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녀노소 ‘AI’로 케어…삼성, ‘모두를 위한’ AI 라이프 솔루션 제시

[더구루=오소영 기자] #1. 부모님이 약 먹을 시간이 되자 하얀 조명이 붉게 변한다. 스피커에서 약 먹을 시간을 알리는 메시지가 흘러나온다. 정수기는 알아서 적당한 양의 물을 컵에 따라준다. 부모님이 약을 다 드시면 자녀의 폰에 이를 알리는 알림이 뜬다. #2. 부모님이 평소와 달리 오랜 시간 활동이 없을 때도 마찬가지로 알림이 표시된다. 자녀는 휴대폰으로 부모님 집에 있는 로봇청소기를 제어해 집 안을 모니터링하고 이상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인공지능(AI)’을 잘 모르는 노부모도 AI의 도움으로 멀리 사는 자녀의 케어를 받을 수 있는 셈이다. 삼성전자는 지난 14일 경기 수원사업장 내 CX·MDE(고객 중심 멀티 디바이스 경험)센터에서 이같은 ‘AI 라이프’를 시연했다. 삼성전자는 ‘모두를 위한 AI’를 비전으로 내걸었다. ‘비스포크 AI 콤보(세탁건조기)’와 ‘비스포크 AI 스팀(로봇청소기)’, ‘비스포크 AI 패밀리허브(냉장고)’ 등 AI 가전을 토대로 비전을 완성하고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그 중심에는 CX·MDE센터가 있다. CX·MDE센터는 2022년 10월 약 1700평 규모로 문을 열었다. 삼성이 보유한 다양한 디바이스의 경험을 고객 눈높이에서 연구하는 시설이다. 실제 집과 똑같은 구조를 지닌 공간부터 헬스장과 PC방, 음악감상실을 연상케 하는 다양한 랩실이 내부에 마련됐다. 공간별로 실제 고객들의 일상을 연구하고 고객 경험을 개선할 방안을 찾도록 꾸며졌다. 삼성전자의 AI 비전도 이 센터에서 구체화되고 있다. 임성택 삼성전자 한국총괄 부사장은 “삼성전자가 AI를 소비자에 전달할 수 있는 기반이 된 곳”이라고 센터를 소개하며 “이제 AI 유저 케이스를 만들 때 고객과 함께 만들어야 하는 시대로 진입했다”고 설명했다. ◇’약 먹는 시간도 알아서 척척’ 패밀리 케어 6월 론칭 고객의 일상을 세밀히 연구한 결과, 삼성전자가 내세우는 전략은 ‘세상 편한 AI’다. 소비자가 AI를 잘 알지 못해도 AI 스스로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을 파악하고 이에 맞는 맞춤형 솔루션을 제시하는 것이 ‘세상 편한 AI’의 핵심이다. 모바일부터 가전까지 AI를 탑재한 다양한 기기와 이를 연동하는 사물인터넷(IoT) ‘스마트 싱스’로 구현된다. 삼성전자는 부모님과 신혼부부, 영유아 가구, 1인가구로 나눠 각각 세 가지씩, 총 12가지의 AI 라이프를 제안한다. 지난 1일부터 삼성닷컴 홈페이지에 ‘세상 편한 AI 라이프’라는 신규 페이지를 오픈해 맞춤형 AI 제품 패키지를 추천하고, 구매한 제품에 탑재된 AI 기능을 최적화해 사용할 수 있는 시나리오를 제공하고 있다. 임 부사장은 “앞으로 다양한 AI 제품과 솔루션을 지속 선보이며 국내 시장에서 삼성전자의 AI 리더십을 더욱 확고히 할 것”이라며 “나이가 많으신 시니어를 돕는 ‘패밀리 케어’가 그 첫걸음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오는 6월 런칭되는 패밀리 케어는 디지털 환경에 익숙하지 않고 가족들의 세심한 지원이 필요한 부모님을 위해 시니어 라이프 스타일에 최적화해 개발한 서비스로, ‘스마트싱스’에 탑재될 예정이다. 자녀는 부모님의 TV, 냉장고, 정수기, 인덕션, 스마트폰의 사용 여부를 가족의 스마트싱스로 확인하고, 원격으로 가전을 제어할 수 있다. 부모님에게 약 복용 시간을 알려줄 뿐 아니라 이상 활동이 포착되면 자녀의 폰에 알림이 울린다. 냉장고나 정수기를 보호자가 미리 설정한 시간 동안 부모님이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도 알림을 받을 수 있다. 오늘 부모님의 첫 활동을 파악하는 것도 가능하다. 냉장고 내부에 탑재된 카메라로 어디서나 냉장고 안을 확인해 부모님이 어떤 음식을 즐겨 드시는지, 소비 기한이 지나거나 부족한 식재료가 없는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신혼부부·영유아 가구·1인가구 맞춤형 서비스 선봬 ‘집안일은 벌써 끝남 AI 라이프’는 삼성이 맞벌이 신혼부부를 겨냥해 제안한 시나리오다. 아무도 없는 낮 시간엔 비스포크 AI 스팀이 집 안 구석구석을 돌며 먼지 흡입부터 물걸레 청소까지 해준다. 출근 전 비스포크 AI 콤보에 넣어둔 빨래는 퇴근 시간에 맞춰 세탁부터 건조까지 완료된다. 다음으로 영유아 자녀를 둔 가구를 위해 ‘우리 가족을 위해 아이들과 함께 사는 AI 라이프’를 제안한다. 부모는 아이를 어린이집에서 하원시키며 동시에 냉장고 안에 간식이 남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필요한 식재료는 당일 배송 가능한 온라인 쇼핑몰에서 바로 주문하고, 남은 재료로 추천 레시피도 받을 수 있다. 부모가 외출 중 아이 혼자 집에 올 때에도 삼성전자 AI 제품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스마트싱스로 아이가 언제 집에 왔는지 확인하고, 비스포크 AI 스팀으로 집에 온 아이에게 전하는 음성 메시지를 남길 수 있다. 조명과 에어컨 등 집안 기기들을 공부하기 좋은 환경으로 세팅하며, 미세먼지가 심한 날에는 공기청정기도 알아서 작동시켜 준다. 마지막으로 1인 가구를 공략한 ‘혼자서도 걱정 없는 AI 라이프’는 삼성전자 AI 제품을 활용한 안전한 일상을 보여준다. 늦은 저녁에 낯선 사람이나 배달 등 방문자가 있으면 외부 카메라로 바깥 상황을 살펴볼 수 있다. 집을 오래 비울 때에는 저녁마다 조명이 켜지게 설정하고, 현관에 동작감지센서와 창문에 문열림센서를 설치해 집 밖에서 언제든 안심하고 보안 상태를 확인 가능하다. 삼성전자는 현재 12가지의 시나리오를 제안하고 있으나 향후 점차 업데이트할 계획이다. 오는 10월에는 패밀리 케어의 일환으로 비스포크 AI 스팀이 집 안을 돌아다니며 쓰러진 사람을 감지하고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선보인다. 사생활 침해를 걱정하는 목소리도 반영해 사용자가 원하는 범주에서 사생활을 공유하도록 설정하는 기능도 넣는다. 삼성전자는 보안 솔루션 ‘녹스’를 모바일에서 가전까지 확대 적용해 보안 우려를 덜었다. 허태영 삼성전자 CX·MDE센터 상무는 “UL에서 다이아몬드 등급을 받았다”며 “(다이아몬드는) 퍼스널 디바이스 레벨에서만 받을 수 있는 등급인데 삼성은 최초로 가전에서 획득했다”고 강조했다. 스마트 싱스의 연결 기기도 늘린다. 허 상무는 “‘HCA’라는 표준에 15개 가전 업체가 들어와 있고 LG전자도 있다”며 “앞으로 특정 제조사의 제품을 사려고 고생하실 필요는 없다”고 부연했다. 스마트 싱스가 낯선 소비자를 위한 편의 기능도 개발했다. 고객이 본인 계정으로 삼성 닷컴이나 삼성 플라자에서 제품을 구매할 시 해당 제품을 집에 설치하는 순간 스마트싱스에 자동으로 제품이 등록되도록 했다. 삼성전자는 해당 서비스를 미국, 영국까지 확장해 제공하고 있다. 올해 8개국, 내년에는 더 많은 국가에서 선보일 예정이다.

