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에어로 “100%수입 항공엔진소재, 국산화 위한 생태계 구축 시급”

아시아경제
|
2023.10.27 오전 10:15
|

한화에어로 “100%수입 항공엔진소재, 국산화 위한 생태계 구축 시급”

현재 전량 수입하는 항공엔진 소재의 국산화를 위해 ‘협력 생태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안종기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항공소재연구센터장은 26일 대구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3년 대한금속재료학회 추계 심포지엄’에서 ‘항공용 가스터빈엔진의 소재 국산화 방향’을 주제로 발표에 나섰다.

안 센터장은 이 자리에서 “한국은 항공엔진 소재를 100% 수입하고 있다”며 “중동과 유럽 지정학적 위기, 무인전투기에 대한 미사일 기술통제 체제(MTCR) 등의 자주국방을 위한 불확실성에 대응하려면 소재부품 국산화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국산화한 소재 신뢰성을 보증하기 위한 민·관 중심 인증과 평가 기술 체계 정립이 필요하다”고도 했다. 현재 항공엔진 소재 부품으로는 인코넬 계열 초내열 합금에 대한 승인시스템이 적용된 개발 사례가 없다. 산업통상자원부 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진행하고 있는 인코넬 718 소재 개발과 인증과정이 첨단 항공엔진 소재 국산화 좋은 선례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안 센터장은 항공엔진 신뢰성을 위해 국내 유일 항공엔진 업체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를 중심으로 국내 소재 전문업체들과 소재 원천기술을 보유한 정부출연연구소·대학 전문가 협력 생태계 구축 필요성도 피력했다.

항공엔진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특수합금인 인코넬718을 비롯한 첨단엔진용 소재는 항공기 운항 시 발생하는 초고온·초고압·초고속의 극한 환경을 견디기 위한 강한 내구성과 기동성을 위한 경량성을 동시에 갖춰야 한다.

이광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항공사업부장은 “소재 국산화를 위해 정부와 산·학·연 협업이 필수”라며 “한화에어로스페이스도 엔진 개발 역량을 강화해 글로벌 군용 엔진 OEM 기업으로 도약하고, 민수용 항공엔진 시장에도 진출하겠다”고 했다.

40년 동안 항공엔진을 생산해온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올해 9월 국방기술진흥연구소 주관 ‘TIT 1800K급 터보팬 항공 엔진 저압터빈 내열 합금코팅 기술’ 개발 과제의 우선 협상 대상자로 선정됐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Leave a Comment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