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용, 머스크 첫 만남…삼성·테슬라 ‘반도체 동맹’ 맺나

유니콘팩토리
|
2023.05.15 오전 10:13
|

이재용, 머스크 첫 만남…삼성·테슬라 ‘반도체 동맹’ 맺나

왼쪽부터 칸 부디라지 테슬라 부사장, 앤드류 바글리노 테슬라 CTO,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 경계현 삼성전자 DS부문장 사장, 최시영 삼성전자 파운드리사업부장 사장, 한진만 삼성전자 DSA 부사장. / 사진 = 삼성전자 제공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를 만났다.

14일 삼성에 따르면 이 회장은 지난 10일 미국 실리콘밸리에 위치한 삼성전자 북미 반도체연구소에서 머스크 CEO를 만나 미래 첨단산업 분야의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이 회장과 머스크 CEO의 별도 미팅은 이번이 첫 번째다.

이날 회동에는 경계현 삼성전자 DS(반도체)부문장(사장)과 최시영 파운드리(위탁 생산)사업부장(사장), 한진만 DSA 부사장 등 삼성 주요 경영진도 함께 했다.

삼성과 테슬라는 완전자율주행 반도체 공동 개발을 비롯해 차세대 정보통신(IT) 기술 개발을 위한 교류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양사 CEO의 회동을 계기로 삼성의 전장용 시스템반도체 사업 영역이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머스크 CEO는 세계 최대 전기차 기업인 테슬라와 차세대 위성통신 기업 스타링크, 우주탐사기업 스페이스 X 등 첨단 기술 분야의 혁신 기업들을 총괄한다.

삼성전자의 전장(전자장비) 반도체 시장의 영향력도 확대될 전망이다. 삼성전자는 테슬라의 완전자율주행 반도체 생산 경험을 토대로 연초 자율주행 카메라 및 소프트웨어 개발 기업 ‘모빌아이’의 고성능 반도체 위탁 생산 주문을 따냈다.

전장 부품 시장 규모는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스트래티지애널리틱스·리서치앤드마켓 등에 따르면 글로벌 전장 부품시장은 오는 2024년 4000억달러(한화 약 520조원), 2028년 7000억달러(약 910조원)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한편, 이 회장은 22일 간의 미국 출장을 마치고 지난 12일 귀국했다. 이 회장이 2014년 경영 전면에 나선 이후 가장 오랜 기간 해외 출장이다.

출장 기간 중 20여개 글로벌 CEO들을 만난 이 회장은 삼성의 주력 사업인 ICT(정보통신기술)와 미래 먹거리로 지목한 바이오 분야 글로벌 빅샷(주요인사)과 만나 네트워크를 다지고 사업 전략을 구체화했다. 이 회장은 현지에서 △첨단 ICT△AI(인공지능) △차세대 모빌리티 △바이오·제약 산업을 주도하고 있는 기업 CEO들과 잇따라 만났다.

이 회장은 미국 동부에 위치한 바이오 클러스터와 서부 실리콘밸리 ICT클러스터를 횡단하며 글로벌 CEO들과 중장기 비전을 서로 공유하고, 미래 산업을 선도하기 위한 협력 방안을 함께 모색했다. AI분야 세계 최고로 인정 받는 ‘구루(Guru)’와 교류하는데도 상당한 시간을 할애했다. 그는 2018년 유럽·북미 출장에서도 AI 분야 글로벌 석학들을 찾았고, AI 핵심인재 영입에 직접 나서기도 했다. 삼성은 전 세계 7개 지역에서 AI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며, 삼성 AI 포럼 등을 통해 글로벌 기업과 학계 전문가들과 성과 공유에도 힘을 쏟고 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Leave a Comment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