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정 숙지 미숙’ 한국 유도, 세계선수권 혼성단체전서 실격패

[스포츠투데이 김경현 기자] 한국 유도대표팀이 규정을 위반해 실격패를 당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유도대표팀은 지난 25일 아랍에미리트(UAE) 아부다비 무바달라 아레나에서 열린 2024 국제유도연맹(IJF) 세계선수권대회 혼성단체전 동메달 결정전을 앞둔 상황에서 실격 통보를 받았다. 혼성단체전은 한국이 2024 파리 올림픽에서 메달 사냥을 노리는 종목이다. 우즈베키스탄과의 8강전에서 사달이 났다. 한국이 0-2로 뒤지던 상황, 3번째 주자 원종훈이 남자 90kg 이상급 경기에서 부상을 이유로 기권을 택했다. 원종훈은 매트에 올라서자마자 심판을 향해 기권 의사를 표시했다. 심판은 이를 받아들여 우즈베키스탄의 승리를 선언했다. IJF 규정에 따르면 매트에 올라온 선수가 경기를 거부하면 해당 팀은 실격 처리되며, 더 이상 대회에 참가할 수 없게 된다. 명백한 실수다. 선수가 부상을 당했다면 해당 체급을 포기하고 1패만을 떠안으면 됐다. 하지만 한국은 이를 숙지하지 못해 실격을 당했다. 다만 IJF도 이 규정을 인지하지 못해 경기가 진행되는 촌극이 벌어졌다. 한국은 우즈베키스탄에 0-4로 패한 뒤, 패자전에서 독일을 4-1로 꺾고 동메달 결정전으로 향했다. 하지만 동메달 결정전을 앞두고 독일이 이의를 제기했고, IJF가 한국에 실격패를 통보했다. 대한유도회는 황희태 감독과 원종훈에게 경위서 제출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한국은 이번 대회 개인전에서 금메달리스트 두 명을 배출했다. 김민종이 남자 100kg 이상급에서 39년 만에 금메달을 목에 걸었고, 여자 57kg급 허미미는 여자 선수로 29년 만에 금빛 메치기를 선보였다. 남자 81kg급의 이준환, 60kg급의 이하림, 여자 78kg 이상급의 김하윤은 동메달을 차지했다. [스포츠투데이 김경현 기자 sports@stoo.com]

김민종, 세계유도선수권 금메달 획득…최중량급 39년 만에 우승

[스포츠투데이 이상필 기자] 한국 유도 최중량급 간판 김민종(양평군청)이 세계선수권 정상에 올랐다. 세계랭킹 6위 김민종은 24일(한국시각) 아랍에미리트(UAE) 아부다비에서 열린 2024 세계유도선수권대회 개인전 마지막 날 남자 100Kg 이상급 결승전에서 구람 투시슈빌리(조지아)에 한판승을 거두며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한국 남자 유도 선수가 세계선수권에서 우승한 것은 지난 2018년 안창림(73Kg급)과 조구함(100Kg급) 이후 6년 만이다. 또한 최중량급 우승을 차지한 것은 지난 1985년 조용철 현 대한유도회장 이후 무려 39년 만이다. 1회전을 부전승으로 통과한 김민종은 2-4회전에서 모두 한판승을 거두며 준결승전에 진출했다. 이어 준결승전에서 2020 도쿄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루카스 크르팔렉(체코)을 모로걸기 절반으로 꺾고 결승행 티켓을 거머쥐었다. 결승전 상대는 도쿄 올림픽 은메달리스트이자 2018 세계선수권대회 우승자인 투시슈빌리였다. 결승전에서 더 기세가 오른 김민종은 지치지 않고 공세를 펼쳤고, 위장공격에 의한 지도 2개를 빼앗으며 승기를 잡았다. 이후 종료 20초 전 타시슈빌리의 어깨로 메치기를 잘 막아낸 뒤 그대로 가로누리기로 연결, 경기 종료를 알리는 버저와 함께 한판승을 따내며 금메달을 확정지었다. 김민종은 이번 금메달로 다가오는 2024 파리 올림픽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 여자 78Kg 이상급에서는 김하윤(안산시청)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한편 한국 유도는 이번 대회 개인전에서 금메달 2개, 동메달 3개를 따내며 3위를 기록했다. [스포츠투데이 이상필 기자 sports@stoo.com]

‘일본 아닌 한국 선택’ 유도 허미미, 세계 최강자 꺾고 금메달

유도 ‘세계랭킹 6위’ 허미미(22·경북체육회)가 최강자를 꺾고 세계선수권 금메달을 획득했다. 허미미는 21일(한국시각) UAE 아부다비에서 펼쳐진 ‘2024 세계유도선수권대회’ 여자 57kg급 결승에서 ‘세계랭킹 1위’ 크리스타 데구치(29·캐나다)를 제압하고 우승을 차지했다. 정규시간 4분 동안 지도 벌칙 2개씩 받은 채 연장에 돌입했는데 더 적극적인 공격을 펼치던 허미미가 회심의 업어치기 시도로 상대의 세 번째 지도 벌칙을 이끌어내 반칙승을 거뒀다. 한국 여자유도가 1995년 일본 지바 대회 정성숙(61kg급)-조민선(66kg급) 이후 무려 29년 만에 따낸 세계선수권 금메달이다. 남자부로 넓혀도 2018년 아제르바이잔 대회 안창림(73kg급)-조구함(100kg급) 이후 6년 만에 거둔 값진 성과다. 최근 두 차례 올림픽에서 ‘노골드’ 분루를 삼켰던 한국 유도는 허미미가 따낸 금메달로 ‘2024 파리올림픽’ 금메달도 기대할 수 있게 됐다. 한국인 아버지와 일본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이중국적자 허미미는 지난 2021년 타계한 할머니의 유언에 따라 일본 국적을 포기하고 한국 국가대표 선수의 길을 택했다. 일본 고교랭킹 1위에 올랐던 동생 허미오(20)도 한국에서 선수 생활을 이어가고 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강속구+커브’ 한화 문동주 무실점, 복귀전에서 던진 희망 방신실 알렸던 E1 채리티 오픈, 대회 2연패? 1년 만에 돌아온 이대성, FA로 서울 삼성행…농구팬들 당혹 [김대희 교수의 알기 쉬운 스포츠법·정책] 유·청소년의 스포츠활동, 대한민국의 미래이다 FC서울 기성용·최준, 팬들이 뽑은 이달의 선수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