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조금 30% 줄자 충전 사업자 매물 잇따라…신규 사업자도 3년만 첫 감소

서울경제
|
2024.05.13 오후 04:34
|

보조금 30% 줄자 충전 사업자 매물 잇따라…신규 사업자도 3년만 첫 감소

보조금 30% 줄자 충전 사업자 매물 잇따라…신규 사업자도 3년만 첫 감소
지난해 신규 등록한 전기차 충전사업자는 115개 사로 2020년 이후 3년 만에 감소세로 돌아선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연합뉴스

정부가 전기차 충전시설에 대한 보조금을 낮춘 데다 전기차 판매량 마저 주춤하면서 전기차 충전 시장의 재편 움직임이 강해지고 있다. 신규 진출하는 전기차 충전사업자가 줄었고 일부 충전사업자는 매물로도 나와 있다. 여기에 대기업의 진출도 이어지면서 중소기업 중심의 전기차 충전시장도 규모의 경제화 양상을 띨 것이라는 업계의 평가다.

13일 한국스마트그리드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신규 등록한 전기차 충전사업자는 115개 사로 전년(120개 사)보다 소폭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신규 사업자가 감소세로 돌아선 것은 2020년(109개→70개) 이후 3년 만이다. 2023년 누적 기준 전기차 충전사업자는 총 507개 사다. 낮은 진입 문턱으로 중소업체 위주로 신규 사업자 수를 키워오던 것과는 대조적이다.

그동안 전기차 충전사업자 등록에는 충전시설 및 기술 제한을 두고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비용도 들지 않다 보니 개인사업자나 중소기업들의 참여가 주를 이뤘다. 최근 들어선 전기차 충전사업에만 500곳 넘는 업체가 몰리며 과열되는 조짐을 보이자 신규 사업자 수도 주춤한 것으로 풀이된다.

대기업의 시장 진출은 더 활발해지고 있다. 지난달 말 카카오모빌리티와 전기차 충전사업 합작법인 설립을 마친 LG유플러스는 앞으로 3년 내 해당 사업에서 ‘톱 3위’ 지위를 달성한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충전 수요가 높은 대규모 아파트 단지와 오피스빌딩을 중심으로 충전소를 확충할 계획이다. 또 좁은 공간에도 설치 가능한 ‘천장형 충전기’와 충전·자동결제를 함께하는 ‘플러그앤 차지’ 서비스를 개발하며 경쟁력 제고에 나선다. 현대차·SK·LG·GS·롯데·한화·LS 등 주요 기업들도 참전하며 시장 주도권을 쥐기 위한 각축전을 벌이고 있다.

인수합병을 통한 몸집 키우기에도 적극적이다. GS그룹은 2022년 전기차 충전 서비스 업체인 차지비를 인수한 데 이어 지난해 GS에너지 자회사인 GS커넥트와 흡수합병한 GS차지비를 출범했다. GS차지비가 국내에서 운영 중인 2023년 말 기준으로 약 4만 5000기로 업계 최대 규모다. 3월에는 SK브로드밴드의 자회사인 홈앤서비스의 전기차 충전사업 인수로 1만 7000기를 추가하며 시장 선도 지위를 공고히 했다.

이들이 너 나 할 것 없이 전기차 충전시장에 뛰어든 것은 미래 먹거리로 주목해서다. 당장 전기차 시장이 캐즘(수요 정체)을 겪고 있지만 글로벌 친환경 규제 속에서 중장기적인 회복세로 돌아서면 전기차 충전 수요도 그만큼 높아질 것이란 판단이 깔려있다. 시장조사기관 SNE리서치는 국내 전기차 충전시장 규모가 2020년 6000억 원에서 2030년 6조 3000억 원으로 10배 넘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전 세계로 범위를 넓히면 2030년까지 427조 원 규모의 시장이 형성될 것이란 관측도 제기된다.

당장 수익을 내기 어려운 시장 특성상 중소업체의 퇴출 가능성은 커지고 있다. 매물로도 나오고 있다. 자본력·기술력을 앞세운 대기업 참여에 더해 정부의 충전시설 보조금 지원 단가의 감소로 사업을 운영하기가 어려워진 탓이다. 공용 전기차 완속충전기 1대(7㎾ 이상)당 환경부 보조금은 2021년 200만 원에서 올해 140만 원으로 줄었다. 완속충전기 1대를 설치하려면 공사비와 전기를 끌어오기 위한 비용 등을 포함해 300만~600만 원 이상을 투자해야 하는데 보조금은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다. 완속충전기를 운영하는 A·B사 등 중소업체는 적자에 시달리며 충전기 운영 등 사업권을 넘기려는 것으로 전해진다.

업계 관계자는 “보조금이 투자비의 40% 수준으로 줄었고 충전요금만으로는 투자비를 감당할 수 없어 충전사업자들의 어려움이 커지고 있다”며 “전기차 판매 둔화와 대기업 참여에 따른 경쟁 심화가 겹치며 올해부터 내년까지는 충전시장의 구조조정이 일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Leave a Comment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