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의, ‘한국형 테마섹’ 등 정부에 61개 정책과제 건의

경제계가 국회 입법 없이 정부 정책만으로 경제활력을 높일 수 있는 정책 개선과제를 건의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23일 ‘투자와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정책 개선과제’를 기획재정부 등에 전달했다고 밝혔다. 건의서는 △미래성장 기반조성 △기후위기 대응 △자본시장 활성화 △규제 경제계가 국회 입법 없이 정부 정책만으로 경제활력을 높일 수 있는 정책 개선과제를 건의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23일 ‘투자와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정책 개선과제’를 기획재정부 등에 전달했다고 밝혔다. 건의서는 △미래성장 기반조성 △기후위기 대응 △자본시장 활성화 △규제

‘난장판 국회’ 없어도 되는 ‘경제활력 정책과제’ 대한상의가 내놨다

22대 국회가 개원한 지 4째 야당의 독주와 여당의 보이콧으로 제 할 일을 못하자 결국 경제계가 나섰다. 국회 입법 없이도 정부 정책만으로 경제활력을 높일 수 있는 정책 개선과제를 내놓은 것이다.대한상공회의소는 23일 ‘투자와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정책 개선과제’를 기획재정부 등에 전달했다고 밝혔다. 건의서는 ▲미래성장 기반조성 ▲기후위기 대응 ▲자본시장 활성화 ▲규제 합리화 등 4대 부문에 걸쳐 61개 세부과제를 담았다.먼저 상의는 기업의 대규모 투자를 지원할 정부 내 투자거버넌스 구축, 집행기구, 새로운 방법론을 마련할 필요가 있…

블록딜 사전공시 앞두고 대규모 거래…증권사 주관 경쟁 ‘분주’

내달 시간 외 대량 매매(블록딜) 사전 공시 의무화를 앞두고 블록딜 물량이 증가하면서 굵직한 딜을 주관하려는 증권업계의 경쟁이 달아오르고 있다. 공시 의무화 전까지 최대한 이익을 챙려는 상장사들이 늘어난 가운데 이를 통해 블록딜 주관 실적을 쌓으려는 증권사들의 행보가 지속될 전망이다. 하지만 기습적인 블록딜 증가로 주가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어 일반 투자자들로서는 주의가 필요한 상황이다.22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내달 24일부터 시행되는 블록딜 사전 공시 의무제를 앞두고 대규모 블록딜이 잇따르면서 국내 증권사들의 주관 영업에 힘이…

내달 블록딜 사전공시 의무화에 기업들 “팔 수 있을 때 팔자”

내달 블록딜(시간 외 대량매매) 사전 공시 의무화를 앞두고 선제적으로 블록딜을 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해당 제도 시행 이후 지분의 할인율이 올라갈 것을 우려해 기업들이 서둘러 블록딜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이에 시장에서는 블록딜 대상이 된 종목들이 대량 매물 출회 우려에 주가가 큰 폭으로 떨어지는 사례가 반복되면서 투자자들이 사이에서는 블록딜 경계령이 확대되고 있다.1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해 들어 국내 상장사 중 수백억원 규모 이상의 주식을 블록딜 방식으로 매각하는 사례가 계속 나오고 있다. 내달 시행될 블록딜 사전 공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