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조선 자율운항선박 국제표준 주도 본격화…제도·기술개발 현황 전파

데일리안
|
2024.05.14 오전 11:15
|

K-조선 자율운항선박 국제표준 주도 본격화…제도·기술개발 현황 전파

한국-IMO 공동개최 자율운항선박 심포지엄 참석

IMO “국제표준 정립에 한국 측 경험·제도 검토”

'아비커스 레저보트 자율운항 시연회'에서 아비커스 2호가 자율 시범운항을 하고 있다.ⓒ뉴시스 ‘아비커스 레저보트 자율운항 시연회’에서 아비커스 2호가 자율 시범운항을 하고 있다.ⓒ뉴시스

정부가 아직 국제적 기준이 마련돼 있지 않은 자율운항 선박 분야에서 국제 표준을 선도 하기 위해 민관이 함께 대응하는데 뜻을 모았다.

이에 따라 국제해사기구(IMO)와 공동개최한 자율운항 선박 심포지엄에 참석해 자율운항 제도와 기술개발 현황, 상용화 프로그램에 대해 소개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4일(현지시각) 국제해사기구(IMO)와 대한민국이 공동으로 개최한 자율운항선박 심포지엄에 산업부·조선사 등으로 구성된 자율운항선박 민관 합동 TF가 참석했다고 밝혔다.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로 개최된 심포지엄은 자율운항선박 관련 연구·기술 동향을 공유하는 회의다. 자율운항선박 국제규정(MASS Code)을 논의할 해사안전위원회(15일 개회)와 연계해 개최됐다.

올해에는 IMO가 자율적 국제규정(non-mandatory MASS Code)을 승인할 예정이어서 이번 심포지엄은 더 큰 의미가 있다.

특히 이번에 파견된 민관 합동 TF는 아직 국제적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자율운항선박 분야에서 우수한 기술력을 보유한 한국이 국제표준을 선도하기 위해서는 민관이 함께 대응해야한다는 업계의 건의에 따라 구성됐다.

첫 활동으로서 심포지엄에서 자율운항 제도 및 기술개발 현황(정부, KASS 사업단)과 상용화 프로그램(HD현대 아비커스, 삼성중공업 등)에 대한 발제에 나섰다.

이를 통해 심포지엄에 참석한 노르웨이, 벨기에 등 자율운항선박 선도 국가에 한국의 제도 및 기술 현황을 알렸다. 이번에 구성된 TF는 향후 자율운항선박 실증과 국제협력 등에 대응해 앞으로도 상시적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또한 산업부는 IMO 자율운항선박 담당(Sascha, Head of Marine Technology)과의 별도 면담을 통해 세계 최초의 자율운항선박법, 규제 샌드박스 등을 통해 실증을 진흥하는 한국의 제도 환경과 기술 현황을 소개했다.

IMO 측은 국제표준 정립에 있어 한국 측의 경험과 제도 기반을 충분히 검토할 계획이라고 화답했다. 또한 영국과의 조선산업 협력을 논의하기 위해 기업통상부를 방문하여 영국의 친환경 기술과 한국의 선박 건조 능력 조화를 통한 양국 간 시너지 창출 방안에 대해 협의했다.

산업부는 “이번 심포지엄을 시작으로, 자율운항선박 민관 합동 TF는 앞으로도 국제표준 선도 등을 위해 함께 활동할 예정”이라며” 이를 통해 K-조선의 스마트화, 디지털화, 친환경화를 적극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Leave a Comment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