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기술자격 근로자 응시 비율 4년 연속 증가…인간공학기사 전년대비 175.9% 증가

데일리안
|
2024.05.16 오후 12:09
|

국가기술자격 근로자 응시 비율 4년 연속 증가…인간공학기사 전년대비 175.9% 증가

산업인력공단,근로자 선호 국가기술자격 상위 5개 종목 공개

법령상 자격취득자 우대·근로자 자기개발 관심 증가 등 원인

최근 5년간 국가기술자격 필기시험 응시비율 증가 추이.ⓒ한국산업인력공단 최근 5년간 국가기술자격 필기시험 응시비율 증가 추이.ⓒ한국산업인력공단

한국산업인력공단은 16일 ‘최근 5년간 국가기술자격의 근로자 응시 동향’을 분석해 발표했다.

2019~2023년까지 국가기술자격 필기시험에 응시한 수험자 설문응답을 분석한 결과 전체 응시자 대비 근로자의 시험 응시비율이 2019년 44만2000명(30.2%)에서 2023년 67만2000명(37.7%)으로 7.5%포인트(p) 증가했다.

또한 응시인원의 연평균 증가율이 5.1%인데 비해 근로자의 연평균 응시 증가율은 11.1%로 두 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등급별로는 기사 등급의 근로자 응시자가 전년 대비 30.0% 증가했고 5년간 평균 증가율도 15.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근로자 응시 규모가 5000명 이상인 분야 중 근로자 응시비율이 높은 직무 분야는 안전관리 분야(50.4%), 전기·전자(35.8%), 3위화학(33.3%) 순으로 집계됐다.

등급별로는 5년 동안 연평균 기사등급건축설비기사가 45.6%(2019년 1461명→2023년 6557명), 산업기사등급공조냉동기계산업기사가 34.8% (2019년 1831명→2023년 6037명), 기능사등급가스기능사가 16.1% 증가(2019년 3815명→2023년 6939명)했다.

근로자 응시 규모가 5,000명 미만인 분야 중 인간공학기사가 전년 대비 175.9%(2022년 1557명→2023년 4295명) 증가, 2019년 대비 8.4배(2019년 508명→2023년 4295명)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간공학기사는 산업안전보건법 내 보건관리자 자격에 해당 자격이 추가(2017년 10월)되고 점차 근로자 응시가 증가했다. 중대재해처벌법(2021년 1월)에 따라 안전관리자 등(보건관리자, 안전보건관리자)의 배치가 강화되면서 2023년부터 해당 종목의 시행 회차도 연 2회에서 연 3회로 늘어났다.

한편 2023년 근로자의 국가기술자격 응시목적은 자기개발이 32.5%로 가장 높았고, 업무수행 능력향상(28.0%)이 뒤를 이었다.

이우영 산업인력공단 이사장은 “중대재해처벌법 등 법령에서 국가기술자격에 대한 우대 사항들이 더욱 강화되고 있는 추세”라며 “앞으로도 근로자의 평생직업능력개발 지원을 통해 대한민국 국민의 총역량을 증가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Leave a Comment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