LG전자, 멕시코 카리브해 유명 휴양지 호텔 TV 솔루션 수주 공략

[더구루=정예린 기자] LG전자가 전 세계 관광객들이 많이 찾는 멕시코 카리브해 유명 휴양지에 호텔 TV 공급을 추진한다. LG전자의 글로벌 TV 브랜드·기술 경쟁력을 앞세워 대규모 기업 간 거래(B2B) 수주를 따낼 수 있을지 주목된다. 14일 LG전자 멕시코법인에 따르면 비즈니스솔루션(BS)사업부는 이달 초 리비에라 마야에서 고객들을 상대로 호텔 산업에 특화된 B2B용 TV 제품 포트폴리오를 선보였다. 투명 OLED TV부터 호텔용 TV 맞춤형 관리 플랫폼까지 LG전자의 강점을 적극 피력했다. 우선 LG전자 투명 OLED 터치 디스플레이와 디지털 사이니지 관리 솔루션 ‘LG 수퍼사인(SuperSign)’ 조합을 시연했다. 투명 모드에서도 높은 명암비와 넓은 시야각을 자랑하는 투명 OLED를 LG 수퍼사인으로 제어했다. LG 수퍼사인은 디지털 사이니지용 콘텐츠를 제작하고 배포할 수 있는 중앙 집중식 관리 소프트웨어 솔루션이다. 호텔용 LED TV와 LG전자가 최근 출시한 맞춤형 호텔 TV 관리 솔루션 ‘프로:센트릭 다이렉트(Pro:Centric Direct)’도 선보였다. 호텔이나 리조트는 자사 로고, 그래픽으로 브랜드 마케팅을 하거나 고객에 환영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룸서비스, 날씨, 호텔이나 여행지 정보 등도 제공 가능하다. LG전자는 칸쿤, 코주멜, 이슬라 무헤레스, 체투말, 리비에라 마야, 코주멜 등 카리브해 지역에서 관광지로 유명한 지역을 중심으로 호텔 TV 솔루션 홍보를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최근 호텔 객실용 TV 솔루션과 관련 서비스를 확장, 심화되고 있는 글로벌 상업용 TV 경쟁에서 살아남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LG전자, 홈 헬스케어 플랫폼 ‘프라임포커스’ 베일 벗었다

[더구루=김은비 기자] LG전자가 홈 헬스케어 플랫폼 ‘프라임포커스 헬스(Primefocus Health)’를 최초 공개했다. 개인에 최적화된 혁신적인 홈케어 시스템으로 의료 복지 향상에 힘쓰는 한편 의료 산업의 미래를 선도해 신사업 발굴에 속도를 낸다. 14일 LG전자 북미이노베이션센터(LG NOVA)에 따르면 이 회사는 11일(현지시간) 홈 헬스케어 스타트업 ‘프라임포커스 헬스’를 최초 공개했다. 프라임포커스 헬스는 LG NOVA의 신사업 인큐베이션 조직에서 출발한 첫 번째 스핀오프 스타트업이다. 프라임포커스 헬스는 당뇨, 고혈압 등 만성질환의 조기 진단 및 사후 관리·회복을 돕는 케어 솔루션 기업이다. 인공지능(AI) 및 머신러닝 기반 비침습적 기술로 사용자의 만성질환 발병 위험을 미리 식별해 예방을 돕고, 만성질환 환자의 실시간 생체 정보를 모니터링한다. 또 이상징후가 있는 경우 병원·클리닉과 연계를 통해 빠른 치료를 유도한다. 프라임포커스 헬스는 재입원 환자 감소 및 비용 절감에도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의료 제공자는 환자 치료를 초기에 개선하고 재입원 환자 및 관련 비용을 줄여야 한다는 과제에 직면해왔다. 미국국립보건원(National Institutes of Health,NIH)에 따르면 이전에 치료받은 질환으로 인해 30일 이내에 병원에 재입원한 환자를 돌보는 데 연간 524억 달러(약 71조 7460억 원) 이상이 지출된다. 대런 세이브(Darren Sabo) 프라임포커스 헬스 최고경영자(CEO)는 “프라임포커스 헬스는 소비자들이 의료 서비스 제공자와 협력해 개인 맞춤형 의료 관리를 경험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한다”며 “최신 기술을 활용해 가정에서의 환자 치료에 혁명을 일으키고, 개개인에 맞춘 효과적인 의료 산업의 미래를 선도하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석우 LG전자 부사장 및 LG NOVA 센터장은 “LG NOVA는 긍정적인 변화를 주도하고 사람들의 삶을 향상시키는 비즈니스 구축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프라임포커스 헬스를 통해 환자와 의료 제공자 모두에게 긍정적인 변화가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LG전자 ZKW, 멕시코 공장 증설 맞춰 현지 전문 인력 육성

[더구루=정예린 기자] LG전자 차량용 헤드램프 자회사 ‘ZKW’가 멕시코 정부와 협력해 현지 인력 육성에 팔을 걷어 붙였다. 순항중인 증설 프로젝트에 발 맞춰 전문성을 갖춘 근로자를 확보, 경쟁력을 강화한다. 14일 멕시코 과나후아토주 지속가능한 경제개발 사무국(Secretaría de Desarrollo Económico Sustentable, 이하 SDES)에 따르면 ZKW 멕시코법인 소속 직원 67명은 최근 SDES의 직업 교육 프로그램 ‘베카(BÉCAT)’를 수료했다. 이들은 자동차 전문 사업자로 인증을 받았다. 베카는 SDES가 자국 인적 자본 역량을 강화해 기술 혁신을 촉진하기 위해 만든 직업 훈련 프로그램이다. 교육과 함께 우수 학생에 장학금도 제공한다. 프로그램을 통해 고용 조건을 개선하고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목표다. 무경력 신입부터 경력직까지 참가자의 근무 이력에 따라 맞춤형 교육을 제공한다. ZKW는 채용한 임직원의 기술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베카를 활용했다. 베카를 이수한 ZKW 임직원은 4주에 걸쳐 총 192시간 동안 교육을 받았다. 프로그램은 실습 80%와 이론 20%의 비중으로 진행됐다. 2016년 첫 생산에 돌입한 ZKW의 멕시코 공장은 과나후아토주 실라오에 위치하고 있다. ZKW는 지난 2022년 멕시코 공장에 1억200만 달러를 투자해 3단계 증설을 단행한다고 발표했다. 1만5700㎡ 규모 부지를 추가 확보해 공장 규모를 총 4만8700㎡까지 확장한다. 830명을 추가 고용하고 연간 헤드라이트 생산능력을 150만 개 까지 늘린다. 작년 말 3단계 투자 중 완료한 1단계 가동에 돌입하고 곧장 2단계 증설분을 착공했다. 2단계 증설은 연내 마무리될 전망이다. 1차 증설에는 5079만 달러가 투입됐다. 2차 증설에 5121만 달러를 쏟아 생산량을 늘리고 416명을 추가 고용할 계획이다. <본보 2023년 11월 30일 참고 LG전자 ZKW, 멕시코 공장 증설 1차 본격 가동…2차도 곧바로 착공> ZKW는 멕시코 공장을 북미 시장 공략을 위한 거점으로 삼고 대규모 투자를 잇따라 단행하고 있다. 앞서 2021년에도 7400만 달러 투자 계획을 밝힌 바 있다. 3단계 증설이 완료되면 ZKW 멕시코 공장에 대한 누적 투자액은 2억5500만 달러에 달한다. 오는 2025년까지 2522명의 직원을 고용하고 연간 헤드라이트 생산량을 약 350만 개로 끌어올린다는 목표다. 현재 멕시코 공장의 연간 헤드라이트 생산량은 120만 개 수준이다. 이중 60%는 미국으로 보내진다. 일부는 멕시코 내 BMW, 제너럴모터스(GM) 등 완성차 제조사 공장에, 나머지는 메르세데스 벤츠, 포드 등의 중국 공장에 공급한다.

