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PF 공포…지방부터 부도·폐업 줄줄이 [건설사 악전고투①]

데일리안
|
2024.02.26 오전 07:21
|

부동산 PF 공포…지방부터 부도·폐업 줄줄이 [건설사 악전고투①]

고금리·자잿값 급등·미분양 적체 등 악재

자금난 허덕, 지방 중소규모 건설업체 직격탄

유동성 확보 어려워…건설경기 위축 장기화 전망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리스크가 심화하고 있다.ⓒ뉴시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리스크가 심화하고 있다.ⓒ뉴시스

갑진년 새해가 밝았지만, 건설사들의 표정은 밝지 않다.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다시 들썩이면서 상반기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은 한풀 꺾였고, 자잿값 급등과 자금시장 경색에 따라 안정적으로 일감을 챙기기도 여의치 않다. 일각에선 4월 총선을 기점으로 유동성 부족에 처한 건설사들이 줄줄이 문을 닫을 거란 흉흉한 소문까지 도는 중이다. 건설경기가 크게 가라앉은 가운데 위기에서 벗어나기 위해 고군분투 중인 건설업계 전반을 들여다봤다.<편집자주>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리스크가 심화하고 있다. 미분양은 늘어난 데다 자금난까지 더해져 지방을 중심으로 건설사들의 위기감이 고조되는 모습이다.

26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에 따르면 현재 공식적으로 알려진 부동산 PF 대출 규모는 지난해 9월 말 기준 134조3000억원이다. 이는 금융위원회가 직접적인 감독권한을 보유한 6개 금융업권이 보유하는 PF 직접대출 잔액이다.

건산연은 이 외 새마을금고 등에서 실행된 PF 대출잔액과 유동화된 금액을 모두 포함하면 실제 부동산PF 규모는 202조6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했다.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실행됐던 부동산 PF 규모가 100조2000억원 이상으로 추정되는 것을 고려하면 2배 이상이다. 과거보다 규모가 확대된 만큼 시장에 미칠 충격도 더 클 수 있단 의미다.

부동산 PF 위기에 따른 건설업계 부실은 점차 가시화하고 있다. 지방을 중심으로 자금난에 시달리던 업체들이 하나둘 문을 닫으면서 업계 전반으로 부정적 영향이 확산하는 모습이다.

국토교통부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KISCON)에 따르면 새해 들어 지난 21일까지 폐업한 건설사는 종합건설사 71곳, 전문건설사 540곳 등 611곳에 이른다. 2월 들어서만 194개 업체가 문을 닫았다.

새해 들어 부도 처리된 건설업체는 벌써 5곳이다. 모두 광주, 울산, 경북, 경남, 제주 등 지방 소재 전문건설사들이다.

건설업을 자진해서 포기하는 업체들도 늘었다. 대한주택건설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주택건설업 등록 자진반납 건수는 834건으로 협회가 관련 집계를 시작한 1995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반면 같은 기간 시장에 새롭게 진출한 신규 등록업체는 2022년 1086건에서 60.5% 쪼그라든 429곳에 그쳤다.

상반기 금리 인하를 점치기 힘들어졌고 자잿값 및 인건비는 여전히 상승세다. 매수심리가 얼어붙으면서 미분양 물량도 증가하고 있다. 국토부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기준 전국 미분양 물량은 6만2489가구로 한 달 전 대비 7.9% 확대됐다. 일명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도 1만857가구에 이른다.

대형건설사들도 청약 미달을 피하지 못하는 가운데 자금난에 더 취약한 지방 중소규모 건설사들부터 직격탄을 맞은 셈이다. 건설사들은 부동산경기 침체로 불어난 부동산 PF 대출이자 부담을 감당하기 힘들다는 반응이다.


한국경제인협회가 모노리서치를 통해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국내 매출 500대 건설기업(102개사 응답) 가운데 76.4%는 현재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을 충당하기 어렵다고 답했다.

전문가들은 올 하반기 금리 인하가 이뤄지면 지금의 건설경기 불확실성은 다소 해소될 수 있다고 진단한다. 다만 과거와 달리 자금조달 방식이 복잡해졌고, 건설원가의 급격한 인상, 미분양 적체로 유동성 확보가 여의치 않은 만큼 전반적인 위축 분위기는 지속될 거란 전망이다.

김정주 건산연 연구위원은 “PF의 부실 문제가 1차적으로 건설사 부실에서 촉발되는 만큼 회생 가능성이 큰 건설사에 유동성을 공급할 직접적 지원장치를 고민해야 한다”며 “미분양 물량을 해소하기 위해 세제혜택을 강화하거나 미분양리츠, 임대사업 활성화 등 정부의 실효성 있는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가장 필요한 건 부동산시장의 회복이지만 단기적으로 이를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에 자금시자에서 불안이 촉발되는 것을 얼마나 조기에 포착해 대응할 수 있는지가 관건이 될 것 같다”고 덧붙였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Leave a Comment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