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연금 사전지정운용 수익률, 보험이 최고…”고위험 상품 관리 안정적”

아주경제
|
2024.05.19 오후 03:37
|

퇴직연금 사전지정운용 수익률, 보험이 최고…”고위험 상품 관리 안정적”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지난해 7월 본격적으로 시행된 퇴직연금 사전지정운용 상품의 1년 운용수익률이 보험업권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보험연구원이 발행한 ‘사전지정운용 상품의 선택 현황과 수익률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사전지정운용 퇴직연금 적립금은 12조5520억원으로 집계됐다.

사전지정운용 제도는 가입한 금융상품 만기가 도래했음에도 가입자가 별도 지시를 하지 않을 경우 6주 대기기간 경과 후 사전에 지정된 금융상품에 투자되는 제도다. 퇴직연금의 수익률 제고를 목표로 지난해 7월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퇴직연금 사전지정운용 적립금의 1년 운용수익률은 10.13%였다. 업종별로는 보험이 11.91%로 가장 높았으며 그 뒤를 증권(10.23%), 은행(9.17%)이 뒤따랐다.
 

사전지정운용상품의 수익률 및 수수료 비교. [사진=보험연구원]
사전지정운용상품의 수익률 및 수수료 비교. [사진=보험연구원]

위험수준별로 1년 운용수익률을 보면 △초저위험 상품 4.56% △저위험 상품 7.69% △중위험상품 10.91% △고위험 상품 14.22%로 위험수준이 오를수록 수익률도 높아졌다.

이 중 보험업권의 위험수준별 수익률은 △초저위험 4.83% △저위험(투자없음) △중위험 13.74% △고위험 14.70%로 고위험·중위험 상품 모두에서 은행과 증권을 앞질렀다.

보험은 타 업권 대비 위험상품일수록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보험업권의 초저위험 상품의 1년 투자수익률 표준편차는 0.362로 타 업권 대비 높았지만 고위험 상품에 대한 표준편차는 1.163으로 증권(2.998), 은행(2.605)보다 낮았다.

강선호 선임연구위원은 “사전지정운용제도 도입 전에는 금융 투자업에서 높은 성과를 보일 것으로 예상됐지만, 도입 초기 시점에서 볼 때 상품구성뿐 아니라 운용 면에서도 보험업권의 성과가 높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사전지정운용상품 수익률은 위험 수준과 무관하게 보험업권에서 높았다”며 “수익성보다 안정성이 우선되는 보험업권 성적이 양호했다는 점에서 볼 때 수익률은 업권 특성보다 퇴직연금사업자의 관리·운영 능력에 좌우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덧붙였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Leave a Comment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