삼성전자 ‘AI 전략’ 통했나…갤럭시S24, 일본 판매량 ‘3위’ 등극

[더구루=김은비 기자] 출시 한 달도 채 안 된 삼성 갤럭시 S24가 일본에서 판매량 3위에 올랐다. 애플과 자국 브랜드 위주인 시장임을 감안했을 때 짧은 시간 내 유의미한 성과다. 적극적인 마케팅을 토대로 점유율을 높여나갈 것으로 보인다. 13일 일본 통신기업 NTT도코모의 월간 판매 순위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갤럭시 S24는 지난달 판매 순위에서 3위를 기록했다. 갤럭시 S24 울트라 512기가바이트(GB)는 5위를 차지했다. 갤럭시S24 플러스(+) 모델은 현지에서 출시되지 않아 집계에서 빠졌다. 삼성전자가 일본에서 지난달 3일부터 10일까지 사전 판매를 진행한 이후 11일 정식 출시됐다. 사전 판매 기간과 정식 판매 기간을 감안했을 때 고무적인 성과다. 1, 2위는 각각 애플의 아이폰 14와 15가 각각 차지했다. 일본은 애플이 스마트폰 시장의 점유율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시장이다. 또 샤프, 소니와 같은 현지 브랜드도 강세다. 인공지능(AI) 기술이 판매율을 끌어올리는 데 한몫한 것으로 분석된다. 갤럭시 S24는 삼성전자의 첫 AI폰이다. △서클 투 서치(Circle to Search) △생성형 편집과 13개 언어를 지원하는 △실시간 통화 통역 △메시지 번역 등을 제공한다. 삼성전자는 갤럭시S24 시리즈 관련 적극적인 프로모션을 통해 일본 시장 공략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일본 여행사 ‘JTB’와 손잡고 해외여행객들에게 갤럭시 S24 시리즈를 무료 대여해주는 캠페인을 진행 중이다. <본보 2024년 5월 12일 참고 삼성 갤럭시 S24 시리즈 무료 대여 서비스 日 상륙>

삼성전자 꿈의 페타바이트 SSD 실마리, ‘하프니아 강유전체’로 밝힌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삼성전자가 2030년 이후 상용화를 목표로 한 ‘1페타바이트(PB)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 개발 실마리가 나왔다. ‘하프니아 강유전체(Hafnia Ferroelectrics)’를 활용해 PBSSD 구현에 필수적인 ‘1000단 이상 낸드플래시 시대’를 연다. 13일 국제전지전자학회(IEEE)에 따르면 김기욱 카이스트(KAIST) 전기전자공학부 박사과정은 내달 하와이 호놀룰루에서 열리는 ‘IEEE VLSI 테스트 심포지엄’에서 ‘저전압·1K(1000) 레이어 이상의 쿼드레벨셀(QLC) 3D V낸드를 위한 핵심 구현 요소인 하프니아 강유전체에 대한 심층 분석 실험 시연·모델링’이라는 제목의 기술 세션을 발표한다. 이 연구는 삼성전자·카이스트(KAIST)·한양대학교가 공동 수행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는 하프니아 강유전체가 현재 침체기에 접어든 3D V낸드 기술 개발을 확장하는 데 핵심 조력자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며 “낮은 작동 전압, 넓은 메모리 창 등 놀라운 성능 향상을 실험적으로 보여줬다”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작년 미국과 중국에서 열린 반도체 산업 관련 행사에서 PBSSD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2030년 이후 출시 계획을 공식화했다. PBSSD는 저장 용량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켜 최소한의 서버로 방대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장치다. 1PB는 현재 업계가 구현하는 용량인 테라바이트(TB)보다 1000배 더 높은 단위다.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SSD 제품의 최대 용량은 32TB다. 1PB급 SSD를 만들기 위해서는 낸드 집적도를 올려야 한다. 현재 업계 최고층 낸드는 삼성전자가 최근 양산을 개시한 290단 1테라비트(Tb) 트리플레벨셀(TLC) 9세대 V낸드다. 삼성전자는 낸드 공정을 고도화해 2030년까지 1000단 V낸드를 선보인다는 목표다. 업계에서는 1000단 V낸드가 PBSSD에 탑재될 것으로 보고 있다. 1000단 이상 제품 구현을 위해 삼성전자가 선택한 소재는 하프니아 강유전체다. 하프니아 강유전체는 비휘발성 절연막이다. △CMOS 공정 호환성 △동작 속도 △내구성 등의 우수한 물리적 특성을 바탕으로 차세대 반도체의 핵심 소재로써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물질이다. 하지만 하프니아 소재는 고온에서 비휘발성 특성을 잃고 누설전류가 증가하는 한계가 있었다. 3D 집적 공정 시에 발생하는 고온의 열처리 조건 (750℃ 이상, 30분)에서 강유전체 박막 내의 일반 유전체 (상유전체) 형성을 억제할 수 없었다. 김기욱 박사과정이 포함된 전상훈 카이스트 교수 연구팀은 지난 2022년 세계 최초로 3D 집적 공정에서 요구되는 고온의 열처리 조건에서도 우수한 내구성을 가지는 하프니아 강유전체 소재와 공정 기술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강유전체 박막 내의 상유전체의 형성을 완벽하게 억제하면서도 비휘발성 기능을 유지했다. 이 연구 역시 삼성전자와 차세대 지능형 반도체 사업단의 지능형 반도체 선도기술개발의 지원을 받아 진행됐다. 삼성전자는 일찍부터 하프니아 강유전체를 차세대 반도체 기술 개발의 핵심 소재로 낙점했다. 지난 2017년 미래기술육성사업 과제 중 하나로 당시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교수로 재직하고 있던 전상훈 교수의 ‘비휘발성 로직을 위한 저온공정 하프니아 강유전체 터널정션’을 선정한 바 있다. 전 교수와의 당시 인연을 지속한 결과 연구 성과를 냈다.

삼성 갤럭시 S24 시리즈 무료 대여 서비스 日 상륙

[더구루=정예린 기자] 삼성전자가 일본 여행사와 손잡고 갤럭시 S24 시리즈 무료 대여 서비스를 실시한다. 한국을 시작으로 대여 서비스를 확장해 갤럭시 S24 시리즈 알리기에 나선다. 12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일본법인은 지난 7일부터 갤럭시 S24 시리즈를 무료 대여 서비스를 신청받고 있다. 도쿄 하네다 공항을 출발해 한국(서울)·대만(타이베이)·홍콩으로 떠나는 14세 이상 여행객이 대상이다. 갤럭시 S24 시리즈를 무료로 대여하기 위해서는 일본 대형 여행사 ‘JTB’의 해외 여행 투어 프로그램을 이용해야 한다. 3~4일 일정의 여행 기간 동안 대여할 수 있다. 와이파이(Wi-Fi) 라우터 1대도 함께 제공된다. 여행 국가별 서비스 기간은 상이하다. 한국은 5월 17일부터 8월 26일까지, 대만과 홍콩은 6월 28일부터 8월 26일까지 진행한다. 최소 여행 출발 5일 전까지 신청해야 렌탈 제품을 받아볼 수 있다. 삼성전자는 국내에서도 갤럭시 S24 시리즈 무료 대여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다. 모두투어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 신청 후 선착순으로 운영된다. 대여 제품은 인천공항 제1여객터미널 3층 픽업 데스크와 제2여객터미널 3층 갤럭시 스튜디오에서 수령할 수 있다. 갤럭시 S24 시리즈는 삼성전자가 올 1월 출시한 플래그십 스마트폰이다. 기기 자체에서 인공지능(AI)를 구동하는 첫 AI폰이다. 13개 언어로 △실시간 통화 통역 △메시지 번역 등을 제공한다. 클라우드를 거치지 않고 온디바이스 AI를 기반으로 기능을 제공해 보안도 걱정 없다. 이밖에 △서클 투 서치(Circle to Search) △생성형 편집 등도 호평을 받고 있다.

