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노·카페서 투약하는 10대들”…’마약청정국’ 어쩌다 이 지경 됐나

머니투데이
|
2023.04.08 오전 10:21
|

“코노·카페서 투약하는 10대들”…’마약청정국’ 어쩌다 이 지경 됐나

“요즘 10대 청소년들은 프랜차이즈 카페 화장실에서 마약을 합니다. 감독하는 사람이 없는 코인노래방도 아이들이 주로 마약하는 장소입니다. 누군가 한명이 마약을 구해오면 친구들끼리 모여서 투약하는 거죠.”

서초동의 한 마약 전문 변호사는 이같이 말했다. 최근 마약류 관련 범죄로 변호사 사무실을 찾는 10대 의뢰인이 늘어나는 추세라고 한다. 그는 “아무래도 청소년은 돈이 많지 않으니 1회 투약할 분량을 친구들과 나눠 약하게 투약하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10대 등 젊은 층의 마약류 관련 범죄가 확산일로다.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통한 가상자산(암호화폐) 결제와 서로 만나지 않고 물건을 주고받는 이른바 ‘던지기’ 수법이 널리 퍼진 것이 가장 큰 이유로 꼽힌다. 이런 방식으로 판매자와 구매자 모두 수사기관에 적발될 가능성이 줄면서 마약 유통과 투약의 문턱이 낮아지고 있다는 것이다.

수사당국 한 관계자는 “5~6년 전만해도 유흥업소 등에서 암암리에 유통되던 마약이 최근에는 SNS를 통해 은밀하지만 공공연하게 거래된다”며 “서울 대치동 학원가에서 불특정 다수의 중고생들에게 마약음료를 나눠주고 아이의 마약 투약 사실을 알리겠다고 부모를 협박한 사건처럼 단순 투약과 유통뿐 아니라 마약을 이용한 연관범죄가 급속도로 늘어나는 것도 이런 이유”라고 말했다.

실제 기자가 7일 직접 텔레그램으로 마약 구매를 시도해봤다. 인터넷 검색을 통해 알게 된 텔레그램 계정으로 메시지를 보내자 곧장 답장이 왔다. 믿고 거래를 할만한 사람인지를 확인하거나 나이를 물어보는 절차는 전혀 없었다.

“무슨 약을 살 수 있느냐”는 질문을 던지자 필로폰, 엑스터시, 대마, LSD, 케타민, 코카인, GHB, 졸피뎀 등이 적힌 시세표를 보내왔다. 필로폰은 0.5g에 40만원, 1g에 70만원이었다. 서울시내 한 번화가 지역명을 이야기하자 “1시간 안으로 받을 수 있다”는 답이 왔다.

그는 “물건을 찾기 쉬운 곳에 던져드린다”며 “무통장 입금이나 비트코인으로 입금해 달라”고 했다. 마약류를 판매하는 텔레그램 계정을 검색해 메시지를 보내고 거래 약속까지 하는 데 채 10분이 걸리지 않았다.

인구 10만명당 마약류 범죄로 단속되는 인원을 나타내는 ‘마약류 범죄 계수’는 2012년 ’18’에서 2021년 ’31’까지 올랐다. 통상 ’20’을 넘으면 급속한 확산 위협이 있는 것으로 인정된다. 10년 사이 마약 관련 범죄가 급속도로 늘어난 것이다.

10대 마약류 사범 역시 급증하는 추세다. 대검찰청의 마약류 월간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검거된 10대 마약류사범은 총 3286명에 달한다. 지난해 1월 25명에 불과했던 10대 마약류사범은 12월에는 481명까지 늘었다. 수사기관이 인지하지 못한 암수범죄율이 최대 30배 이상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전경수 한국마약범죄학회장은 “수사기관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며 “마약과 관련한 통제가 적절히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Leave a Comment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