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요약] 고금리 끝내려는 연준의 큰그림 f.이베스트투자증권 우혜영 선임연구원

1. 연준의 경기와 물가 전망 연준은 현재 경기가 침체하지 않고 물가 상황이 안정한 상태라고 판단하고 있으며, 중립 금리 수준에 대한 판단은 어렵다. 연준은 물가를 낮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경기가 둔화되는 상황에서 연착륙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재는 경기가 둔화되지 않고 물가 상황이 양호한 상태이지만, 침체가 올 수 있는 리스크는 제로는 아니다. 경기

日, 마이너스 금리 마침표의 의미는? f.김준송 전 리먼브라더스 한국 대표

1. 일본의 금리 인상과 글로벌 시장의 반응 일본의 금리 인상은 사실상 일어나지 않았으며, 일본의 이자율은 여전히 0% 수준이다. 일본의 금리 인상에 대한 실망은 시장에서 큰 반응을 일으켰다. 일본의 금리 변화가 글로벌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크다. 일본의 금리 인상이 없었던 이유는 일본 중앙은행의 코멘트에서 앞으로의 방향성이 없었기 때문이다. 일본의 금리

[AI요약]시장 상승 기여 90% 차지한 삼성전자, 삼전이 주도한 게 좋은 걸까? 

1. 엔비디아 CEO, 삼성전자 HBM 테스트 및 기대 엔비디아의 CEO가 삼성전자의HBM을 테스트하고 있으며 기대가 크다고 언급했다. 이로 인해 시장은 삼성전자가 엔비디아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다고 해석했으며, 퀄 테스트 통과 기대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이야기로 인해 시장에서는 반도체와 엔비디아 주가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2.

[AI요약] 신용잔고 보니 미국 주식 아직 고점 아니다 f.이베스트투자증권 신중호 센터장

1. 미국 경제의 안정화와 성장 미국 경제는 소비와 투자가 잘되고 있으며, 부채 비율이 안정화되고 있다. 가처분 소득 대비 가게 부채가 줄어들어 소비 여력이 생기고, 투자에 대한 생산성이 나오고 있다. 미국은 GDP 대비 부채가 줄어들어 소비가 잘 버티고 있으며, 투자 지표도 나쁘지 않다. 미국의 은행들은 대출 스탠스를 완화시키고 있으며, 기업 대출에 대한

[AI요약] 인플레, 디플레 다 잡는다! 연준의 큰그림 f. 중소기업중앙회 성상현 과장

1. 유동성 확장과 단기 국채 발행 유동성 확장은 연준과 재무부가 단기 국채를 발행하여 유동성을 공급하는 방식이다. 단기 국채 발행은 레포 시장에서 이루어지며, 금리를 통해 대출을 받고 채권을 사는 과정이다. 이를 통해 유동성이 확장되고 주식 시장은 상승한다. 옐런은 단기 국채 발행을 통해 유동성을 확장시키고 인플레이션보다는 디플레이션을 우려하고 있다. 하

[AI요약] 반도체 재고 드디어 줄었다…연봉도 줄었는데 172억 받은 사람은?

1. 삼성전자의 재고자산과 투자 현황 삼성전자의 재고자산은 2022년 2분기부터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23년 4분기에는 30조 31조원으로 줄었다. 삼성전자는 작년에도 안 좋은 시기에도 꾸준히 투자를 늘렸으며, R&D 투자는 28조 4천억 원으로 사상 최대 규모였다. 삼성전자의 임직원 수는 12만 명으로 증가했으며, 평균 급여는 1억 2천만 원으로 200

[AI요약] 부동산 시장, 하락세는 맞는데 기간은 길지 않다! f. 부동산 전문가 메디테라

1. 부동산 시장의 트렌드와 전세와 월세의 괴리 부동산 시장의 트렌드는 실수요자들에 의해 움직이고 있으며, 현재는 하락장이지만 하락의 기간은 길지 않을 것으로 예상됨. 현재 부동산 시장에서는 전월세 수요가 많아지고 있으며, 전세 비중은 줄어들고 월세 비중은 증가하고 있음. 서울의 부동산 시장은 공급이 부족한 것은 아니지만, 전세와 월세의 괴리가 크기 때문에

[AI요약] 그런 이유로 주식시장은 계속 오를 겁니다 f. DB금융투자 문홍철 팀장

1. 코인 시장의 상승과 돈의 흐름 코인 시장에서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을 비롯한 알트코인들이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이유는 돈의 흐름과 관련이 있다. 돈의 흐름을 보는 관점에서 코인 시장의 상황을 해석할 수 있다. 연준과 정부가 돈을 푸는 주체로 작용하여 시스템 내의 유동성을 증가시키고 있다. 정부와 연준은 대규모 부채를 내고 돈을 써서 경제를 부양하고 있는