삼성전자, 중남미 대표 택배 플랫폼 ‘페디도스야’ 전략적 제휴

[더구루=정예린 기자] 삼성전자가 중남미 최대 배달 플랫폼 ‘페디도스야(Pedidos Ya)’와 손을 잡았다. 현지 배송 서비스 역량을 강화, 소비자 접근성을 높이고 판매량 확대를 꾀한다. 12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파나마법인은 최근 ‘페디도스야’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페디도스야 애플리케이션(앱)을 통해 삼성전자 가전제품을 구매 가능하며, 고객은 별도 배송비 없이 최대 72시간 내(파나마시티 기준) 배송받을 수 있다. 페디도스야 앱을 통해 구매 가능한 제품은 진공청소기 등 소형 가전부터 △냉장고 △세탁기 △건조기 △에어컨 등 대형 가전까지 다양하다. 소비자들은 삼성전자 공식 웹사이트를 방문할 필요 없이 페디도스야 앱에서 간편하고 쉽게 삼성전자 가전제품을 확인하고 구입하면 된다. 특히 대형 가전을 구입해도 운송 걱정을 덜 수 있다는 점이 큰 장점이다. 삼성전자는 현지 온라인 판매 채널을 다변화하기 위해 페디도스야와 협력을 결정했다. 오프라인에서 점차 온라인 중심으로 판매망이 변화하는 시장 트렌드에 발 맞추기 위한 전략인 셈이다. 페디도스야는 2009년 설립돼 우루과이에 본사를 둔 회사다. 배달의민족을 운영하는 독일 딜리버리히어로가 지분 70%를 보유하고 있다. 음식 배달 전문 플랫폼으로 시작했으나 현재 픽업·택배까지 서비스를 확장하고 있다. 음식 배달 플랫폼 중에서는 우버이츠와 어깨를 나란히 하는 대표 기업이다. 파나마를 비롯해 아르헨티나, 칠레, 페루, 도미니카공화국, 볼리비아 등 중남미 전역 15개국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베로니카 코르도바 삼성전자 파나마법인 가전 담당은 “고객 경험을 풍부하게 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끊임없이 모색하는 것이 우리의 약속”이라며 “페디도스야와의 이번 파트너십은 우리의 범위를 확장하고 소비자에게 가전 제품을 구매할 수 있는 보다 효율적이고 편리한 방법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파나마법인은 삼성전자가 창립 이래 처음으로 해외에 설립한 지점이다. 1977년 컬러TV도 파나마에 최초로 수출했다.

‘물 들어올 때 노 젓자’ 말련, 반도체 전략 빛 본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말레이시아 정부의 반도체 투자 유치 청사진이 효과적일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된다. 미·중 무역 분쟁에 상대적으로 자유로워 반도체 업체들의 투자가 몰리는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어서다. 반도체 산업에 필요한 고급 인력을 양성해 글로벌 기업들의 투자 유치에 사활을 걸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11일 더스타 등 말레이시아 외신에 따르면 말레이시아의 투자 컨설팅 기업 ‘인베스트페낭(InvestPenang)’의 루 리 리안(Datuk Loo Lee Lian) 대표는 지난 1일(현지시간)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의 최전선에 위치하기 위한 포괄적인 계획 수립은 시의적절하다”고 전했다. 말레이시아 정부는 국가 경쟁력 제고를 목표로 한 ‘신산업 마스터 플랜(NIMP 2030)’을 세워 반도체 산업을 키우고 있다. 반도체 제조를 장려하고자 인센티브도 제공한다. 리안 대표는 이러한 현지 정부의 행보를 긍정적으로 봤다. 지정학적 이점이 있는 말레이시아에서 정부까지 지원에 적극적이라면 글로벌 기업들이 투자를 마다할 이유가 없어서다. 리안 대표는 “말레이시아는 미·중 무역 전쟁의 중립적입 입장을 보이고 있다”며 “양국은 물론 다른 국가의 반도체 기업을 유치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글로벌 반도체 허브로 성장성이 가장 큰 지역을 페낭으로 꼽았다. 실제 페낭에는 미국 인텔의 후공정 공장, 미국 AMD와 중국 통푸와의 패키징 합작사, 일본 르네사스의 사업장이 있다. 페낭 소재 중국 기업은 미국의 제재 이전 16개에서 현재 55개로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 리안 대표는 반도체 산업의 성공을 좌우할 요인으로 고급 인력의 가용성을 제시했다. ‘NIMP 2030’에 따른 인재 확보 계획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세부적으로는 △기술 불일치 해소 △인재 유출 방지 △기술 향상 또는 재교육 프로그램 마련 △해외 거주자의 채용 프로세스 개선 등을 들었다. 웡 시에우 하이(Datuk Seri Wong Siew Hai) 말레이시아 반도체산업협회(MSIA) 회장도 인력의 기술 향상을 지원해 반도체 산업의 수요를 충족해야 한다고 봤다. 현지 기업 육성과 웹 인프라 개선도 과제로 제시했다.

베트남으로 간 박학규 삼성전자 사장, ‘매년 1조원↑’ 통 큰 투자 약속

[더구루=오소영 기자] 박학규 삼성전자 경영지원실장(사장)이 베트남을 찾아 팜민찐 총리와 회동했다. 베트남의 지원과 경영 환경을 점검하며 연간 10억 달러(약 1조3600억원)를 추가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베트남 기업과의 협력과 인재 양성에도 관심을 쏟기로 했다. 9일(현지시간) 베트남 총리실에 따르면 찐 총리는 이날 오후 박 사장을 만났다. 작년 11월 회동 이후 약 7개월 만이다. 양측은 삼성의 베트남 사업 현황과 현지 투자 환경을 중점적으로 논의했다. 박 사장은 베트남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에 감사를 표했다. 베트남의 경영 환경을 긍정적으로 예견하며 향후 연간 10억 달러를 추가로 투자할 계획이라고 약속했다. 베트남 협력사를 지속적으로 늘리고 인력 교육도 지원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이를 통해 삼성은 베트남과 동행하고 경제·사회 발전에 도움이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약속했다. 찐 총리는 삼성의 사업 성과와 경제 발전 기여도를 높이 평가하며 향후 사업 계획에 지지를 표했다. 삼성에 유리한 사업 환경을 만들겠다고도 약속했다. 행정 절차를 개선하고, 관련 정책을 마련하며, 인프라를 구축하는 노력과 동시에 고급 인력 양성, 자유무역협정 확대, 새 수출 시장 공략 등 세 가지를 강조했다. 찐 총리는 기업의 의견을 경청하고 받아들일 준비가 돼 있다며 삼성의 지원을 촉구했다. 삼성의 공급망에 참여할 수 있도록 베트남 기업의 역량 향상을 돕고, 현지 디지털 기업들과 파트너십을 강화할 것을 주문했다. 베트남국가혁신센터(NIC)와 협업을 통한 인재 양성도 언급했다. 아울러 투자와 연구·개발(R&D)을 늘려 베트남의 혁신 생태계를 조성하고, 베트남을 전략적 생산 기지로 삼아 사업을 확장해달라고 요청했다. 삼성은 이번 회동으로 베트남의 지원 의지를 다시 확인하고 주력 생산·연구 거점으로 베트남에서 투자를 지속한다. 삼성전자는 박닌·타이응우옌에서 휴대폰 공장을 운영하며, 호찌민 가전복합단지(SEHC)와 삼성디스플레이 베트남법인(SDV), 하노이 연구개발(R&D)센터도 뒀다. 현재까지 누적 투자액은 224억 달러(약 30조6200억원). 글로벌 휴대폰 생산량의 절반이 베트남에서 만들어진다. 삼성전자의 베트남 1·2차 협력사는 2014년 25개에서 현재 309개로 증가했다.

