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보사 年 400억 ‘통 큰 기부’…상생금융 요구 ‘발맞춤’

데일리안
|
2024.05.16 오후 01:35
|

손보사 年 400억 ‘통 큰 기부’…상생금융 요구 ‘발맞춤’

한 해 동안에만 80억 넘게 늘어

새 회계 덕 역대급 실적 ‘밑거름’

尹 정부 기조에 호응 행보 ‘눈길’

손해보험사 실적 개선 이미지. ⓒ연합뉴스 손해보험사 실적 개선 이미지. ⓒ연합뉴스

국내 손해보험사들의 기부금이 한 해 동안에만 80억원 넘게 불어나면서 400억원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새 국제회계기준(IFRS17)이 도입 등의 영향으로 역대급 실적을 기록하면서 사회공헌 여력도 함께 확대된 모습이다.

특히 윤석열 정부가 금융권의 상생을 강조하고 있는 와중, 손해보험업계가 조용히 발을 맞추고 있다는 점에서 앞으로의 행보에 더욱 눈길이 쏠린다.

16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손보사 17곳이 기부금으로 쓴 돈은 총 404억900만원으로 전년 대비 25.0%(80억9200만원) 늘었다.

손보사별로 보면 선두 업체인 삼성화재의 지난해 기부금이 96억6300만원으로 같은 기간 대비 76.9%나 증가하며 최대를 기록했다. 그 다음으로 KB손해보험의 기부금이 79억7100만원으로 38.9% 늘며 뒤를 이었다.

손해보험사 기부금 규모. ⓒ데일리안 황현욱 기자 손해보험사 기부금 규모. ⓒ데일리안 황현욱 기자

이어 ▲DB손해보험(66억1300만원) ▲롯데손해보험(42억7500만원) ▲현대해상(40억600만원) ▲한화손해보험(31억1100만원) 등 순으로 기부금을 많이 쓴 것으로 조사됐다.

손보사들의 기부 행렬 배경에는 지난해부터 시행된 IFRS17의 영향이 크다. IFRS17이 적용되면서 보험사의 보험부채는 원가가 아닌 시가 기준으로 평가하고, 손익을 인식할 때도 계약 전 기간에 걸쳐 나눠 인식한다.

이에 따라 계약서비스마진(CSM)이 도입됐는데, CSM 수치가 높을수록 순이익이 증가한다. 저축성보험보다 보장성보험이 CSM을 확보하는 데 유리한데, 손보사의 경우 보장성보험이 중심이 돼 CSM 확보에 유리한 측면이 있다.

이런 덕에 지난해 손보사 31곳의 당기순이익은 8조2626억원으로 전년 대비 50.9%(2조7868억원) 늘었다.

손보사들의 당기순이익은 올해 들어서도 최대치를 경신하고 있다. 삼성화재·DB손해보험·메리츠화재·현대해상·KB손해보험 등 빅5 손보사의 올해 1분기 당기순이익은 2조527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6.8% 늘었다.

상생금융을 강조하는 정부의 기조가 더해지면서 손보사들의 사회공헌사업은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윤 정부 출범 초기부터 금융당국은 전 업권에 상생금융 참여를 강하게 압박했다. 이 여파로 손보사들은 지난 2월에 자동차보험료를 인하한 바 있다.

손보업계 관계자는 “고물가·고금리·고환율 등 3고 현상 지속으로 어려운 환경에 처한 취약계층이 많아진 만큼, 손보사들은 함께 상생하고자 기부문화를 앞장서고 있다”며 “ESG 경영이 중요해지고 있어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관심도 큰 만큼 향후에도 지속해서 기부행렬에 참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Leave a Comment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