여겨볼 만하다. 올해 3월을 기준 국내 기업들의 총 생산량은 전월 대비 350% 상승한 98만장을 기록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애플이 역대 아이패드 최초로 신제품에 OLED 패널을 탑재하면서 지난해 부침을 겪었던 국내 디스플레이 업체들 실적도 다소 일찍 반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신형 아이패드 프로는 11인치, 13인치 모델로 각각 출시됐다. 두 개의 OLED 패널을 겹쳐 만든 탠덤 OLED 방식이다. 두 패널의 조명을 조합해 화면을 최대한 밝은 화면을 구현할 수 있다.

아이패드 프로에 탑재되는 OLED는 모두 국내 기업인 LG디스플레이와 삼성디스플레이가 생산한다. 출하량 기준 점유율은 LG디스플레이 55% 내외, 삼성디스플레이 45% 내외로 추정되고 있다.

업계는 신형 아이패드 패널 공급사에 BOE 등 중국 업체들이 배제되면서 국내 기업들이 향후 OLED 시장에서 주도권을 확장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시장조사 기관 유비리서치에 따르면 2023년 180만 대 수준이었던 태블릿 OLED 패널 시장 규모는 올해 6~7배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시장 규모도 지난해 3억 7900만 달러에서 올해 29억 달러로 급성장할 것으로 예측됐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Leave a Comment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