LG전자, ‘지구를 위한 ESG’ 전 세계 확산

[더구루=정예린 기자] LG전자가 세계 각국에서 다양한 친환경 캠페인을 펼치고 있다. ‘모두를 위한 더 나은 삶(Better Life for All)’을 향한 노력을 확산하고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가속화한다. 9일 LG전자에 따르면 LG전자는 지구를 위한 영역인 ‘3C’와 사람을 위한 영역인 ‘3D’ 등 ESG 6대 전략과제를 선정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체계적인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3C는 탄소중립·자원순환·친환경 기술, 3D는 안전한 사업장·다양성과 포용성·제품과 서비스 접근성을 의미한다. 최대 시장인 북미에서는 올해 지구의 날을 맞아 급격한 기후 변화로 멸종 위기에 처한 동물들을 알리고, 생물 다양성 보존을 위한 사내 정원을 조성해 산림·해양 생태계 보호에 나섰다. 이를 통해 탄소 중립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높이고 지역사회 구성원들의 참여를 이끌어냈다. 우선 뉴욕 타임스스퀘어 전광판에 ‘LG와 함께하는 위기 동물 보호 캠페인(The LG Endangered Species Series)’ 영상을 공개했다. 국제적 멸종 위기종 ‘눈표범’의 역동적 이미지를 3D로 구현한 영상이다. LG전자는 기후 변화로 멸종 위기에 처한 동물들을 알리고 탄소 배출과 지구 온난화에 대해 경각심을 일깨우고자 이 캠페인을 기획했다. 올 연말까지 △흰머리 독수리 △바다사자 △그린란드 순록 등 총 4종의 멸종 위기종을 다뤄 대중들의 탄소 저감 실천을 독려할 계획이다. 글로벌 교육 전문업체 ‘디스커버리 에듀케이션(Discovery Education)’ 및 미국 국립야생동물연합과 협력해 멸종 위기 동물 관련 교육 커리큘럼도 개발했다. 미국 1만여 개 학교에 온라인 무료 배포해 후손들에게 자연의 소중함을 알린다는 목표다. 미국 뉴저지주에 위치한 북미 사옥에서 ‘라이프스굿 지구의 날 기념 행사(Life’s Good Earth Day Fair)’도 열었다. 고객과 임직원 및 지역사회 구성원들과 환경 보호의 중요성을 공유했다. LG전자는 이날 행사에서 ‘폴리네이터 정원(수분(受粉) 매개자 정원)’을 개장, 한국 기업 최초로 미국 국립야생동물연맹(NWF)의 야생 서식지 인증(Certified Wildlife Habitat)을 획득했다. 지역사회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폐가전 수거 이벤트도 진행해 지역 주민과 임직원들이 폐가전을 편리하게 배출하고 자원 순환·탄소 중립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했다. 지구의 더 나은 미래를 위한 LG전자의 노력은 유럽과 아시아 지역에서도 이어지고 있다. 탄소 흡수에 효과적인 산림 및 해양 재조림 활동에 적극 나서는 한편, 임직원과 고객들을 대상으로 재사용 가능한 컵이나 원예 키트 등을 나누며 환경 보호 실천을 독려하는 식이다. 탄소 배출로 인한 기후 변화에 대응해 산림, 해양, 생물에 이르는 전방위적인 생태계 보호 활동을 펼치는 스페인의 ‘스마트 그린(Smart Green Spain)’ 프로젝트가 대표적이다. 이밖에 LG전자는 △독일 ‘에너지 고효율 제품 판매 수익 기부 및 임직원 대상 탄소 저감 실천 캠페인’ △그리스 ‘DIY 원예 키트 나눔’ △대만 ‘환경 보호 실천 SNS 챌린지’ △태국 ‘해양 보호 자원 봉사’ 등 각국 실정에 맞춰 친환경 캠페인을 진행하며 전 세계 고객에게 지속가능한 삶의 가치를 전파하고 있다.

[단독] 삼성, 中서 V2X 특허 8년 만에 승인…3D 반도체 등 4월 특허 약 800건 확보

[더구루=정예린 기자] 삼성이 지난달 중국에서 약 800건에 달하는 특허권을 손에 넣으며 특허 포트폴리오를 ‘또’ 넓혔다. 파트너사와 공동 개발한 차세대 기술에 대한 특허권까지 확보, 기술 경쟁력 강화에 고삐를 죄고 있다. 8일 중국 국가지적재산권국(CNIPA)에 따르면 CNIPA는 4월 한 달 동안 삼성전자, 삼성디스플레이, 삼성SDI, 삼성전기 등이 2016년부터 2024년 1월까지 출원한 761건의 특허를 승인했다. 올 3월(804건)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특허권을 내줬다. 관계사 중 가장 많은 특허를 인정받은 곳은 단연 삼성전자다. 삼성전자는 413건의 특허를 확보했다. △삼성디스플레이(287건) △삼성SDI(32건) △삼성전기(27건)이 뒤를 이었다. 삼성SDS와 삼성SDS의 자회사인 시큐아이(SECUI)도 각각 1건의 특허를 승인 받았다. 삼성전자가 출원한 특허는 반도체 관련 기술이 주를 이뤘다. ‘꿈의 메모리’라 불리는 3차원(3D) 반도체부터 반도체 소자, 이미지센서, 메모리 반도체 설계·제조 방법과 패키징 기술 등에 대한 내용이 포함됐다. 인공지능(AI)과 증강현실(AR), 무선 통신 시스템, 전고체 배터리 등 관련 특허도 확보했다. 특히 전장과 AR·VR(가상현실) 웨어러블 장치 등 신사업과 밀접하게 연관된 기술이 눈에 띈다. 삼성전자는 베이징에 위치한 통신 기술 전문 연구 기관에서 개발한 V2X(자율주행차량 통신) 관련 2건의 특허 ‘V2X 통신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장치(특허번호 CN117835412A·CN117835413A)’를 출원한지 8년여 만에 승인 받았다. ‘연성회로기판을 포함한 안경형 전자장치(특허번호 CN117917192A)’와 ‘전자기기, 머리 장착형 디스플레이 장치, 웨어러블 장치·그 동작 방법(특허번호 CN117940826A)’ 등 AR·VR 콘텐츠를 즐길 수 있는 안경 혹은 헤드셋을 연상케 하는 특허권도 얻어 신제품 출시 기대감을 높였다. 4월에는 파트너사와의 협력 성과도 두드러졌다. 삼성SDI는 현대자동차·기아차 등 현대차그룹과, 삼성디스플레이는 동진반도체와 공동 개발한 핵심 기술에 대해 중국에서 특허 허가를 받았다. 삼성디스플레이는 동진반도체와 ‘신규 코팅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CN117813282A)’라는 제목의 특허를 출원했다. 양사는 지난 2022년 유사한 기술에 대한 특허 6건을 출원, 올 2월부터 이달 초까지 모두 승인을 받았다. 이밖에 삼성디스플레이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터치센서, 사출장치 등에 대한 특허를 확보하며 기술력을 입증했다. 삼성전기가 승인받은 특허에는 ‘고체전해질 및 고체전해질을 포함한 전고체전지(특허번호 CN117957686A)’ 등 전고체 배터리 관련 기술이 포함됐다. MLCC와 카메라 모듈, 인쇄회로기판 등에 대한 특허도 확보했다. 삼성SDS는 ‘초록 생성 방법·시스템(특허번호 CN117932046A)’를, 시큐아이는 ‘감지장치, 감지장치를 포함하는 무선침입방지시스템과 그 동작방법(특허번호 CN117837185A)’을 승인받았다. 삼성은 중국에서 올 1분기에만 1800건이 넘는 특허권을 확보하며 차세대 기술을 재빨리 선점하고 있다. 전통 ‘효자’ 사업부터 미래 성장동력으로 낙점한 신사업까지 이끌 핵심 기술에 대한 특허권을 두루 손에 넣었다. 기술 경쟁력을 바탕으로 미중 분쟁으로 인해 주춤하고 있는 중화권 사업에 다시 날개를 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보 2024년 4월 3일 참고 [단독] 삼성, 중국에서 1분기에만 '3D D램·로봇' 등 특허 1800건↑ 확보>