[AI요약] 반도체 및 저PBR에 눌려있던 엔터, 게임, 바이오, 조선주 날아다녔다 

1. 엔비디아의 경쟁과 실적에 대한 우드 대표의 발언 엔비디아는 경쟁사들과의 경쟁이 격화될 것이며, 경쟁이 더욱 심해질 것이라는 우드 대표의 발언이 나왔다. AMD와 테슬라 등 기업들이 자체적으로 인공지능 반도체를 디자인하고 있기 때문에 엔비디아의 경쟁이 더욱 심해질 수 있다. 엔비디아의 실적이 계속해서 늘어날 것이라는 낙관론에 대해 우드 대표는 경계하고

사상최고가 경신하는 대만증시, 소외되는 코스피 f.아주대학교 경영학과 왕수봉 교수

# TSM는 삼성과 협력 못할 중요한 이유가 있다 차이잉원 대통령과 라이칭더 총통 당선인은 같은 당이지만, 성향이 다릅니다. 라이칭더는 대중정책에 있어 좀 더 강경한 사람입니다. 중국과 관계가 더 경직될 것으로 보입니다. 대만 가권 지수가 1만9000포인트를 넘었습니다. 작년 가권 지수가 23% 오르면서 역대 최고라고 말했는데, 올해는 2만을 돌파할 것이라

말 잔치 끝난 밸류업 대책! 정부, 반도체 투자 늘린다 f. IBK투자증권 박근형 부장

#시장 동향 코스피는 10.35pt 하락한 2657.35pt로 출발했습니다. 외국인은 현물 매도와 선물 매수, 기관은 코스피200 매수로 출발했습니다. 정부의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이 시장 기대치에 못 미친다는 분석 속에 저PBR 관련주가 급락했습니다. 증권 은행 보험, 지주사, 자동차 등이 급락했고 정유 LPG, 초전도체, 로봇 등 테마군도 약세였습니다.

AI 반도체 시장 10배 커진다… 엔비디아 vs 반 엔비디아 연합 f.삼프로TV 권순우

AI 반도체 시장 10배 커진다… 엔비디아가 80% 장악 배터리 캐즘에도 LG엔솔·포스코퓨처엠 ‘미래를 위해 갈길은 간다’ 한국 태양광 사업 적자 전망…중국 물량 밀어내기 보릿고개 AI 반도체 시장 10배 커진다… 엔비디아가 80% 장악 요즘은 엔비디아 이야기를 안 할 수가 없는데요. 실적도 워낙 좋았고, 이렇게 큰 기업이 16%, 100달러가 넘게

과열 구간에 올라선 미 증시, 닷컴버블과는 다르다 f.삼프로TV 이코노미스트 김한진 박사

# 두 얼굴의 미국경기, 증시 붕괴의 촉매는? 매크로 경제가 난리입니다. 독일이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0%에 가까울 것으로 예측했고, 유럽 경제가 전반적으로 안 좋습니다. 반면 미국 경제는 굉장히 강해 금리 인하도 지연되고 있습니다. 오늘은 미국 경제의 두 얼굴에 대해 말해보려 합니다. 미국 경제는 올해도 1.5~2% 사이의 양호한 성장으로 세계증시 버

폭주하는 엔비디아! 실적 발표 기대감에 강세 보인 반도체 f. IBK투자증권 박근형 부장

#시장 동향 코스피는 4.36pt 상승한 2653.12pt로 출발했습니다. 외국인은 현선물 매수, 기관은 코스닥 매수로 출발했습니다. 다소 주춤하는 출발을 보였지만 외국인의 주가지수선물 매수세 강화로 코스피는 상승폭을 확대했습니다. 다만 2차전지 양극재 하락으로 코스닥은 하락세였습니다. 개장 후 30분만에 외국인은 선물 7600억 이상을 순매수했습니다. 삼

-30% 인텔의 길을 걷는 삼성전자 처참한 10년의 성적표 f. 유진투자증권 이승우 리서치

# 삼성전자 처참한 10년의 성적표 작년 1월 삼프로 방송에 나와서 2023년 반도체는 적자가 예상되지만, 주가는 오를 가능성이 있다고 말씀드렸는데요. 그 이유는 2022년도에 주가가 선반영돼 많이 하락했기 때문입니다. 작년에 이미 많이 올라서 올해 주가는 재미없을 수 있습니다. 냉정하게 보면 AI 관련주만 좋고, 나머지 업체들은 가이던스가 썩 좋지 않습니