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의, 편의점 3사와 국제표준 QR 도입 추진

데일리안
|
2024.04.30 오전 10:24
|

대한상의, 편의점 3사와 국제표준 QR 도입 추진

BGF리테일·GS리테일·코리아세븐과 GS1 국제표준 QR 확산 MOU 체결

편의점, 상품 계산부터 유통이력 정보까지 연계돼 관리 효율 향상

소비자, 자세한 상품 정보 담은 웹사이트로 연결돼 손쉽게 바로 확인

GS1 막대형 표준바코드와 QR형 표준코드 비교. ⓒ대한상공회의소 GS1 막대형 표준바코드와 QR형 표준코드 비교. ⓒ대한상공회의소

대한상공회의소는 30일 서울 중구 상의회관에서 ㈜BGF리테일, ㈜GS리테일, ㈜코리아세븐 등 편의점 3사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편의점에서 유통되는 상품에 국제표준인 GS1(Global Standard No.1) 표준 QR을 활용하는데 협력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GS1은 전세계 117개국이 참여하는 유통분야 국제민간표준기구로, GS1 국제표준 QR은 상품코드, 제조일자, 소비기한등 다양한 정보를 표준QR로 하나로 표기해 기업들이 공통으로 활용 가능하도록 정보 체계와 QR 이미지 규격을 표준하는 것을 말한다.

이번 협약을 통해 대한상의는 편의점 업체들이 국제표준 QR을 도입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그동안 업계에서는 막대형 표준바코드를 계산용으로 사용해왔다. 이번 도입하는 국제표준 QR은 가격 계산에 한정되지 않고 유통과정에서 필요한 상품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고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런 장점으로 인해 유통표준 국제기구인 GS1은 2027년까지 전세계 모든 소매점에서 표준 QR로의 전환을 목표로 하고 있다. GS1에 따르면 국제표준 QR로 성과를 내고 있는 해외사례도 늘고 있다. 브라질의 ‘Parla Deli’라는 기업은 육류 및 가금류 제품에 상품코드 외에 소비기한, 일련번호, 순중량, 제품가격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국제표준 QR코드를 부착해 식품 폐기물을 50% 줄일 수 있었다고 한다.

대한상의 유통물류진흥원은 GS1의 한국 대표기관으로 1988년 이후 유통, 보건의료, 공공분야에 이르기까지 표준 바코드 보급을 위해 노력해 왔으며, 이번 MOU를 통해 편의점 업계의 국제표준 QR코드 전환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이번 MOU를 계기로 편의점 3사는 표준 QR 부착 상품을 계산대에서 인식하고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내부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시스템이 갖춰지면 편의점에서 바코드를 부착하는 상품에 점진적으로 표준 QR을 도입할 예정이다. 편의점에서 자체적으로 바코드를 부착하고 관리하는 PB 생수, 간편식품 등에 우선 추진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통해 유통기한이 지난 상품의 판매를 방지할 수 있고, 리콜이 필요한 상품을 신속하게 추적하고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소비자가 궁금해 하는 상품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유통기한이 가까워진 상품에 대한 가격 인하 등 마케팅 측면에서도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장근무 대한상공회의소 유통물류진흥원장은 “상품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요구하는 소비자가 늘고 있어 국제표준 QR코드가 대세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국제흐름에 맞게 국제표준 QR코드를 도입함으로써 소비자는 물론 제조업체 및 유통업체 모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기업들과 협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Leave a Comment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