삼성 SF5A-美 시놉시스 UCIe IP, 차세대 반도체 패키징 ‘칩렛’ 생태계 강화

[더구루=정예린 기자] 삼성전자와 미국 시놉시스가 차세대 반도체 패키징 기술 ‘칩렛’ 생태계 강화에 한 발 더 다가섰다. 삼성전자는 글로벌 기업들과 협력을 통해 5나노미터(nm) 이하 공정의 설계자산(IP) 포트폴리오를 넓히며 파운드리 경쟁 우위를 확보하고 있다. 시놉시스는 6일(현지시간) “표준 패키징 기술을 지원하는 시놉시스의 UCIe(Universal Chiplet Interconnect Express) IP가 삼성전자의 5나노 응용 공정(SF5A)에서의 뛰어난 성능을 성공적으로 입증했다”며 “16GT/s의 속도에서 실행했으며 비트 에러율(BER)이 낮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발표했다. UCle는 개방형 칩렛 간의 연결 표준화를 위해 지난 2022년 출범한 컨소시엄이다. UCIe를 PCIe, USB, NVMe 등과 같은 새로운 연결 규격으로 수립하는 것이 목표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TSMC, 인텔, AMD, Arm 등 반도체 회사와 구글 클라우드, 메타, 마이크로소프트(MS) 등 IT 기업 120여 개가 참여하고 있다. <본보 2022년 3월 3일 참고 [단독] 반도체 어벤저스 뭉쳤다…삼성·인텔·AMD, 개방형 칩렛 생태계 구축> 칩렛은 여러 개의 다이들을 연결해 하나의 반도체로 만드는 방식이다. 초미세공정 전환에 따른 기술적 한계를 극복할 대안으로 평가받으며 반도체 업체들의 관심을 한 몸에 받고 있다. 칩렛 구조 적용시 최신 미세 공정을 적용하지 않고 칩렛을 여러 개 붙이는 방식으로 코어 수를 늘릴 수 있다. UCIe 표준을 성립하면 다른 회사의 칩렛 구조와도 호환돼 비용 절감도 가능하다. 시놉시스의 UCle 솔루션은 컨트롤러, 물리계층(PHY), 검증 IP를 포함한다. 고대역폭·저전력·저지연의 다이 간 연결을 제공한다. 특히 UCle PHY는 여러 첨단 파운드리 공정에서 성능을 검증하고 타사 장치와의 성공적인 상호 운용성을 완료했다는 게 시놉시스의 설명이다. 삼성전자와 시놉시스는 작년 6월 파운드리 IP 포트폴리오 협력을 확대한다고 발표했다. 삼성전자의 3나노(SF3)·4나노(SF4)·5나노(SF5) 등부터 자동차용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최신 공정인 SF5A·SF4A까지 시놉시스의 UCle, PCIe, USB 등 다양한 IP를 최적화하기로 했다. 약 1년여 만에 칩렛 표준 관련 기술적인 진전을 보이며 파트너십이 성과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삼성전자는 파운드리 생태계 조성을 위해 IP 파트너십 구축에 힘쓰고 있다. 파운드리 기업의 IP 포트폴리오는 팹리스 업체가 위탁생산할 회사를 결정하는 데 핵심 요인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칩 고도화에 따라 설계가 복잡해지면서 필요한 IP가 점차 늘어나자 팹리스 업체들은 비용과 시간을 절감하기 위해 IP 전문 회사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지난 2018년부터 파운드리 협업 생태계인 ‘세이프(Samsung Advanced Foundry Ecosystem, SAFE)’를 운영하며 케이던스, 시놉시스, 지멘스 등 75개 이상 파트너사들과 협력 중이다.

삼성전자, 中 산시성 생태보호 앞장

[더구루=정예린 기자] 삼성전자가 중국 산시성 정부와 손잡고 현지 환경 보호에 앞장선다. 지역 정부·사회와의 협력을 통해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가속화한다. 6일 산시성 임업국에 따르면 삼성전자 시안생산법인(SCS)은 최근 산시성 임업국, 산시성 청년발전재단 등과 ‘산시성 북부 생태문명 건설 프로젝트 지원을 위한 기본 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삼성전자가 협력 일환으로 자체 추진하는 산림녹화 사업도 시작됐다. 삼성전자는 산시성과 함께 황하유역 사막화 방지와 녹색 생태계 개발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3년 내 ‘삼성 공공복지숲’을 900에이커 이상 규모로 조성한다. 산림보호에 관심을 기울이는 친환경·저탄소 기반의 장기적인 업무 메커니즘을 구축하고 산림 탄소 흡수원 탐사도 실시한다. 이를 통해 지역 산림 관리를 보다 과학적이고 효율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시스템을 도입한다는 방침이다. 대외적으로 프로젝트를 홍보하고 관련 교육 프로그램도 수립할 예정이다. 탄소중립 기반의 과학 교육을 실시해 농촌 교육 지원 프로그램을 확대하는 기회로 삼는다는 계획이다. 또 농특산품 홍보 등을 추진해 지역 주민들이 많은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한다는 목표다. 시안 반도체 공장은 삼성전자의 해외 유일 메모리(낸드플래시) 생산기지다. 2014년 가동을 시작한 1공장과 2018년 증설에 돌입한 2공장이 있다. 2공장은 1단계 투자를 끝내고 지난 2020년 3월 처음 가동한 뒤 2022년 증설을 마무리했다. 시안 공장은 삼성전자 전체 낸드 출하량의 30~40%를 차지하며, 주로 128단 낸드를 생산한다. 박성욱 시안생산법인 법인장(부사장)은 “삼성은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기업으로서 정부의 요청에 부응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해 왔다”며 “이번 협력이 산시성의 ‘맑은 물과 푸른 산’ 생태문명 건설에 기여하고, 생태 및 환경 보호 공공 복지 사업에 참여하는 정부와 기업 간의 협력의 벤치마킹이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성장하는 인도 LED 조명 시장…韓 기업 공략 방법은?

[더구루=정예린 기자] 인도 LED 조명 산업이 정부 주도 하에 급성장하고 있다. 치열한 경쟁 속 우리 기업들이 사업 기회를 모색해 현지 시장 공략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5일 코트라(KOTRA)에 따르면 인도 LED 조명 시장 규모는 작년 42억 달러에서 오는 2032년 232억 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연평균 성장률은 20.4%에 달할 전망이다. 인도 LED 조명 시장의 성장은 정부의 청정 에너지 기술 도입 확대 전략에 따르면 대규모 조명 교체 프로그램에 기인한다. 중앙 정부는 지난 2015년 모든 가구의 조명을 LED로 교체하기 위해 UJALA(Unnat Jyoti by Affordable LEDs for All)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가로등 조명을 형광등에서 LED로 바꾸는 SLNP(Street Lighting National Programme) 프로그램도 실시했다. 이밖에 전조등, 미등 등 자동차용 LED 조명 수요도 높다. 당국은 LED 조명 제조업에도 ‘메이크 인 인디아(Make in India)’ 정책을 강력하게 적용하고 있다. 탄탄한 LED 제조 산업 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기존 조명 시스템을 LED 조명으로 전환하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실제 매년 약 8억5000만 개의 LED 조명 장치가 생산되고 있으며, 약 57%의 인도 내에서 생산된 부품이 사용된다. 이를 통해 인도의 LED 조명 시장은 인도 전역의 엄청난 수의 소매점과 함께 대규모 유통망을 구축하고 있다. 현재 인도 LED 조명 시장은 상당한 수의 인도 회사와 다양한 외국계 회사들이 주도하고 있다. 시장의 세분화로 인해 시장 내 기업들 간의 경쟁은 치열하다. 인도 내 LED 비용이 지속적으로 하락함에 따라 생산업체 간 경쟁이 심화된 탓이다. 생산업체들은 더 많은 혁신을 통한 제품라인 확장과 더 저렴한 가격 책정에 신경쓰고 있다. 다만 전문가들은 불안정한 LED 원자재 공급망과 낮은 제품 품질, 국제 표준 이하 제품 등이 우리 기업에 기회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규정을 준수하지 않은 값싼 제품이 범람하고 있는 가운데 표준을 만족하는 제품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코트라 첸나이무역관 관계자는 “모든 표준을 만족시키며 인도의 기상 조건에 적합한 제품을 만드는 것이 아주 중요한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스마트 조명 기술 제품의 도입은 소비자들에게 더 많은 선택지를 제공하고 에너지 절약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인테리어 애플리케이션으로서의 조명의 매력을 높이고 인도에서 LED 조명에 대한 수요를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라며 “인도에 진출하고자 하는 기업들은 LED 관련 기술 전시회에 참가하고 시연 센터 등을 통해 시장 입지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LG전자 ‘전자칠판’ 독일 IGEL 독자 OS 탑재…스마트 학습 환경 제공

