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전셋값 1년 넘게 상승세…역대 최고가 84%까지 회복

데일리안
|
2024.05.12 오후 02:33
|

서울 아파트 전셋값 1년 넘게 상승세…역대 최고가 84%까지 회복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 서울스카이에서 강남 지역 대규모 아파트 모습이 보이고 있다.ⓒ뉴시스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 서울스카이에서 강남 지역 대규모 아파트 모습이 보이고 있다.ⓒ뉴시스

서울 아파트 전셋 가격 상승세가 1년 넘게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역대 최고가의 84% 수준까지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혼부부 대출 등 정책 자금 지원이 확대된 데다 전세 사기 여파로 빌라 대신 중소형 아파트 수요가 늘어난 영향으로 풀이된다.

12일 연합뉴스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시스템에 신고된 전세 거래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올해 계약된 서울 아파트 전세 보증금이 전고점의 평균 84%선을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25개 구 전체가 역대 최고가였던 전고점의 80% 이상을 회복했다.

종로구가 전고점의 90%, 중구가 89%에 근접했고, 강서·마포구(87%), 관악·은평구(86%), 양천·광진·서대문·영등포구(85%) 등도 고점 대비 회복률이 서울 평균을 웃돌았다.

반면 노원·도봉(81%), 강북구(83%) 등 ‘노도강’ 지역과 고가 전세가 밀집한 강남·송파(82%)·서초구(81%) 등 강남 3구는 상대적으로 회복률이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최근 전셋값 상승세는 정부 지원 확대와 전세 사기 여파로 빌라 기피 현상이 심화된 영향이 크다.

최저 연 1%대의 초저리 신생아 특례 대출을 비롯해 신혼부부·청년 대출 등 정부 정책 자금 지원이 늘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신생아 전세자금 대출 중 대환용 비중이 대출 초기 50%에서 현재 45%로 감소했다. 신규 전세를 얻기 위한 대출이 절반을 넘어선 것이다.

아울러 잇단 전세 사기로 인해 빌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보증금을 안전하게 지킬 수 있는 아파트로 임차인들이 몰려든 것도 전셋값 상승에 영향을 미쳤다.

반면 수요가 증가에도 서울 아파트 입주물량 감소 추세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올해 서울 아파트 입주 물량은 2만3786가구로 지난해(3만2759가구)보다 27.4%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Leave a Comment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