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해봤자 안 통해”…도요타 인증 조작 뒤엔 ‘어두운 그림자’ 있었다

EV라운지
|
2024.01.31 오후 06:39
|

“말해봤자 안 통해”…도요타 인증 조작 뒤엔 ‘어두운 그림자’ 있었다

“품질인증 부정으로 고객의 신뢰를 배신하고 제도의 근간을 뒤흔들었다.”

세계 최대 자동차 기업인 일본 도요타자동차의 토요다 아키오(豊田章男·67) 회장이 지난달 30일 지난해부터 불거진 그룹 내 인증 조작 문제에 대해 공식 사과했다. 하지만 도요타 안팎에선 특유의 ‘경직된 소통 문화’가 바뀌지 않는 한 문제는 반복될 것이란 지적이 나온다.

31일 일본 언론에 따르면 토요다 회장은 본사가 있는 나고야시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소중히 여겨야 할 가치관과 우선순위를 잃어버렸다”며 “책임자로서 그룹의 변화를 이끌겠다”고 고개를 숙였다. 토요다 회장은 창업주 가문 4세다.

지난해 발발한 도요타 내부의 품질인증 부정은 자회사인 히노자동차(상용차), 다이하츠(경·승용차)에 이어 그룹 모태인 도요타 자동직기까지 번졌다. 자동차 및 엔진을 판매하려면 정부 인증을 받아야 하는데 도요타 자회사들은 이를 조작했다. 도요타 자동직기는 디젤엔진 출력시험에서 부정을 저질러 랜드크루저 등의 출하를 중지했다. 다이하츠는 지난해 말 충돌, 배기가스, 연비 시험 조작이 드러나 일본 내 4개 공장 가동을 중단했다.

부정이 거듭 적발되며 일본사회에선 도요타 사내문화 자체에 문제가 있다는 비판이 거세졌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단기 개발 일정의 엄격함, 상사에게 ‘못하겠다’ 말할 수 없는 조직 문화가 드러난다”고 지적했다.

도요타 내부 조사 보고서에도 이런 점은 잘 드러난다. 자회사 직원들은 “생산 시작 일정을 늦추면 회사에 피해를 준다” “개발이 제대로 진행되지 않지만 말해봤자 들어주지 않아 어쩔 수 없이 부정행위를 저질렀다” 등의 증언을 했다. 상사에게 의견을 제시해도 “그래?”라는 답만 돌아와 “말해봤자 변하지 않는다”는 분위기가 만연했다고 한다. 도요타가 지난해 사상 첫 1000만 대 생산을 달성하는 과정에서 무리한 ‘밀어붙이기 경영’을 했다는 지적도 있다.

도요타 부정 파문은 일본 경제 전체에도 악영향을 미쳤다. 일본 경제산업성은 1월 자국 제조업 생산이 1년 전보다 10.5%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도쿄=이상훈 특파원 sanghun@donga.com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Leave a Comment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