[더구루=김은비 기자] LG전자가 독일 보안 소프트웨어 회사 IGEL과 파트너십을 확대한다. LG전자의 전자칠판(CreateBoard™)에 IGEL의 독자 OS를 탑재해 스마트한 학습 환경을 제공하는 한편 디지털 사이니지 시장에 혁명을 선보인다. 5일 IGEL에 따르면 IGEL OS 기반 상업용 디지털 디스플레이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LG전자와 파트너십을 확대한다. 이 솔루션은 LG전자의 전자칠판을 위해 만들어졌다. LG전자가 현대 교육 및 비즈니스를 위해 제작한 전자칠판은 안드로이드, 맥, 윈도우 및 IOS를 사용하는 모든 기기와 간편하게 연결된다. 그 밖에도 정밀한 멀티 터치 스크린, 최대 6개 화면을 실시간으로 미러링해 칠판에 띄울 수 있는 스마트 뷰(SmartView) 등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 보안도 한층 더 강화된다. 리눅스(Linux) 운영 체제를 사용하는 IGEL OS는 제로 트러스트 기반 보안 솔루션으로 접근한다. 제로 트러스트란 복잡한 네트워크의 보안이 항상 외부 및 내부 위협에 취약한 상태라고 가정하는 것을 기본 전제로 한 보안 방법론이다. 최근 전 세계적 도입 요구가 커지고 있는 보안 이론으로 더 안전하게 기기를 관리 및 보호, 제어할 수 있다. 짐 에어도(Jim Airdo) IGEL 전략적 제휴 담당 부사장은 “LG의 혁신적인 디지털 사이니지 솔루션은 기업이 대중에게 정보를 관리하고 전달하는 수직적인 방식에 혁명을 일으키고 있다”며 “이번 전략적 협력을 통해 다양한 산업 분야의 고객에게 새로운 문을 열고 고객이 위험적 요소 없이 청중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원활한 디지털 환경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민동선 LG전자 북미법인 BS 영업 담당 상무는 “이번 새로운 협력은 IGEL과의 오랜 파트너십의 또 다른 이정표”라며 “이것은 수년에 걸쳐 우리의 협업에 대한 보상을 의미한다”고 밝혔다. 이어 “클라우드 기반 디지털 작업 공간에 대한 향상된 유연성을 통해 입증된 이번 혁신은 양사의 지원 및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한다”고 밝혔다.

日, 반도체 공급망 강화에 20조 이상 투입

[더구루=오소영 기자] 일본이 반도체 생태계 육성을 위해 20조원 이상 쏟는다. 미국과 독일보다 더 많은 비중을 반도체에 두며 관련 기업 투자 유치에 나섰다. 대만 TSMC와 라피더스에도 수조원대 지원을 약속했다. 5일 코트라 도쿄무역관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2021년 ‘반도체·디지털산업전략’을 수립하고 3년간 3조900억엔(약 27조원)의 예산을 배정했다. 이는 국내총생산(GDP)의 0.71%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미국이 GDP 대비 0.2%, 독일이 0.41%인 점을 고려하면 일본의 지원 규모는 상당하다. 일본 정부는 2030년까지 반도체 매출을 현재 세 배인 15조엔(약 133조원)으로 늘린다는 목표다. 이미 TSMC의 투자를 유치했다. 일본 쿠마모토현에 1·2공장을 짓는 대가로 최대 약 1조2000억엔(약 11조원)을 지원한다. 도요타와 키옥시아, 소니, NTT, 소프트뱅크, NEC, 덴소, 미쓰비시UFJ은행 등 일본 대기업 8곳이 설립한 라피더스에도 올해에만 5900억엔(약 5조원)을 제공한다. 지원금의 90%는 ‘전공정’인 공장 건설과 클린룸 제조 장비 등 설비 투자와 연구·개발에 할당됐다. 나머지 535억엔(약 4700억원)은 반도체의 ‘후공정’ 분야에 배정된다. 2나노미터(㎚·1㎚는 10억분의 1m) 세대 로직 반도체를 활용한 칩렛과 2.5·3차원 실장 기술 개발에 쓰인다. 무엇보다 후공정에 필요한 재료를 생산하는 기업들의 움직임이 활발하다. 후지필름은 후공정에 특화된 반도체 연마제(CMP 슬러리)를 일본에서 양산하기 시작했다. JSR은 폴리이미드(PI)계 포토레지스트를 개발해 수년 내 생산을 추진한다. 레소낙은 약 150억엔(약 1300억원)을 쏟아 고성능 반도체용 소재 공장을 증설하고 있다. 2027년 가동을 목표로 한다. TSMC 공장 인근에도 일본 기업들의 투자가 몰리고 있다. 반도체 제조용 수지 업체 아리아케기연은 2026년까지 약 10억엔(약 88억원)을 들여 기계 가공을 위한 공장을 신규로 설립한다. 정밀가공 회사 기타하라 웰텍은 6억엔(약 53억원)을 투자해 7번째 공장을 세우고 올해 여름부터 운영에 돌입할 계획이다. 일본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투자하며 반도체 장비 산업도 수혜가 예상된다. 일본 반도체제조장치협회(SEAJ)에 따르면 올해 반도체 제조장비 매출액은 전년 대비 27% 증가한 4조348억엔(약 35조원)을 기록할 것으로 관측된다. 내년에도 투자가 이어져 4조4383억엔(약 39조원)에 이를 전망이다.

[단독] 삼성전자, 멕시코 바하칼리포르니아주와 반도체 투자 논의

[더구루=정예린 기자] 삼성전자가 TV 공장을 두고 있는 멕시코 바하칼리포르니아주 경제 사절단과 회동했다. 가전, TV에 이어 반도체 생산거점까지 구축해 미주 시장 공략의 전초기지인 멕시코 생산기지 역할의 중요성이 커질지 주목된다. 쿠르트 호놀드 모랄레스 바하칼리포르니아주 경제혁신부(SEI) 장관은 2일(현지시간) 열린 경제사절단의 한국, 일본, 대만 등 아시아 3개국 순방 결과보고회에서 “삼성전자, 현대, 토요타, 폭스콘, 파나소닉, 미쓰비시 등 기업과 연구기관, 대학 45곳 이상을 방문해 관계자와 회의를 가졌다”고 밝혔다. 모랄레스 장관은 “우리가 관심을 가진 분야는 반도체, 의료 기기, 전기 모빌리티, 자동화, 지속 가능한 이동성, 수산물 가공 인프라 등이었다”며 “한국, 대만, 일본 기업 뿐만 아니라 교육 기관과도 연계해 협력 계약을 체결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바하칼리포르니아주 대표단과 삼성전자 측이 구체적으로 어떤 대화를 나눴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바하칼리포르니아주 측이 반도체 산업 투자 유치를 이번 순방의 제 1순위 목표로 내세운 만큼 삼성전자에도 반도체 공장 건설을 제안했을 것으로 관측된다. TV 공장 증설 등 기존 생산시설 투자 확대 요청도 이뤄졌을 가능성이 높다. 주정부 측은 바하칼리포르니아주의 지리적 이점과 기업 친화적인 정책 등을 적극 피력했을 것으로 예상된다. 바하칼리포르니아주는 미국과 국경이 맞닿아 있는데다 태평양과 캘리포니아만을 끼고 있는 반도다. 멕시코는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맺어 인플레이션감축법안(IRA)에 대응도 가능하다. 삼성전자는 바하칼리포르니아주 티후아나에 TV·모니터 생산 공장도 보유하고 있다. 1988년 3월 설립된 티후아나 공장은 삼성전자 전체 TV 생산량의 약 20%를 차지하는 글로벌 주요 생산기지다. 이 곳에서 만들어진 TV는 멕시코 현지에 공급되는 것은 물론 중남미, 미국 등지로 수출된다. 모랄레스 장관이 이끈 바하칼리포르니아주 대표단은 지난달 8일부터 18일까지 10박 11일의 일정으로 한국, 일본, 대만 3개국을 찾았다. 올해와 내년에 걸쳐 7개의 투자 프로젝트를 확정했다. 20개 기업과 신규 투자 논의도 진행 중이다. 주정부는 약 5억 달러 이상 규모 투자 프로젝트를 유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삼성전자 5G vRAN·오픈랜 솔루션 ‘독일 최초’ 상용망 적용

[더구루=정예린 기자] 삼성전자가 독일 주요 통신사와 손잡고 현지 최초로 5G 상용망에 가상화 기지국(vRAN)과 오픈랜(O-RAN)을 구축했다. 유럽 통신사와의 잇단 협력으로 수주 기대감을 높이며 글로벌 통신장비 시장 리더십을 강화하고 있다. 삼성전자 독일법인은 2일(현지시간) O2 텔레포니카와 란츠베르크암레흐에 안정적인 고성능 4G와 5G 서비스를 제공하는 vRAN·오픈랜 상용 사이트 운영을 개시했다고 발표했다. 양사는 몇 달 내 사이트 7곳을 더 추가해 네트워크 범위를 더욱 확장한다는 계획이다. 삼성전자의 5G vRAN 솔루션이 독일 상용망에 사용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양사는 작년 10월 vRAN과 오픈랜 기술 개발과 상용화를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고 관련 이니셔티브를 공동 추진해왔다. 약 6개월여 만에 성과를 내며 고객에 고품질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 <본보 2023년 11월 1일 참고 삼성전자, O2 텔레포니카와 손잡고 독일서 vRAN 테스트> 현장에는 삼성전자의 △4G·5G vRAN 3.0 솔루션 △대용량 다중입출력 장치(Massive MIMO) ’64T64R’ △저·중대역을 지원하는 오픈랜 호환 기지국 등이 설치됐다. 배포·운영·유지까지 장비 라이프사이클 전반을 관리·제어하는 삼성전자의 지능형 네트워크 자동화 솔루션도 도입할 예정이다. vRAN은 기지국에 IT 가상화 방식을 적용한 기술이다. 기지국별로 이뤄지던 처리 기능을 중앙집중국에 설치된 가상화된 범용 네트워크 장비를 통해 통합적으로 처리해 효율을 높인다. 통신망 구축에 필요한 초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중앙관리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이 최대 장점이다. 오픈랜은 코어망과 기지국을 연결하는 무선접속망을 개방형으로 구축하는 기술이다. 다른 기업의 통신장비를 상호 호환할 수 있어 인프라 구축비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삼성전자는 유럽 이동통신사들과 4G·5G 네트워크 솔루션 실증 테스트 등을 진행하며 동맹 관계를 구축, 수주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 △영국 버진미디어 O2·보다폰 △폴란드 플레이 △프랑스 오렌지 등과 파트너십을 맺었다. 특히 보다폰에는 저대역과 중대역 주파수를 모두 포괄하는 상용 vRAN 솔루션과 오픈랜 호환 무선 장비를 공급했다. 유럽 5G 네트워크에 vRAN이 채택된 최초 사례다. 이준희 삼성전자 DX부문 네트워크사업부 전략마케팅팀장(부사장)은 “삼성은 혁신적인 vRAN과 오픈랜을 통해 통신 산업의 우수성에 대한 새로운 표준을 설정하고 있다”며 “우리는 독일에서 새로운 연결 시대를 여는 선구적인 여정에 있는 O2 텔레포니카의 핵심 파트너가 된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LG디스플레이, 獨 명품 TV 제조사 로에베에 오픈셀 OLED 패널 공급

[더구루=정예린 기자] LG디스플레이가 독일 럭셔리 TV 전문 제조사 ‘로에베(Loewe)’에 오픈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을 공급, 10년 동맹을 이어간다. 아시아권에 이어 OLED 최대 시장인 유럽에서도 오픈셀 판매에 착수하며 OLED 사업을 다각화한다. 2일 로에베에 따르면 회사는 최근 본사가 위치한 크로나흐에 자체 OLED TV 제조라인을 구축했다고 발표했다. 내달부터 LG디스플레이의 오픈셀 형태의 W(화이트)-OLED 패널을 받아 부품 등을 조립한 뒤 TV 완제품으로 생산한다. 신공장은 오픈셀 OLED 패널을 사용할 수 있는 유럽 내 유일한 생산기지라는 게 로에베의 설명이다. 로에베는 OLED 모듈 공정을 거치지 않은 반제품 형태의 오픈셀 패널을 공급 받음으로써 자사 특징이 잘 드러나는 고객 맞춤형 ‘메이드 인 독일’ TV를 선보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소비자 의견을 적극 반영해 TV 디자인부터 소프트웨어 개발, 최종 조립까지 로에베가 직접 수행한다는 설명이다. 로에베는 새로운 생산기지에서 대형 OLED TV 제조에 주력한다는 계획이다. 우선 83인치와 93인치 OLED TV 신모델을 선보인다. 향후 99인치 모델까지 라인업을 확장한다. 신공장에서 만든 TV는 연말께 시장에 출시한다는 방침이다. 오픈셀은 모듈화가 이뤄지기 전 셀 상태 패널을 일컫는다. 집적회로 등 핵심 부품을 조립하기 전 단계의 패널을 판매하는 것이다. 원가를 낮추고 디자인 측면에서 독자 혁신을 추구하기 위해 여러 TV 제조사들이 오픈셀 패널 도입을 확대 중이다. OLED의 경우 사업 초기 단계이지만 LCD 분야에서는 오픈셀 사업이 보편화돼 있다. LG디스플레이는 지난 2019년 중국 스카이워스 등 현지 TV 제조사와 오픈셀 OLED 패널 납품을 협의한 바 있다. 로에베 오픈셀 OLED 패널 공급을 계기로 유럽 내 OLED 오픈셀 사업을 본격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고객사의 진입 장벽이 낮아지면서 LG디스플레이의 유럽 내 OLED 패널 판매 확대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유럽은 글로벌 최대 OLED TV 시장이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옴디아에 따르면 올해 OLED TV 출하량은 626만 대로, 전년(557만 대) 대비 12.3%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지역별 예쌍 출하량 성장세는 유럽이 15.3%로 가장 높았다. △북미(14.3%) △아시아·오세아니아(12.4%) △중동·아프리카(11%)가 뒤를 이었다. 크리스티안 알버 로에베 최고운영책임자(COO)는 “로에베는 LG디스플레이로부터 오픈셀 패널을 구매하지만 완전한 제품을 직접 조립한다”며 “우리는 남들과 다를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해 경쟁업체와 동일한 OLED 패널이 아닌 오픈셀 패널을 사용하기로 선택했다”고 밝혔다. 한편 로에베는 1923년 설립돼 100년 역사를 자랑하는 독일 TV 제조사다. 1인 1제품 마스터제도로 생산 직원 한 명이 한 개 제품을 만드는 ‘책임 공정 정책’을 실행해 ‘프리미엄 TV 명가’를 이미지를 구축했다. LG디스플레이와 2013년부터 파트너십을 맺고 패널을 공급받고 있다. 2016년부터는 OLED까지 제품을 확장해 LG디스플레이 패널을 장착한 OLED TV를 최상위 프리미엄 제품군에 포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